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5/14)

마이클 세일러 “미국 은행 위기로…스마트 머니 비트코인으로 몰려들고 있어”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마이크로스트레지 공동 창업자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미국 은행의 붕괴 및 화폐 가치 붕괴로 스마트머니들이 비트코인으로 몰려들고 있다”고 전했다고 데일리호들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세일러는 “은행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법정화폐에 대한 신뢰도 따라 잃게 된다. 법정화폐 시스템은 확실히 몰락하고 있다. 베네수엘라에서, 아르헨티나에서도 법정화폐는 무너져가고 있으며, 최근 미국과 서유럽에서도 비슷한 징조가 나타나고 있다. 기존 통화 시스템에 대한 신뢰 붕괴는 금, 비트코인과 같은 ‘상품’ 성격의 ‘화폐’를 보다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특히 비트코인은 기타 ‘상품 화폐’보다 빠른 속도, 유지 비용, 대체 가능성, 낮은 수수료 등 강점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공동설립자, 이번주 $4880만 자사주 매입
프레드 에르삼(Fred Ehrsam) 코인베이스 공동설립자가 이번주 자사주 81만주를 매입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약 4880만달러 상당이다. 현재 그는 3개 법인을 통해 자사주 560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그를 비롯해 에밀리 최(Emilie Choi) COO, Surojit Chatterjee 전 CPO는 2021년 4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자사주 매도로 총 12억달러 수익을 거둔 바 있다.

홍콩 정부 산하 사이버포트 관계자 “홍콩, 글로벌 가상자산 기업이 비즈니스하기 가장 좋은 지역”
코인니스와 홍콩 정부가 운영하는 최대 테크노벨리 사이버포트, 중화권 최대 블록체인 기업 완샹이 함께 진행하고 있는 ‘홍콩 웹3 101’웨비나에서 레이첼 리 사이버포트 핀테크 부문 총괄이 “홍콩은 아시아의 가상자산 기업 허브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전세계 블록체인 기업의 홍콩 진출을 지원할 것이며, 영어가 통용되는 홍콩은 글로벌 가상자산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진행하기 가장 좋은 지역이 될 것이다. 나아가 홍콩에 적을 두고 있지 않은 기업이라도 홍콩을 교두보로 다양한 가상자산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진행중인 웨비나에는 하오위쿤 중국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표준 위원회 위원장 겸 완샹 블록체인 랩스 총괄, 레이첼 리 사이버포트 핀테크 부문 총괄, 김수민 코인니스 글로벌 BD 헤드 등이 홍콩 웹3 산업 및 글로벌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a16z 등 4000만불 투자 NFT게임, 미국 규제로 개발 중단
디크립트에 따르면 NFT 게임 메차파이트클럽(MechaFightClub, MFC)이 미국 암호화폐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개발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전했다. 프로젝트 측은 “규제 문제로 인해 미국 내 암호화폐 미래가 불확실하다고 판단된다. 다른 나라로 이전하기엔 일정 기간 팀 멤버가 미국을 떠나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며 “현재 개발 중인 게임은 현재 알파 단계로, 플레이는 가능하나 완성도가 부족하다. 향후 계획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메차파이트클럽은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주도 하에 4000만 달러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스타링크, 엘살바도르 학교 내 도입… 초고속 인터넷 제공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엘살바도르 교육부가 학교 내 스타링크를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타링크 측은 “교육부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엘살바도르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 툴 및 스타링크 인터넷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는 해당 내용을 리트윗 했다. 엘살바도르는 전세계 정부 최초로 비트코인에 직접 투자하는 등 비트코인에 가장 우호적인 국가로 꼽힌다.

테라 사태 피해자들, 점프트레이딩에 소송 제기
블록웍스에 따르면 미국 뉴저지에 거주 중인 김모씨가 복수의 투자자들을 대표해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점프트레이딩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테라폼랩스 점프트레이딩과 공모해 2021년 5월 19일 스테이블코인 UST 가치 폭락 이후, UST 가격을 인위적으로 부풀렸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실제로 UST가치가 안정적으로 1달러를 회복했다는 오해를 하게 했다는 주장이다. 점프트레이딩은 테라 사업 초기 LUNA와 UST에 마켓 메이킹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몬테네그로 법원, 권도형 보석 석방 결정
몬테네그로 현지 미디어 pobjeda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현지 1심 법원이 문서 위조죄로 기소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에 대해 40만 유로 상당의 보석 청구를 받아들였다.

지미 송 “비트코인 투자, 미래 계획 능력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것”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 출신 지미 송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투자를) 비트코인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에게 부여한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부분의 유일한 계획은 퇴직연금 뿐이다. 그들은 미래에 어떤 돈이 필요할지 예측할 수 없다는 단순한 사실로 인해 거창한 목표를 세우곤 한다”라고 지적했다.

애널리스트 “밈코인, 궁극적으로 무가치”
최근 밈코인 열풍과 관련,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벤자민 코웬(Benjamin Cowen)이 트위터를 통해 “대부분의 밈코인은 궁극적으로 가치가 없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밈토큰 발행자들은 투자자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들의 목표는 시장에서 최대한 많은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속임수에 넘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레이스케일 BTC 신탁 상품 프리미엄 -39.77%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의 프리미엄이 -(마이너스) 39.77%를 나타내고 있다. ETH는 -51.64%, ETC는 -61.74%, LTC는 -44.89%

미국 상공회의소 “SEC에 암호화폐 규제 명확성 촉구한 코인베이스 의견 지지”
미국 상공회의소는 코인베이스를 지지하는 아미쿠스 브리프를 제출하고 “어떤 디지털 자산이 ‘증권’으로 분류되는지 명확하게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는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 1조 달러 규모에 달하는 디지털자산 경제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준’이자, 규제의 문제다”라고 전했다.  얼마전 패러다임은 “SEC가 구체적인 지침을 발표하지 않은 상황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나 프로젝트에 증권법 위반을 적용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며 아미쿠스 브리프를 제출한 바 있다. 아미쿠스 브리프는 법원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전문가 단체 등 제3자가 해당 사건에 대한 견해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