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드만삭스 “6월 8~9일 경 美재무부 현금 거의 바닥”
미국 부채한도 상향을 놓고 백악관과 공화당이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미국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6월 8~9일경 미국 재무부의 현금잔고가 3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골드만삭스는 고객에게 보낸 메모에서 “6월 1~2일까지 수입 속도가 예상보다 더 둔화되면서 재무부의 현금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 8~9일쯤 재무부의 현금잔고가 최저치로 떨어질 것이다. 백악관과 의회가 디폴트를 피할 것이라고 확신하지만, 디폴트에 이를 수 있는 여러 길은 열려 있다. 이번주 백악관과 공화당이 합의할 가능성을 30%정도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 “이더리움 보다 비트코인 변동성이 더 커질 듯”
블룸버그가 “비트코인 변동성이 곧 이더리움보다 더 커질 듯하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블룸버그는 “최근 T3 이더리움 30일 내재 변동성 지수(T3 Ether Volatility Index)와 비트코인 변동성 지수 간 차이(spread)가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내재 변동성은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에 대한 옵션 시장의 기대치로, 일반적으론 ETH 지수가 BTC 지수를 상회한다. BTC 대비 ETH의 180일 실현 변동성 간 차이 역시 202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고 전했다.
마이클 세일러 “기업 보유 비트코인(BTC) 관련 새 회계기준 제안 지지”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레티지 공동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오늘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기업 보유 비트코인에 대한 공정가치 회계를 허용하는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의 회계 기준 제안을 지지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이에 동의한다면 당신은 6월 6일까지 진행되는 FASB 서베이에 참여해 지지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 암호화폐 자산은 미실현 손실만 표시해왔는데, 이에 FASB는 기업의 분기별 수익 보고서에 암호화폐 손익을 포함, 가치 변동 여부를 반영하도록 요구하는 제안서를 발표했다.
스트라이크 앱, USDT 지원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비트코인 월렛·뱅킹 서비스 스트라이크(Strike)앱에 통합된다고 밝혔다. 스트라이크의 테더 지원은 최근 비트코인2023 행사에서 스트라이크가 발표한 65개국으로의 추가 확장과 USDT 지원 발표에 따른 것이다.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올해 두 차례 금리인상 전망”
미국 연준의 대표 매파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올해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오스네트워크재단 창립자 “EOS 유저, 블록원에 법적 조치 검토해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오스네트워크재단 창립자 이브 라 로즈는 EOS 네트워크 참여자는 생태계 투자 관련 약속을 위반한 블록원에 대해 법적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블록원이 2018년 1월 EOS ICO 당시 약속한 $10억을 투자하지 않았다면서, 법적 조치가 첫 번째 옵션, 블록원의 EOS 보유 물량을 없애는 하드포크가 두 번째 옵션이라고 설명했다. 라 로즈는 블록원의 약속 파기로 인해 EOS 네트워크의 자본이 부족해졌으며, 네트워크 발전이 크게 저해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투자자들의 집단소송을 도울 준비가 돼있다고 덧붙였다.
토큰 증권, 시가총액 2억 2천만 달러 돌파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토큰 증권의 시가 총액이 2억 2천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지난 4~5개월 동안 대체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온도 $1억3870만, 매트릭스독 $7220만, 백트 $530만, 오픈에덴 $490만, 프랭클린 템플턴 $200만이 대표적이다. 토큰 증권의 96% 이상이 이더리움(ETH) 체인에서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곤(MATIC)과 노시스(GNO)가 그 뒤를 이었다.
비탈릭,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주의 촉구
더블록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는 이더리움 합의 메커니즘이 설계된 것 이상으로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이더리움 리스테이킹(re-staking)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리스테이킹은 다른 체인을 보호하기 위해 이더리움 밸리데이터의 책임을 늘리는 기능이다. 아이겐레이어(Eigen Layer)에서 개발 중이다. 비탈릭은 그의 새 블로그 포스트에서 리스테이킹이 이더리움 네트워크 보안에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우려했다. 구체적으로 이더리움 밸리데이터가 다른 체인에서 슬래싱(징벌 조치)을 당할 경우를 언급하며, 이 경우 메인넷 보안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이겐레이어의 공동 창립자인 스리람 칸난은 비탈릭의 분석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위험이 낮은 시나리오에서는 리스테이킹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비탈릭은 시스템적 위험을 높이고 네트워크 혼잡을 야기할 수 있는 얼티밋 오라클(ultimate oracle)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6월 금리인상 혹은 동결 결정, 매우 어려운 일”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 가운데 한 명인 닐 카슈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는 “6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지, 아니면 인상을 중단할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 $3210만 순유출…5주 연속 유출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3210만 달러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5주 연속 유출세다. 비트코인 투자 상품에서 3270만 달러가 순유출됐으며,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숏 비트코인 상품에서도 13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이더리움 상품에서는 1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애널리스트 “다음 상승장, 게임 코인이 주도 전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약 69.1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익명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펜토시(Pentoshi)가 최근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암호화폐의 주류 채택을 가속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섹터가 다음 상승장에서 가장 큰 상승 여력을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게임은 모든 문화권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공감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분야”라고 분석했다.
이창용 “물가 목표 수준보다 높아…물가 중심 통화정책 지속”
한국경제에 따르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 물가가 목표 수준보다 높기 때문에 앞으로도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계속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환율도 (한미) 이자율 격차로 걱정되는 면이 있지만 오늘 (원/달러) 1,320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자율 격차는 하나의 원인일 뿐 다른 원인에 의해 환율이 안정세를 보인다”고도 설명했다. 한은은 오는 25일 통화정책 방향을 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도이치디지털애셋, 독일 제트라에 암호화폐 ETP 상장 예정
독일 암호화폐 ETP 제공업체 도이치디지털애셋(DDA)이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종 암호화폐에 대한 익스포저(노출)를 제공하는 암호화폐 ETP ‘DDA 크립토 셀렉트 10 ETP’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10종 암호화폐는 100% 현물로 뒷받침되며 기관 대상 커스터디 업체 실드마켓 SAS가 보관한다. 해당 상품은 향후 수 주 내 독일 증권거래소 도이체뵈르제의 제트라(Xetra)에 상장된다.
DCG그룹, $6.3억 상당 제미니 언 대출금 미상환… “채무 이행 유예 논의 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 및 대출업체 제네시스의 모기업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이 지난주 만기가 도래한 제미니 언에 대한 6억 3000만 달러 상당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제미니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제네시스, DCG, 무담보채권자위원회(UCC), 제미니 등 이해관계자들은 현재 DCG의 채무불이행 상태를 피하기 위한 상환 유예 여부를 검토 중이다. 만약 해당 논의가 합의되지 않을 경우, 제미니는 DCG의 승인이 필요 없는 구조조정 계획을 제네시스와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비트코인으로 거래된 최초의 자동차, 경매서 1.2BTC 낙찰
비트코인 굿즈·NFT 마켓플레이스인 스케어스시티(scarce.city)에 따르면 비트코인으로 거래가 이뤄진 최초의 자동차가 새 주인을 맞았다. 해당 자동차는 도요타 프리우스로 지난주부터 경매가 시작돼 21일 오후 12시 17분경 1.2BTC(31,987.98달러 상당)에 낙찰됐다. 해당 차는 2013년 1000BTC(당시 2만2000달러 상당)에 처음 판매된 차로 알려졌다. 차에는 데이비드 베일리(David Bailey) 비트코인매거진 CEO, 비트코인 및 보안 전문가 안드레아스 안토노폴로스(Andreas Antonopolous) 등 저명 인사들의 서명이 남아있다.
올해 인기 NFT 프로젝트 바닥가 급감…두들스 23ETH→2.3ETH
올들어 인기 NFT 프로젝트들의 바닥 가격이 고점 대비 크게 감소했다고 비인크립토가 전했다. ▲두들스 23ETH → 2.3ETH ▲인비저블 프렌즈 8ETH → 1.15ETH ▲문버드 32ETH → 2ETH ▲고블린타운 6ETH → 0.26ETH로 바닥가가 떨어졌다. 이와 관련 매체는 “초기 진입자들이 가격을 끌어올린 프로젝트들에서 덤핑이 있었으며, 특히 NFT 마켓 블러에서 대규모 덤핑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서클 글로벌 정책 총괄 “美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행사엔 호재”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의 글로벌 정책 총괄 코리 덴(Corey Then)이 포캐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보다 안정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발표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초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최소 미국 달러와 최소 1대1로 준비금 비율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자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요건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준비금 일부를 미국 중앙은행에 보유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해당 법안은 현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최근 암호화폐 업계의 탈미국 추세에 따라 서클도 미국에서 사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서클은 미국을 떠나지 않는다. 우리는 글로벌 기업이지만, 미국에 기반을 둔 사업 전개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데이터 “이더리움 비콘체인 검증자 수 58만개 돌파”
오픈소스 이더리움(ETH)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비콘차닷인에 따르면, 22일 기준 이더리움 비콘체인 상의 활성 검증자 노드 수가 58만 개를 돌파했다. 현재 이더리움 비콘체인 상의 활성 검증자 수는 580,213개, ETH 스테이킹 수량은 약 18,566,628 ETH를 기록하고 있으며 검증자 노드 당 평균 32.28 ETH를 스테이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1.06% 내린 1,799.0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 대선 민주당 후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비트코인 기부금 받겠다”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가 최근 한 컨퍼런스에 참석, “비트코인은 민주주의 운동이다. 때문에 우리 모두는 비트코인에 대해 열정적이다. BTC를 통한 선거자금 후원을 받겠다”고 전했다고 워처구루(WatcherGuru)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번 비트코인 선거자금 후원 방침은 미국 대선 역사상 첫 BTC 기부금 허용 선언이다. 케네디 주니어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정부의 백신 의무화 정책은 시민의 자유권을 침해했다. 내가 대통령이 된다면 개인이 자신의 월렛을 갖고 비밀번호를 보관하는데 정부가 개입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특히 모든 사람이 가정에서 비트코인(BTC)을 채굴하고 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기에 30%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다”고 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