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5/2)

외신 “부탄, 수년전부터 BTC 채굴 한 듯”
부탄이 수년간 암호화폐를 채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블록웍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구체적인 기간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부탄은 비트코인(BTC) 가격이 약 5000달러였을 무렵부터 BTC를 채굴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따져보면, 부탄은 지난 2019년 4월경 BTC 채굴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탄은 저렴한 수력 발전을 활용해 BTC를 채굴해왔으며, 상당량의 채굴기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벤처캐피털 a16z, 영국 재무부에 “암호화폐 규제” 관련 피드백 제출
영국 재무부가 암호화폐의 금융 서비스 규제와 관련해 피드백을 수집하는 가운데, 미국 벤처캐피털(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블록체인 및 웹3 업계의 고유 리스크 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규제기관과 협력할 것이다”며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a16z는 “정책 결정을 위한 재무부의 투명한 접근 방식을 지지한다.  암호화폐는 다양한 리스크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 탈중앙화가 관련 리스크를 완화 혹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디파이의 경우, 시파이와 유사할 수 있지만 구조상 특징으로 고유의 리스크 요소를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일률적인 접근 방식에 따라 기존 규제를 확장하기 보다는 디파이를 위한 맞춤형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소더비, P2P 2차 NFT 마켓 출시…사용자 간 거래 지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세계 양대 경매회사 중 하나로 꼽히는 소더비(Sotheby’s)가 P2P 2차 NFT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마켓은 NFT 제작자-구매자뿐만 아니라 구매자-구매자 간 거래도 지원한다. 또 이 마켓은 이더리움 및 폴리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ETH, MATIC을 통해 NFT 구입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해킹으로 탈취한 코인베이스 계정, 다크웹서 개당 $610에 거래
핀볼드가 개인정보보호 연구단체 프라이버시어페어닷컴(PrivacyAffairs.com) 보고서를 인용해 다크웹에서 해킹으로 탈취한 코인베이스 계정이 개당 약 61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얼마 전 다크웹에서 크라켄 사용자 계정이 최저 810 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이처럼 최근 다크웹에서는 암호화페 사용자 계정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은 해킹으로 탈취하더라도 추적이 어렵고 피해자들의 구제도 쉽지 않아 범죄자들의 타겟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울팔 “법정화폐 위상 흔들…비트코인, 최고의 수익률 보여줄 것”
골드만삭스 출신의 유명 매크로 투자자이자 리얼비전(Real Vision)의 최고경영자(CEO)인 라울 팔(Raoul Pal)이 트위터를 통해 “법정화폐의 위상이 흔들리고 은행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암호화폐는 그 어떤 자산군보다 좋은 수익률을 보여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여러 자산군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가운데, 이와 상반되는 성과를 보여줄 자산은 단 2개뿐이다. 바로 고품질의 암호화폐와 기술주다. 암호화폐는 글로벌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에서 가장 높은 베타를 갖고 있다. 부동산, 금, SPX, 채권도 암호화폐만큼 높은 베타를 갖지는 못한다. 특히 비트코인은 지금과 같은 경제 상황에 대비해 발명됐다. 이더리움(ETH) 역시 최고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손을 놓고 있겠다면, 반드시 손실을 입게 될 것이다. 자신이 투자하는 자산의 수익률이 매년 10%를 넘지 못한다면, 그것은 사실상 손실을 보고 있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바이낸스 CEO “홍콩, 중국 암호화폐 개방 ‘시험장’ 역할… 현명한 조치”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1일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진행 중인 AMA에서 “은행이 암호화폐 업계를 지원하고, 관련 교육을 받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홍콩은 암호화폐에 대해 매우 개방적이고, 이는 매우 좋은 변화다. 홍콩을 중국 본토 암호화폐 개방의 ‘시험장’으로 삼은 것은 현명한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홍콩 통화청이 암호화폐 업체와 은행 간 원탁회의를 개최하고 뱅킹 서비스 지원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한 바 있다.

JP모건, 퍼스트리퍼블릭 뱅크 인수
블룸버그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금융보호혁신부(CDFIP)가 1일(현지시간) “JP모건체이스가 퍼스트리퍼블릭뱅크의 모든 비보험 예금과 모든 자산을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NBC 진행자 “DCG, 그레이스케일 매각 추진 중”
CNBC 크립토트레이더 쇼(Cryptotrader show) 호스트 랜 노이너(Ran Neuner)가 지난달 3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이 자회사인 그레이스케일 매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DCG는 5월 안에 제네시스로부터 받은 5억 달러 상당의 대출을 상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친리플 미 변호사 “코인베이스의 XRP 상폐, SEC 압박 있었을 것”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이 최근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가 2021년 리플(XRP) 거래지원을 중단한 배경에는 코인베이스의 IPO(기업공개)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코인베이스는 당시 SEC의 승인이 필요했고, SEC는 리플과 소송 중이었다. 코인베이스는 승인을 받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록 “5nm 암호화폐 채굴용 칩 설계 완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트위터 공동 창업자 잭 도시가 만든 결제 서비스 블록(구 스퀘어)이 새로운 프로토타입 ASIC 칩의 설계를 완료했다고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밝혔다. 블록은 “비트코인 채굴 하드웨어 생태계 규모 확대를 위해 새로운 5nm 암호화폐 채굴용 칩 설계를 완료했다. 이를 위해 인텔에서 대량의 ASIC칩을 구입했다. 추후 가능한 경우 비트코인 채굴 기술을 오픈소스로 만들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데스크는 블록이 인텔로부터 비트코인 채굴용 AISC 칩을 매입했다고 전한 바 있다.

러 재무차관 ”암호화폐, 리스크 크지만 무역 거래 활용 가능”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알렉세이 모이세브(Alexei Moiseev) 러시아 재무부 차관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경제 포럼에 참석, “암호화폐는 기본적으로 악하며, 여기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매우 큰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그럼에도 암호화폐를 사용할 만한 케이스는 있다. 우리는 대외 무역 거래에서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법안을 마련하고 중앙은행, 여러 부처 및 법 집행기관 대표 등이 참여한 특별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앞서 러시아 두마(하원) 금융위원회 위원장 아나톨리 악사코프(Anatoly Aksakov)가 내년 1월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국제 무역 결제를 합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제미니 “제네시스-채권단 협상 지지…진행 속도는 아쉬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 및 대출 업체 제네시스의 주요 채권자 중 한 곳인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제네시스와 채권단 간의 30일 중재 절차 합의를 언급하며 “제네시스, 디지털커런시그룹(DCG), 무담보채권자위원회(UCC), 제미니 등 주요 이해 관계자들은 30일 간의 중재 절차 시작에 합의했다. 최대한 빨리 채권 회수 등 최종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제미니 측은 “중재 절차를 지지하지만 진행 속도 측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존재한다. 우리는 사안의 긴급성 등을 각 이해 관계자들에게 피력했으며, 법원과의 다음 회의는 5월 4일(현지시간) 진행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제네시스와 채권단의 이번 중재 절차는 손실된 자금의 80%를 회수하기 위한 출구 계획안 구체화 및 추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 2월 법원에 제출된 해당 구제안은 DCG가 적극 찬성했지만 UCC가 불합리한 조건을 문제삼으며 난항을 면치 못했다. 이와 관련 제네시스 측 변호사 숀 오닐은 “5월 8일(현지시간)까지 채권단과 두 차례의 중재 세션을 가질 예정이며, 이후 최종 협상 조건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 “완만한 경기침체, 이미 시작됐다…추가 금리 인상→경기침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전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데이터는 지연 시간이 너무 길다. 마일드리세션(Mild recession, 완만한 경기침체)은 이미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탄광의 카나리아였던 실리콘밸리은행(SVB)부터, 가장 잘나가는 광부 중 한 명이었던 크레디트스위스도 살아남지 못했다. 추가 금리 인상은 심각한 경기침체를 야기할 것이다. 테슬라, 스타링크, 트위터 등을 운영하는 내 머릿속에는 누구보다 많은 실시간 글로벌 경제 데이터를 갖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CME 페드워치 “5월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85.2%”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오는 5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25bp) 인상할 확률을 85.2%로 점치고 있다. 금리 동결 가능성은 14.8%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5/1 2300 미국 4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5/2 1330 호주 금리결정, 1800 유럽 4월 소비자물가지수
-5/3 1800 유럽 3월 실업률, 2300 미국 4월 ISM 비제조업구매자지수, 2330 미국 원유재고
-5/4 0300 미국 FOMC 기준금리 결정, 0330 FOMC 기자회견, 2115 유럽 금리결정, 2115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 회의 보고서, 21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45 유럽중앙은행 기자회견, 2315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 연설
-5/5 2130 미국 4월 비농업고용지수, 2130 미국 4월 실업률

글래스노드 과거 비트코인 반감기 데이터 정리
다음 반감기까지 대략 1년이 남았다며, 글래스노드가 과거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의 주요 데이터를 발표했다:
1.시가총액
1차 반감기: 470배 증가
2차 반감기: 80배 증가
3차 반감기: 16배 증가
현 반감기: 2.5배 증가 중

2.실현 시가총액(각 코인이 마지막으로 온체인에서 거래됐을 때를 기준으로 가격 책정)
1차 반감기: 424배 증가
2차 반감기: 75배 증가
3차 반감기: 17배 증가
현 반감기: 2.7배 증가 중

3.0 BTC 초과 보유 주소 수
1차 반감기: 1,333,620% 증가
2차 반감기: 780% 증가
3차 반감기: 233% 증가
현 반감기: 50% 증가 중

4.네트워크에서 결제된 USD 가치
1차 반감기: $107.6억
2차 반감기: $6900억
3차 반감기: $12.18조
현 반감기: $94.8조(곧 $100조 돌파 예상)

5.해시레이트 증가율
1차 반감기: 1,416,940,400% (CPU-> GPU -> ASIC)
2차 반감기: 5,435,800%(ASIC 시대)
3차 반감기: 7,660%
현 반감기: 175%

6.거래 수수료
1차 반감기: $8.13만
2차 반감기: $1140만
3차 반감기: $10.3억
현 반감기: $10.51억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