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서치 “약세장에는 BTC 투자가 얼트코인 투자보다 수익률 높아”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K33 리서치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약세장에는 비트코인만 투자하는 것이 알트코인 포트폴리오 보다 더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K33 리서치는 “2018~2019년 약세장 당시 비트코인 및 얼트코인 시가총액 차트를 분석한 결과했다. 비트코인은 2018년 말 3250달러 최저 수준을 기록한 이후 회복세로 전환, 6500달러선에서 지지선을 형성했다. 반면 얼트코인은 약세장 기간 저점 부근에서 머물렀으며, 비트코인이 전 고점인 2만 달러를 돌파한 후에야 추세가 반전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애널리스트 “BTC, 바닥 찍었다… 2025년까지 420% 상승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지난해 5월 BTC 하락을 예측했던 암호화폐 전문 익명 애널리스트 데이브더웨이브(dave the wave)가 “비트코인이 이미 바닥을 찍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문제는 비트코인이 얼마나 더 오를 수 있느냐이다. 2025년까지 현재 가치에서 4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8년 이후 나타난 로그성장곡선(LGC) 매개변수 내에서 비례적으로 상승할 경우 2025년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157,512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27042달러, 0.382 피보나치 되돌림 수준에서 바닥을 찍었다. 이는 다년간 비트코인 상승세를 이끌었던 2016년의 가격 패턴과 유사하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36% 오른 30,158.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랙록 임원 “기관 투자자의 디파이 시장 진입, 디지털 신원 공개 선행 필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랙록의 전략 파트너십 책임자 조셉 샬롬(Joseph Chalom)이 “대형 기관 투자자의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 참여를 위해서는 거래 상대방이 누군지 알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전략이 암호화폐의 프라이버시 정신과는 모순될 수 있지만, 블랙록과 같은 글로벌 자산 운용사에게 거래 상대방이 누군지 식별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징역형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며 “다만, 신원 공개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것이라고 낙관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7/3 호날두 두번째 NFT 컬렉션 출시
바이낸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축구선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두번째 NFT 컬렉션이 오는 7월 3일 14시(UTC 기준) 출시된다고 발표했다. 판매는 48시간 동안 진행된다. 컬렉션은 슈퍼슈퍼레어(SSR), 슈퍼레어(SR), 레어(R), 일반 등 네가지 등급으로 분류되며, 20개의 고유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총 NFT 수는 29,327개다. SSR 등급의 NFT는 경매를 통해 판매되며, 이중 1개는 향후 경품 상품으로 사용될 예정으로 경매를 진행하지 않는다. 앞서 2022년 11월 바이낸스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NFT 컬렉션을 출시한 바 있다.
커스토디아 CEO “암호화폐 산업의 90%, 없어지거나 퇴출되어야”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은행 커스토디아(Custodia)의 케이틀린 롱(Caitlin Long) CEO가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의 90%가 없어지거나 시장에서 퇴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어떤 저명한 인물과 토론한 적이 있다. 당시 나는 산업의 90%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고, 상대측은 99%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90%이든 99%이든 요점은 사라져야 할 형편없는(Crap) 것이 많다는 사실”이라며 “나는 레버리지 플러시가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확한 분리를 보장하는 규제된 거래소가 없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CEO “탈중앙화 프로토콜 기반 글로벌 슈퍼앱 꿈꾼다”
파이낸셜타임즈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거래소가 글로벌 슈퍼앱이 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슈퍼앱(Super App)은 단일앱과 달리 금융 서비스뿐만 아니라 음식 배달, 티켓 예매, 온라인 쇼핑, 게임 등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를 단일 플랫폼 내 통합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앱이다. 그는 “코인베이스가 웹3 경제에 도움이 되는 슈퍼앱이 되는 것과 관련된 비전을 세웠다. 이는 탈중앙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CEO “내년 미국 대선, 암호화폐 산업의 전환점 될 수도”
더블록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2024년 미국 대선이 암호화폐 산업의 잠재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암호화폐에 반대하는 것은 정치적 이득이 없으며, 대선 영향에 따라 행정부, 정당, SEC위원장 등 잠재적 변화로 이어 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ETH/BTC 비율, 2개월래 최저치…BTC 현물 ETF 신청 영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신청 이후 시장의 낙관론이 높아지면서 BTC 마켓 ETH 가격(ETH/BTC)이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한 달 동안 10% 가까이 상승한 반면 이더리움은 1% 상승에 그친데 따른 것이다. 웨이브 디지털 에셋의 프로토콜 및 재무 관리 책임자인 나우만 셰이크(Nauman Sheikh)는 “BTC 현물 ETF 출시 기대감에 이어 내년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도 비트코인 상승에 일조할 것이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근시일 내에 하락하지 않을 것이다. ETH/BTC는 0.05~0.055 BTC 범위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TrueUSD “TUSD 자금 안전… 프라임 트러스트 예금정지 영향 받지 않았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TrueUS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TUSD 자금은 안전하다. 프라임 트러스트에 대한 익스포저(노출)가 없으며, 예금 정지 조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TUSD의 모든 자금은 안전하니 안심하라”고 전했다. 앞서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비트고(Bitgo)는 프라임 트러스트(Prime Trust) 인수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프라임 트러스트는 미국 네바다 금융기관 부서의 명령에 따라 모든 법정화폐 및 암호화폐 예금을 중단, 법정화폐 인출도 중단한다.
QCP캐피털 “블랙록 등, 현물 BTC ETF 승인 가능성 낮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트레이딩 업체 QCP캐피털이 “비트코인 등 암호화페 분야에 기관의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금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감안할 때 블랙록 등의 현물 BTC ETF가 승인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고 말했다. QCP캐피털은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있는 한 단기간 내에 현물 ETF 출시 승인이 이뤄질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자산운용분야에서 기관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투자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향후 몇 달 혹은 몇 년 안에 진전을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IMF “남미 일부 국가 암호화폐 금지, 장기적으로 효과적이지 않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남미 일부 국가들이 암호화폐를 금지하는 것에 대해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일부 국가가 위험성을 이유로 암호화폐를 금지하고 있지만, 금지 대신 디지털 결제 수요 문제 해결과 암호화폐 관련 거래를 통계화해 투명성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 보고서에서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으로 암호화폐의 기술적 이점을 적절히 활용하는 경우 결제 시스템의 확장성, 가용성 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메르세데스벤츠, 차량 내 NFT 전시 기능 테스트 예정
메르세데스벤츠의 NFT 부문인 메르세데스벤츠 NXT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해 차량 내 디지털 아트(NFT)를 전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벤츠 E클래스 모델에서 테스트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NXT 측은 “메르세데스벤츠 R&D 및 디자인 팀은 실물 제품과 디지털 제품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동차가 디지털 아트를 전시하고 갤러리로 변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첫 번째 사례이다”고 설명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