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더, 1Q 준비금 중 미국 국채 및 현금성 자산 비중 85% 이상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발행사 테더가 1분기 보고서를 통해 현재 USDT 준비금 보유 상태를 공개했다.
– 준비금 내 담보 대출 비중 8.7%→6.5% 감소
– 미국 국채 비중 64% (530억 달러) 이상
– 현금, 현금 취급 자산(리포, 머니마켓 펀드, 은행 예금 등) 비중 21%
– 은행 예금 비중 90% 이상 감소: 은행 리스크 대응 차원
– 1분기 신규 발행 USDT 100% 미국 국채 및 1일 환매조건부채권 기반
– 준비금내 금(4%), 비트코인(1.8%) 추가
미국 SEC 위원 “미국, 암호화폐 규제 관련 EU 및 영국에 뒤처질 수 있다”
‘크립토맘’으로 불리는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이 미국이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해 EU 및 영국에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고 데일리호들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피어스 위원은 “영국와 EU는 전통 금융 규정을 암호화폐 업계에 적용하는 접근 방식을 취했다. 이들이 구축한 프레임워크가 미국 의원들을 위한 청사진 역할을 할 수 있다. 미국에 규제 체제가 없다는 사실이 우리를 자책하게 만든다. 다수의 사람이 기업을 해외로 이전하면 어떻게 되는지 질문하고 있다. 요점은 우리가 좋은 규제 체제를 구축하면 더 많은 기업이 유입될 것이라는 사실이다”고 전했다.
미국 변호사, ‘리플랩스과 XRP는 공동기업’이라는 SEC 주장은 “터무니없다”
친 리플(XRP) 성향의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이 ‘XRP와 리플랩스는 ‘공동 기업’에 해당한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주장이 “터무니없다”고 트위터를 통해 지적했다. 디튼은 “SEC는 리플랩스와 XRP가 ‘공동기업(common enterprise)’이라고 주장하며 XRP의 증권성을 입증하려 애쓰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리플 측은 SEC에 XRP 보유자는 리플랩스에 대한 어떠한 권리도 갖지 못한다고 반박했지만, SEC는 ‘리플과 XRP 보유자, XRP를 상장한 거래소, XRP을 결제 수단으로 받아드린 회사는 모두 이해 관계가 존재하는 공동 기업’이라는 비논리적이고 과장된 반론을 펼쳤다. 이는 공동 기업의 정의와 전혀 부합하지 않으며 하위테스트(Howey Test, 증권법 적용 위한 테스트)의 작동 방식과도 맞지 않는다”고 전했다.
렛저 CTO “시드문구 복구 기능, 옵션일뿐… 백도어 설치 불가”
암호화폐 하드월렛 제조사 렛저가 시드문구 복구 기능이 포함된 ‘렛저 리커버’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하면서 이용자들 사이에서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렛저 측이 “기능 사용 여부는 사용자가 직접 결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렛저 CTO인 찰즈 길러멧(Charles Guillemet)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백도어(보안해제 악성코드) 설치는 불가능하다. 사용자 본인 만이 렛저에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며 “시드문구 복구 기능은 옵션이다. 원하는 사람이 해당 기능을 활성화, 직접 관리할 수 있다. 셀프 커스터디는 우리의 핵심 원칙으로,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도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연준 메스터 총재 “장기 관점에서 경제성장 더디지만, 인플레 2% 목표 유지”
미국 클리브랜드 연은 총재 로레타 메스터(Loretta Mester)가 16일(현지시간) 연설에서 “현재 추세를 보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 성장이 다소 느린 것으로 판단된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은 장단기적으로 비용을 발생시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플레이션 완화는 장기적 경제 건전성의 핵심이다. 아울러 중립금리는 지금보다 다소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제증권위 위원장 “곧 국제적 암호화폐 규정안 공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국제증권위원회(IOSCO) 위원장 폴 세르베(Jean Paul Servais)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관리기금협회 행사에서 “국제적인 암호화폐 규정을 조만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각국의 기존 규제가 암호화폐 업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등을 포함해 두루 살펴보고 있다. 우리가 준비 중인 규정이 확정되면, 최초의 국제적 매뉴얼이 제공되는 셈이다. 이 규정은 다국적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해 기존 규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그 범위를 명확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IOSCO에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규제당국이 회원사로 가입돼 있다. IOSCO 규정은 의무사항이 아닌 권고사항이라고 미디어는 덧붙였다.
EU 이사회, 암호화폐 규제안 만장일치 승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27개 회원국을 대표하는 유럽연합(EU) 이사회는 화요일 만장일치로 암호화폐 규제안 미카법을 승인했다. 또 암호화폐 이체 관련 새로운 자금세탁방지조항에도 동의했다. 미카법은 암호화폐 기업의 라이선스 의무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준비금 보유 의무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4월 코인니스는 EU 의회가 미카법을 통과시켰다고 전한 바 있다.
베렌버그 “코인베이스 투자의견 중립…SEC 규제 이슈”
독일 투자은행 베렌버그가 15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곧 코인베이스의 스테이킹 서비스와 관련 규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며, 코인베이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Hold)으로, 목표주가를 55달러로 제시했다. 베렌버그는 “코인베이스의 1분기 순익 7억 3600만 달러 중 37%는 비트코인(BTC) 이외의 암호화폐 거래와 스테이킹 서비스 수수료 수익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SEC가 곧 코인베이스에 크라켄이나 비트렉스와 같은 스테이킹 서비스 중단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다른 암호화폐 규제 조치로 거래소 수익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날 코인베이스 주가는 60.77 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블록파이 채권자 위원회 “회사 파산, 경영진 실책 때문”
지난해 챕터11 파산 보호를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BlockFi) 경영진이 회사 파산과 관련, “FTX, 알라메다 사태의 피해자”라고 언급한 데 대해 블록파이 채권자 위원회가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경영진 실책이 컸다”고 반박했다. 채권자 위원회는 “FTX 붕괴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침체에 빠졌을 때 블록파이는 2.4억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 고객에게 상당한 재정적 손실을 입혔고 세금 문제도 불거졌다”며 “또한 경영진은 3000만달러 보험 가입을 위해 고객 자금 2250만달러를 추가 인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영진은 파산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니스는 블록파이가 사업 매각을 포기하고 플랫폼 청산에 돌입한다고 전한 바 있다.
시카고 연은 “지난해 암호화폐 플랫폼 코인런, 고액 자산가 주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연구 결과 지난해 셀시우스 등 암호화폐 플랫폼의 ‘코인런’을 고액자산가와 기관 고객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시카고 연은은 “셀시우스의 경우 회사가 출금을 동결하고 파산을 신청하기 직전인 6월 전체 출금 건수의 35%가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계좌에서 이뤄졌다. 투자금이 50만 달러 이상인 계좌의 출금 속도가 특히 빨랐으며, 인출 규모도 컸다. FTX의 경우 단 하루만에 예치금의 4분의 1이 인출됐다. 보이저디지털은 지난 5월 전체 자산의 14%가 출금된 이후, 6월 12일부터 7월2일까지 단 20일 만에 고객 예치금의 39%을 잃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내역 모두 공개”…국회 정무위, 자진신고 결의안 합의
이데일리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가 가상자산 보유·투자 등을 자진 신고하는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합의했다. 정무위 관계자는 “가상자산을 담당하는 상임위다보니 상임위 차원에서 정무위원부터라도 가상자산 전수조사에 응하는 것이 의미 있다는 논의가 나왔다”고 전했다. 정무위는 조만간 초안을 마련하고 해당 내용이 담긴 결의안을 전체회의를 열어 채택하겠다는 방침이다.
미 SEC, 코인베이스 요청 ‘암호화폐 규제 명확성 질의’ 답변 거부
코인베이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암호화폐 규제 명확성 관련 질의에 대한 답변을 요구한 가운데, SEC가 이를 거부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SEC는 “코인베이스는 정부 기관에 특정 의무를 이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권리가 없다.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코인베이스는 법원에 답변을 강제하기 위한 이의를 제기했지만, 위원회가 코인베이스가 요구한 일정(10일 이내)에 따라 답변을 해야 하는 법적 의무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규제 명확성 관련 SEC의 답변을 요구하기 위해 법원에 제기했던 이의가 제3순회항소법원에서 받아들여졌다. 이에 따라 SEC는 10일 이내에 우리의 청원에 답변을 제출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비밀경호국 “암호화폐 및 자체 발행 NFT 보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비밀경호국(U.S. Secret Service)이 15일(현지시간) 레딧에서 ‘암호화폐 범죄’를 주제로 진행한 AMA에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NFT 컬렉션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블록체인은 불법 금융 자금을 추적하기에 탁월한 도구”라고 평가했다. 한편, 비밀경호국이 샌프란시스코 사무소 이미지를 바탕으로 발행한 NFT가 현재 오픈씨에서 판매되고 있다.
BNY멜론, 모든 비즈니스에 디지털자산 서비스 통합 계획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수탁은행인 BNY멜론(BNY Mellon)이 모든 비즈니스에 디지털자산 관련 서비스를 통합할 계획이라고 미국 금융 전문 미디어 아메리칸뱅커(AmericanBanker)가 보도했다. 로만 레겔만(Roman Regelman) BNY멜론 디지털자산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BNY멜론은 분산 원장 기술, 토큰화, 디지털 캐시 등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화 전략을 구상 중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토큰화 자산은 증권으로 간주할 계획이다. 정확한 일정이 확정된 건 아니지만, 내년 안에 이를 실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디지털자산이 암호화폐만을 가리키는 건 아니다. 암호화폐는 디지털자산의 한 종류일 뿐이다”라고 부연했다.
미 SEC “점프 트레이딩, 테라폼 랩스와 극비리 계약 체결”… 법원 서류 제출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법원에 서류를 제출, 점프 트레이딩(Jump Trading)이 테라USD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테라폼 랩스와 극비리 계약을 체결했었다고 지적했다. 서류에 따르면 점프 트레이딩은 과거 테라폼 랩스와 극비리 계약을 체결, 약 10억 달러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KBS 보도를 인용, SEC가 권도형 테라폼랩스 공동 창업자가 미국의 한 대형 투자회사와 짜고 시세조작을 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미디어는 “SEC가 해당 업체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전 테라폼랩스 개발자 A씨는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점프크립토’라고 지목했다. A씨는 점프크립토와 권도형 사이에 극비리 계약이 있었으며 스테이블 코인(테라)의 가격을 1달러에 유지시키고 루나의 가격을 좀 띄우는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애틀랜타 연은 총재 “금리 인하 예상하지 않는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 라파엘 보스틱(Raphael Bostic)이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올해 연말 인플레이션이 3%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찰스 호스킨스 카르다노 창업자 “암호화폐 옥죄는 미국 민주당 광기 막으려면 표심으로 응징해야”
카르다노(ADA) 창업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지난 10일 미국 하원 농업위원회-금융서비스위원회 합동 암호화폐 규제 청문회가 열리기 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내부 지침 성격의 메모를 사전에 전달받은 것과 관련해 “이 광기(madness)를 막을 유일한 방법은 다음 선거에서 표심으로 분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크립토베이직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호스킨스은 “암호화폐를 옥죄는 정부의 규제를 막으려면, 암호화폐 지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줘야 한다. 합동 청문회 전 민주당 의원들에게 전달된 메모로 추정하건대, 정부가 대대적인 암호화폐 규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