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7/10)

미국 상원의원, 포괄적 암호화폐 규제 법안 발의 재추진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와 커스틴 길리브랜드(Kirsten Gillibrand)가 포괄적 암호화폐 규제 법안 발의를 재추진한다고 포춘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지난해 6월 이들은 처음 관련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포춘은 “지난해 미국 하원과 상원에서 암호화폐 규제법 통과를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FTX 붕괴 등으로 인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루미스와 길리브랜드 상원의원이 발의할 법안은 시장 구조, 스테이블코인, 과세 등 암호화폐 관련 주요 법률 관련 이슈들을 포함한다. 그동안 의회에서 논의된 암호화폐 규제법 중 가장 광범위한 법안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이와관련 루미스 의원은 “해당 법안은 강력한 소비자 보호를 제공하고, 암호화폐 자산을 둘러싼 환경을 적절히 규제하는 포괄적 법안이다”고 설명했다.

카메론 윙클보스, DCG 및 배리 실버트 상대 소송 제기
카메론 윙클보스 제미니 공동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오늘 제미니는 디지털커런시그룹(DCG)과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 DCG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윙크보스는 “배리 실버트를 비롯한 DCG 경영진들은 제미니, 제미니 언 사용자에 제네시스의 지불 능력, 재무 상태를 속였으며, 사기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해 제미니와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 산하 디파이 펀드 포트폴리오에 LDO 추가
그레이스케일이 최근 산하 펀드의 포트폴리오 비중 및 가중치에 대한 분기별 업데이트 자료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LDO가 코인데스크 디파이 셀렉트 인덱스 펀드 포트폴리오에 새로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인덱스 펀드가 보유한 다른 자산은 UNI, AAVE, MKR, CRV, SNX 등이다. 코인데스크 대형주 선별 지수 및 그레이스케일 라지캡펀드(GDLC)에는 새로운 토큰이 추가되거나 제외되지 않았다. 해당 라지캡 펀드는 BTC, ETH, ADA, SOL, MATIC 등에 투자하고 있다. 코인데스크 스마트 컨트렉트 플랫폼 셀렉 Ex ETH 인덱스 및 그레이스케일 스마트 컨트렉트 플랫폼 Ex ETH 펀드(GSCPxE)에도 새로운 토큰이 추가되거나 제외되지 않았다. 해당 펀드가 보유한 자산은 ADA, SOL, MATIC, AVAX, ATOM이다.

월별 신생 암호화폐 스타트업 수, 2012년 이후 최소
유투데이가 포춘 크립토 데이터를 인용, 월간 기준 신생 암호화폐 스타트업 수가 2012년 이후 가장 적은 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 스타트업 수는 지난 2022년 1월 이후 1년 반 동안 98%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홍콩 재무장관 “가상자산 분야, 명확한 규제와 운영 규칙 필요”
폴 찬 홍콩 재무장관이 상하이에서 열린 공식 행사 연설에서 “가상자산 분야에는 명확한 규제와 운영 규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가상자산과 웹3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해당 분야에 명확한 규제와 운영 규칙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회사의 자금과 고객 자금을 혼용하는 등 회사 운영상의 정리가 부족한 경우다. 이에 따라 홍콩은 지난 6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도입했으며, 현재 국내외 많은 기업이 홍콩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업홀드 거래소,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 계획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암호화폐 중개 및 금융 서비스 플랫폼 업홀드가 오늘 새벽 공식 트위터를 통해 “커스터디 솔루션인 ‘업홀드 볼트’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업홀드 볼트는 개인 키 손실 리스크가 적고, 자산 보안성도 높은 서비스다. 리플(XRP) 홀더에는 우선 접속 권한이 부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더, 멀티체인 관련 주소 2개 동결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테더가 멀티체인(MULT) 관련 USDT 주소 2개를 동결했다. 해당 주소에는 약 253만 USDT가 예치돼 있다. 앞서 멀티체인의 팬텀 브릿지에서 1.3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가 비정상적으로 인출된 바 있다.

리플 CBDC 고문 “부동산 토큰화 분야 중점 연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리플(XRP) CBDC 고문 안토니 웰페어는 최근 트윗에서 “CBDC 및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전세계 관심이 증가했다”며 “우리는 특히 부동산 토큰화에 중점을 두고 응용 사례를 적극 탐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 경제정보화위원회 “블록체인 산업 혁신 발전 방안 발표 예정”
중국 상하이에서 7월 7일 열린 2023 세계인공지능컨퍼런스 블록체인+웹3신발전 포럼(2023 WAIC)에서 상하이시 경제정보화위원회 소프트웨어 및 정보서비스부장 치우웨이가 “상하이에는 264곳의 블록체인 기업이 있다. 중국에서 2번째로 많다. 10가지 이상 국제 표준 마련을 주도하고 500개 이상 해외 블록체인 기업,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투자했다”며 “상하이는 곧 블록체인 산업의 혁신 발전을 위한 상하이방안(上海方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앤디 머레이 윔블던 NFT 판매…테니스 성적 포함
디크립트에 따르면 영국 테니스 원탑 앤디 머레이가 디지털 아티스트 Refik Anadol과 협력해 이더리움에서 윔블던 아트 NFT를 론칭했다. 데이터 기반 디지털 아트 프로젝트로, 2013, 2016 두 번의 그랜드슬램 우승을 포함한 앤디 머레이의 18년간 윔블던 성적과 모션 캡쳐 데이터가 들어가 있다. 윔블던 2023 2라운드 경기에 앞서 manifold.xyz에서 판매됐다. NFT 가격은 개당 $147다.

블룸버그 전략가 “BTC, 하반기 진정한 ‘디지털 금’ 입증 기회”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시니어 매크로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은 비트코인이 올해 하반기 경기침체로 인해 진정한 시험에 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반기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비트코인이 동반 하락하지 않음으로써 가치 저장소 또는 디지털 금임을 증명할 기회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러면서 과거 경기 침체기에 연준은 통화정책을 신속하게 완화했지만 이번에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를 꺼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 SEC “코인베이스, 소송 이전에도 법 위반 사실 인지하고 있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가 소송 이전에도 법 위반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7일(현지시간) 주장했다. SEC는 코인베이스의 ‘자사에 상장된 암호화폐가 SEC 관할권 밖에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에 답변서를 제출, “코인베이스는 연방 증권법 위반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2021년 SEC가 코인베이스의 등록 신청서를 승인했다며 이를 통해 기본적인 비즈니스 적법성을 확인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코인베이스는 과거 특정 암호화폐의 연방 증권법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 대법원의 법적 프레임워크를 채택했으며, 동시에 암호화폐 발행자가 전통적인 증권과의 연관성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하지 못하도록 금지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인베이스는 투자자에게 잠재적 리스크 중 하나로 상장 자산이 증권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고 있다. 이 사실 또한 증권법이 적용될 수 있었음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성장이라는 이름으로 리스크를 감수하기로 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SEC는 6월 초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12종 암호화폐가 미등록 증권이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분석 “규제 강화 불구… 미국 여전히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 담당”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K33 리서치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규제 강화로 인해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미국은 여전히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업계 인력의 30%가 미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국가 기준 가장 많은 규모”라며 “우리는 이러한 상태가 계속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규제 강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술 지식과 자금 조달 접근성으로 인해 미국은 계속해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을 담당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CNBC “‘BTC 투자자 아니다’ 케네디 주니어, 최대 25만 달러 BTC 보유”
CNBC가 최근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가 공개한 재무 보고서를 인용, 그와 그의 가족이 100,001달러에서 250,00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 5월 비트코인 컨퍼런스에 참석해 “나는 BTC 투자자가 아니며 투자 조언을 하기 위해 여기 온 것도 아니다”며 “캠페인 기부금을 비트코인으로 받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CNBC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 6월 30일(현지시간) 제출한 재무 보고서를 인용해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자신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는 사실을 대중에게 말하지 않은 채 선거유세를 통해 비트코인을 마케팅했다. 이해상충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가족은 BTC를 통해 201달러 미만의 수익을 냈으며, 누가 언제 구매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또한 현재 보유 여부 등도 알 수 없다.

시장 전략가 “미국 SEC, 블랙록 BTC 현물 ETF 승인 가능성 크다”
인더머니스탁스닷컴(InTheMoneyStocks.com)의 수석 시장 전략가 가레스 솔로웨이(Gareth Soloway)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현물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할 것이다”전망했다고 핀볼들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솔로웨이는 “개에게 뼈다귀를 던져주듯, SEC가 암호화폐 시장에 ETF 승인이라는 뼈다귀를 던져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수의 소송제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암호화폐 시장을 괴롭혔으니, 긍정적인 것 하나를 주는 것이다” 분석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