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스트리트저널 소속 기자 “FOMC, 6월 금리 동결 후 올여름 인상 준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비공식 대변인으로 불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소속 닉 티미라오스 기자가 “연준이 6월 13일~14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인상을 건너뛰고(금리 동결)한 뒤, 올 여름 다시 금리 인상을 준비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티미라오스는 “필립 제퍼슨 연준 이사는 전날 연설에서 6월 금리인상을 건너뛸 가능성을 언급했다. 제퍼슨 이사는 지난 5월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연준 부의장으로 지명됐기 때문에 주목할만하다. 또 FOMC 투표권을 가진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도 전날 한 컨퍼런스에서 6월 금리 동결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5월 19일 공개 석상에서 ‘신중론’을 언급한 것도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에 힘을 실어준다. 다만 6월 금리 동결은 7월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최고 금리 중앙값 예측치를 5.4%대로 높일 수 있다. 이는 최근 22년간 가장 높은 최고 금리 예측치이다”고 전했다.
서클, 6/8 아비트럼에서 USDC 발행
USDC 발행사 서클은 6월 8일 아비트럼에서 USDC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아비트럼 네이티브 USDC는 현재 유통 중인 이더리움에서 발행된 브릿지 버전 USDC(USDC.e)를 대체할 것이다.
중국 메신저 위챗, BTC 시세 서비스 제공
중국 모바일 메신저 위챗이 비트코인 시세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위챗에서 중국어로 비트코인을 검색하면 위안화 기준 시세가 상단에 뜬다. 단, BTC 이외에 다른 암호화폐 시세는 제공되지 않는다.
유럽의회 연구소 “암호화폐, 기본적으로 증권 취급해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유럽의회의 자체 연구소 싱크탱크(Think Tank)가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는 기본적으로 유가증권으로 취급돼야 하며, 디파이 관련 DAO는 법적 지위를 부여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암호화폐는 기본적으로 양도 가능한 증권으로 간주돼야 한다. 규제 당국이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기 전까지는 주식이나 채권에 적용되는 규제를 암호화폐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규제 갭이 심각한 이 분야에서 미카(MiCA, EU 암호화폐 규제안)가 단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이라고 설명했다. 단 싱크탱크는 해당 보고서의 내용이 유럽의회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이더리움 평균 수수료, 한 달 전보다 70% 하락
샌티멘트에 따르면 이더리움 평균 수수료는 5월 초 PEPE 등 밈코인 열풍으로 인해 $14로 급등한 후 현재 $4대로 정상화됐다. 샌티멘트는 “트랜잭션 수수료가 하락한 건 이더리움 네트워크 채택, 접근성, 사용성, 참여율이 확대되는 좋은 신호다. 경제성이 좋아지면 유틸리티(활용성)도 좋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암호화폐 거래소 이더리움 보유 비중은 사상 최저치인 9.9%로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리서치 “올 들어 암호화폐 시총 증가했지만 변동성·거래량은 감소”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코인메트릭스가 보고서를 통해 “지난 5개월 동안 암호화폐, 블록체인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등 모든 가상자산 분야의 시가총액이 증가했으나 변동성과 거래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데이터코노미(Datonomy·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 분석)를 통해 분석한 결과,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올해 들어 42% 증가했지만, 최근 2개월 동안 메이저 코인 가격은 횡보세를 보였다. 또 현물 거래량 역시 연초 대비 50% 감소한 200억 달러를 밑돌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시장 탄력성은 충분한 것으로 보이며, 산업 초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산업 성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프랑스 올리브오일 제조사, 유로 스테이블코인 기반 채권 발행
프랑스 올리브오일 생산업체 라마르 올리브오일이 블록체인 기반 채권 발행 프로토콜 오블리게이트(Obligate)를 통해 유로 스테이블코인 EUROe 기반 채권을 발행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EUROe는 핀란드 핀테크 회사 멤브레인 파이낸스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으로,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 채권에 대한 신용 평가 및 리스크 모니터링은 오블리게이트 신용평가 파트너인 크레도라가 수행했다.
홍콩 증감회, 오늘부터 가상자산 사업자 라이선스 신청 접수
외신에 따르면, 홍콩 금융당국인 증권선물감독위원회(증감회, SFC)가 오늘부터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규제 지침이 시행됨에 따라 홍콩 현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운영자(VASP) 라이선스 신청 접수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오늘부터 홍콩 현지 개인(소매) 투자자들은 라이선스 취득 거래 플랫폼에서 규제 조건에 부합하는 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하다. 앞서 SFC는 지난 5월 25일 VASP 라이선스 신청 양식을 공개한 바 있다.
美 하원, 6/7 웹3·분산원장기술 관련 청문회 개최
미국 하원 에너지 상업 위원회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6월 7일 오전 10시(UTC 기준) 웹3 및 분산원장기술 관련 청문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케이시 맥모리스(Cathy McMorris) 위원회 위원장은 “미국이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의 규제 환경 구축 방법을 논의 하기 위해 청문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5월 비트코인 네트워크 NFT 판매액, 역대 최대
웹3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슬램에 따르면 5월 비트코인 네트워크 NFT 판매액이 1.95억달러를 기록, 월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거래 건수 역시 44.2만건으로 역대 최다였다. 5월 이더리움 네트워크 NFT 판매액은 3.6억달러로 작년 10월 이후 가장 적었다.
서클, USDC 준비금 내 미국 국채 모두 처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 (Circle)이 미국 부채한도 관련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USDC 준비금 내 미국 국채를 모두 처분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블랙록이 관리하는 서클 리저브 펀드 데이터에 따르면 5월 30일 기준 서클은 240억 달러의 운용자산을 모두 오버나잇(overnight, 익일물) 레포(Repo, 환매조건부채권)로 보유하고 있다. 앞서 지난 4월말 서클은 300억 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웹 데이터에 따르면 서클 보유 펀드 자산 중 40억 달러 상당의 마지막 국채가 지난 5월 30일 만기됐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