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7/21)

리플 “XRP가 증권이 아니라는 판결…기념비적”
리플(XRP)이 최근 공식채널을 통해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은 XRP가 증권이 아니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는 리플 뿐 아니라 미국 암호화폐 업계 전체에 기념비적 판결이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업계가 승리한 첫 케이스이며, 미국의 기타 암호화폐, 토큰 , 증권 규제 관련 선례를 남겼다”고 전했다.  리플은 “이번 소송의 쟁점은 딱 하나였다. 암호화폐(토큰)인 XRP가 투자 계약이 될 수 있는지 여부, 즉 현행법 상 XRP가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리는 것이었다. 법원은 XRP 자체는 증권이 아니라고 분명히 판결했다. SEC의 무리한 주장은 법적 관점에서 잘못됐다는 점이 확실해졌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전반으로 봐도 역사적인 사건이다”고 전했다.

나스닥, 암호화폐 커스터디 사업 중단
나스닥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 계획을 철회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계획철회는 규제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나스닥 대표인 아데나 프리드먼(Adena Friedman)은 실적 발표에서 이같이 전했다.  나스닥은 올해 2분기 내 기관 대상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었다.

테슬라, 2분기에 비트코인 매입 혹은 매도 안해
테슬라가 올해 2분기 비트코인을 매입 혹은 매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테슬라는 지난 4분기 동안 동일한 비트코인 수량을 보유했다. 2분기 말 기준 테슬라 보유 비트코인(BTC) 가치는 1.84억 달러다. 전분기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했으나, 미국 회계 규정에 따라 테슬라의 보유 비트코인 가치 증가분은 회계상 처리되지 않아 대차대조표 상 평가액은 1.84억 달러를 유지했다.

바이낸스 리서치 “상반기, 암호화폐 시장 회복세 뚜렷”
바이낸스 리서치가 2023년 상반기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은 회복세을 보이며, 시가총액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상반기를 마감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시장 도미넌스(지배력)는 2021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상반기를 마감했다. 전통금융(TradFi)과 비트코인의 상관관계도 약화했다. 디파이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이 나타났으며, NFT 시장도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높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다만 유명 NFT 컬렉션 바닥가가 하락하며 실적은 저조했다. 벤처캐피털(VC)의 암호화폐 시장 투자액은 감소했다”라고 전했다.

아크인베스트 펀드 ARKW, 2Q 50% 급등.. “GBTC 기여도 높아”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가 발표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아크인베스트먼트가 운영하는 차세대 인터넷 ETF(ARKW)가 지난 2분기 50% 상승했다. 이와 관련 코인텔레그래프는 “ARKW 포트폴리오에서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BTC)는 7.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분기 ARKW가 보유한 주식 중 좋은 성적을 낸 상위 5위 주식에 GBTC가 포함됐다. 이외 테슬라, 쇼피파이, 유니티 소프트웨어, 드래프트킹스가 좋은 성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외신 “美 SEC, 암호화폐 법안 마련에 비협조적”
더블록이 다수 소식통을 인용,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국 내 암호화폐 시장을 정비하려는 미국 의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협조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의회 관계자는 “SEC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공화당 의원들이 제출한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초안’에 대한 기술적 피드백을 6주가 넘도록 제공하지 않고있다”며 “SEC는 암호화폐 규제 관련 비협조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토로했다.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초안에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디지털 자산 감독 관련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더샌드박스, 맥너겟 40주년 기념 홍콩 맥도날드와 협력
더샌드박스(SAND)가 공식 미디어를 통해 “맥도날드 홍콩이 맥너겟 40주년 기념을 위해 샌드박스와 협력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샌드박스는 맥도날드를 테마로 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치킨 맥너겟 캐릭터를 활용한 퀘스트 이벤틀 진행한다.

체인링크 CEO “전통은행, CCIP 활용하면 암호화폐 시장 규모 확대 전망”
더블록에 따르면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 체인링크(LINK)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EthCC 컨퍼런스에서 “전통 은행들이 자체 블록체인을 구축, 체인링크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CCIP)을 채택하면 암호화폐 시장에 막대한 자금을 끌어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규제 환경이 변화하면 모든 블록체인과 모든 은행 체인을 연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CIP는 크로스체인 기반 통신의 오픈소스 표준을 구축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로, 수백개의 퍼블릭 및 프라이빗 체인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

北 해커, 미국 IT 관리 회사 해킹… “암호화폐 탈취 목적”
로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북한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킹 그룹이 암호화폐 탈취 목적으로 미국의 IT 관리 회사인 점프클라우드(JumpCloud)를 해킹했다. 해킹으로 인한 암호화폐 피해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점프클라우드와 협력해 이번 해킹을 조사하고 있는 사이버 보안 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홀딩스(CRWD.O)는 “‘라비린스 촐리마’로 지칭되는 북한 해커그룹이 이번 해킹의 배후에 있다. 해커들이 무엇을 노리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지만, 암호화폐를 표적으로 삼은 전력이 있다”고 언급했다.

리플 미 변호사 “SEC-리플, 합의 가능성 10배 증가”
리플(XRP) 지지자로 유명한 미국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이 최근 한 인터뷰에서 “XRP에 대한 법원의 판결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 측이 합의할 가능성이 10배 가량 급증했다. SEC는 리플 측에 향후 모든 XRP 거래를 ‘등록 증권’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리플은 해당 요구가 비즈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를 반대했다. 그런데 이번 판결로 양 측이 합의할 가능성이 대폭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리플과 SEC의 소송 담당 치안판사는 양측에 상호 합의를 위한 회의 일정을 잡도록 명령한 바 있다.

영국 재무장관, 재무위 ‘암호화폐 도박 규제’ 요청 거부
영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도박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재무위원회의 요청을 거부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재무부장관 앤드류 그리피스(Andrew Griffith)는 “암호화폐의 소매 거래 및 투자 활동을 도박으로 규제하라는 재무위원회의 요청에 동의할 수 없다”며 “암호화폐는 다른 금융 서비스처럼 규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영국 재무위는 “암호화폐는 내재적 가치가 없는 도박에 해당한다며, 금융 서비스로 규제하려는 정부의 제안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코인베이스 프로토콜 부문 리더 “10년 뒤 온체인 사용자 80억 명 전망”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프로토콜 부문 리더 제시 폴락(Jesse Pollak)이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10년 간 80억 명의 사람들이 블록체인을 통해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블록체인 산업은 금융 산업의 초기 단계와 유사하다. 수 차례에 성장과 몰락을 반복했어도, 메인스트림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유엔(UN)의 추정치에 따르면, 2030년 지구의 인구는 85억 명에 이를 수 있다. 그중 대다수 사람들이 온체인 상태로 상호 연결될 것으로 전망한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은 수십억 명의 삶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더비 “현대미술품 경매에서 17개 NFT 총 $120만에 낙찰”
소더비 디지털아트 공공 대표 마이클 부한나(Michael Bouhanna)가 트위터를 통해 소더비 현대미술품 경매 GRAILS 파트3에서 NFT 17개가 총 120만 달러에 낙찰됐다고 밝혔다. 낙찰가가 높았던 NFT 종류는 피덴자, 크립토펑크, 링어스, 시어라이트(Seerlight) 등으로, 낙찰가는 3만~10만 달러 수준이었다.

NYDIG “BTC 현물 ETF에 $1 유입되면 BTC 시총 $10씩 증가 전망”
암호화폐 대출 기관 뉴욕디지털인베스트먼트그룹(NYDIG)이 보고서를 통해 BTC 현물 ETF에 1달러 유입되면 BTC 시가총액이 10달러 추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ETF에 10억달러가 유입되면 BTC 시총이 100억달러 늘어난다는 얘기다. 보고서에 따르면 GBTC, BTC 선물 및 현물 ETF 등 BTC 펀드 AUM은 현재 288억달러 규모다(미국 외 지역 사모펀드 제외). 보고서는 “2100억달러 규모인 금 ETF AUM에 비하면 매우 적지만 향후 BTC ETF 수요는 300억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비트코인으로 미국 국채 뒷받침”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가 힐더디바이드 팩(Heal the Divide PAC) 행사에 참석해 “대통령 당선시 미국 국채 발행량의 1%를 비트코인, 금, 은 등으로 뒷받침하고 암호화폐에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다”고 전했다고 비트코인매거진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케네디 주니어는 “국채 발행에 비트코인 등을 활용하는 비율은 초기 결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늘려갈 것이다. 이는 달러 강세 회복과 인플레이션 억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암호화폐 양도소득세 면제는 혁신과 투자를 촉진하고, 여러 벤처기업이 싱가포르나 독일이 아닌 미국을 찾도록 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다. 비트코인을 달러화로 환전할 경우에도 과세하지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은 증권이 아니라고 확신하며, 암호화폐 거래소 협력 은행들을 제재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현 정책에 종지부를 찍겠다”고 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