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이언 암스트롱 “SEC와 법정에서 암호화폐 규칙 논의 기대”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SEC(증권거래위원회)의 기소건과 관련해 우리는 법정에서 업계를 대표해 암호화폐 규칙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힐 수 있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기억하라
1) SEC는 우리 사업을 검토해 2021년 상장사가 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 SEC에 (토큰을) 등록할 길이 없다(몇 번이나 시도했다) 따라서 우리는 증권을 상장하지 않는다. 상장 심사한 대부분의 토큰을 거부하고 있다
3) SEC와 CFTC는 서로 상충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무엇이 증권이고 무엇이 상품인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
4) 이 때문에 미국 의회는 새 법안을 도입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블록체인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명확한 규칙을 마련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SEC는 명확한 규칙을 발표하는 대신 미국에 해를 끼치는 집행 규제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면 그렇게 하겠다. 코인베이스 소송은 다른 소송과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 당사를 상대로 제기된 소송은 오로지 토큰이 증권인지 아닌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팩트(사실)와 법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결국 이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아크인베스트,코인베이스 주식 추가 매입
‘돈나무’언니라고 불리우는 캐시 우드(Cathie Wood)가 이끄는 미국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가 3개 펀드(ARKK, ARKW, ARKF)를 통해 2164만달러 상당 코인베이스 주식 41만9324주를 추가 매수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며칠전 코인베이스가 미등록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기소한바 있다.
친리플 변호사 “SEC의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제소 정치적 동기 존재”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이 최근 크립토로우 TV에 출연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를 제소한 것은 정치적 동기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워처구루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디튼은 “2024년 대선을 앞두고 암호화폐 산업 규제에 이목이 집중되자 SEC가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엘리자베스 워렌(Elizabeth Warren) 상원의원과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발행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CBDC 영향력 확보를 위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타깃으로 삼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또 그는 “SEC와 바이낸스의 소송은 리플 케이스와 유사하다. 하지만 SEC와 코인베이스의 소송은 말이 되지 않는다. 코인베이스는 이미 2019년 SEC로부터 나스닥 상장 승인을 받았다. 특히 당시 코인베이스는 IPO 이슈를 이유로 증권 분류 여부가 확실치 않은 XRP를 상장폐지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 “자산 토큰화 환영..민간 암호화폐 접근성 향상 목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의 핀테크 부문 책임자 엘리자베스 웡(Elizabeth Wong)이 암호화폐 토큰을 포함한 신기술에 대한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리는 토큰화(tokenisation)를 지지한다. 공공 펀드의 토큰화를 원한다면 업계와 기쁘게 논의할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투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수정하고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투자금융사 프랭클린 템플턴의 아시아 지역 디지털 전략 자산 관리 담당인 브릿 블레이니(Brit Blakeney)는 토큰화의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며 “디지털 펀드는 최소 투자금 없이도 펀드에 접근할 수 있어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경제 전문가 86명 중 78명 “6월 미 연준 금리 동결 전망”
로이터 통신이 전세계 86명의 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8명이 미 연준이 6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8명은 6월 미 연준이 25bp를 인상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코인베이스, SEC 제소 이후 규제 리스크 더 커져”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소송전을 개시한 후 코인베이스는 더 커지는 규제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 규제 동향은 코인베이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위협할뿐 아니라 경영진이 (대응에)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SEC는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표적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스테이킹의 작동방식이 투자 계약과 유사해 관련 규제를 적용해야 하는지 살피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윌리 우 “美 법원 바이낸스 자산 동결, 이용자 영향 미미”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바이낸스의 자산 동결을 승인했지만 고객은 상관없다. 적어도 아직은 BTC가 많이 빠져나가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그는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의 바이낸스 내 BTC 잔액 데이터를 함께 게시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0xScope도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압박에도 불구하고 지난 24시간 동안 9억 1500만 달러가 바이낸스로 유입됐다”고 밝혔다.
번스타인 “SEC 코인베이스 제소, XRP 소송 결과 봐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월스트리트 투자은행 번스타인(Bernstein)이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제소에서 핵심은 암호화폐가 증권인지 상품인지 여부다. 해당 문제에 대한 첫 번째 법적 명확성은 리플(XRP)에 대한 SEC 재판에서 나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암호화폐 규제는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 정치적인 논쟁이 됐다. 미국 규제 조치는 유감스럽지만 시장에 대한 위협은 아니며, 암호화폐를 떠나야 했던 대부분 자본은 이미 이탈됐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모두 제소 이후 3% 가량 하락하는 등 악재가 완전히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카르다노 재단 “‘ADA는 증권’ SEC 주장에 동의 못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카르다노 재단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카르다노(ADA)가 증권에 해당한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주장을 반박했다. 재단은 “미국 법률에 따라 ADA를 증권으로 분류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우리는 법적 명확성을 위해 정책 입안자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카르다노 재단 CEO 프레데릭 그레가드(Frederik Gregaard)도 “암호화폐 분류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 우리는 규제 당국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해 대화에 참여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마크 큐반 “SEC, 트위터 내 넘쳐나는 금융사기에는 팔짱만”
크립토 친화적 억만장자 기업가 마크 큐반(Mark Cuban)이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트위터에서 벌어지는 수천건의 금융 사기에는 왜 손을 놓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위터에서는 실시간으로 금융 사기가 일어나고 있다. 대충 훑어봐도 투자자들의 돈을 노리는 사기 행각이 끊이질 않고 있다. 그런데도 SEC는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메사리 창업자 “현 SEC 위원장, $200억 규모 업계 피해가 유일한 성과”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의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의 성과는 200억 달러 규모의 업계 피해 양산이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겐슬러 위원장 부임 후 FTX 적발 실패로 80억 달러 규모 사기 및 파산 피해가 고스란히 투자자들에게 돌아갔고, 그레이스케일 투자자 보호 실패로 80억 달러 규모의 피해도 발생했다. 보이저와 제네시스, 블록파이 투자자 보호에도 실패해 업계는 또 40억 달러 이상이 파산 피해를 떠안았다. 겐슬러는 비열한 것이 아닌 무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리플 CEO “SEC 바이낸스·코인베이스 제소, FTX 사태 눈 돌리기”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XRP)랩스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제소는 FTX 사태 관련 집중됐었던 이목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의 ‘혁신 지지’ 발언은 거짓말이다. 선출직이 아닌 관료가 갈망하던 권한을 가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허둥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창피한 일이다. 아무도 속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美 암호화폐 회계 기준’ 마련 제안에 코베·리플·바낸 등 의견제출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가 지난 3월 제안한 ‘암호화폐 보유 기업 자산 포트폴리오 표준 구체화 방안’에 대한 피드백 접수 기한이 마감됐다. FASB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출한 기업은 코인베이스, 리플랩스, 크라켄, 바이낸스 US, 미국 은행협회, 딜로이트터치, 시티그룹, 아바랩스 등이다. 개인으로는 미 하원 금융업위원회 소속 브레드 셔면 의원 등이 피드백을 제출했다. FASB는 해당 제안서에서 기업의 분기별 수익 보고서에 암호화폐 손익을 포함, 가치 변동 여부를 반영하도록 요구한 바 있다.
블룸버그 “바이낸스 CEO, 이틀새 자산 $14억 증발”
블룸버그 통신이 자체 백만장자 지수를 인용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의 자산이 이틀새 14억 달러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자산은 3.61억 달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오창펑과 브라이언 암스트롱의 자산은 올해 들어 각각 117%, 61% 증가했으나 최근 이틀 동안 3억~14억 달러가 줄었다.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제소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CEO, 암호화폐 커뮤니티 단결 촉구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자신의 트위터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단결을 상징하는 무료 NFT ‘스탠드 위드 크립토(Stand with Crypto)’ 웹사이트를 공유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 4월 25일 해당 NFT를 처음 출시했으며, 현재까지 누적 발행자는 13만여명을 기록하고 있다.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증권법 위반 혐의로 코인베이스를 제소했다. 이에 대해 폴 그레왈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는 “우리는 이 사건을 대법원까지 끌고 갈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CLO “SEC와 ‘법적 다툼’ 끝까지 갈 것”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를 기소한 가운데 폴 그레왈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SEC와 끝까지 법적 다툼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법원에 가야 한다면 그렇게 할 준비가 됐다. 모든 법원은 SEC가 근본적으로 잘못됐다고 결론을 내릴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EC의 기소는 회사의 수익 창출과 관련 일부에만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집행 조치를 취하는데는 몇 달 혹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a16z 정책대응책임자 “SEC, 소송 통한 무책임한 암호화폐 규제 일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 출신 미국 대표 벤처투자사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정책 대응 책임자 브라이언 퀸텐즈(Brian Quintenz)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폐 업계에 대한 무책임한 규제 집행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기업을 미국에서 몰아내겠다는 위협일 뿐이다. SEC는 암호화폐 업계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를 겨냥한 이번 소송처럼 법 집행 조치는 소비자를 보호하거나 시장에 명확성을 제공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적용하는 것이 SEC의 책임감 있는 접근 방식일 것이다. SEC는 혼란을 가중시키는 행위를 중단하고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과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SEC “코인베이스 기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코인베이스를 기소한 가운데, 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코인베이스 플랫폼은 1.8억 명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브로커, 거래소, 청산소 등 기능을 통합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코인베이스는 브로커, 증권 거래소, 청산소 등으로 SEC에 등록한 바 없으며, 투자자 보호 조치 없이 거래 수수료를 통해 수십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공시 제도 회피로 볼 수 있으며 1934년 증권거래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