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대표 “SEC 위원장 ‘암호화폐 새 규제법 불필요’ 발언, 의회서 문제 삼아야”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XRP) 대표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최근 하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서 언급한 ‘기존 증권법으로 암호화폐 규제하기 충분하다. 추가 법률 제정은 불필요하다’는 발언은 의회가 나서 문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갈링하우스는 “게리 겐슬러는 SEC가 어떤 암호화폐가 증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새로운 규제법 도입이 불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SEC 자체가 암호화폐의 증권 분류 여부를 결정짓는 기준 법률이 될 수는 없다. 명확한 규정이 없으면 ‘모호함’이 곧 권력으로 가장한다. 게리 겐슬러는 독재자처럼 행동하고 있다. 그는 SEC 권력의 원천으로 ‘모호함’을 악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LG전자, 클레이튼 거버넌스카운슬 탈퇴…마브렉스 등 합류
클레이튼(KLAY)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번달 LG전자가 거버넌스카운슬(GC)에서 탈퇴하고 마브렉스, 플레이댑, 도라핵스가 새롭게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오지스-해시드는 서로 분리돼 각각 카운슬 멤버로 활동한다.
ETH 코어 개발자 “다음주 상하이 업그레이드 관련 마지막 메인넷 섀도우 포크 예정”
이더리움(ETH)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Tim Beiko)가 3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30일(현지시간) 개발자 회의 내용을 요약하며 “상하이 업그레이드 테스트는 이제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다음주 마지막 메인넷 섀도우포크와 최신 버전 클라이언트 간 EVM 퍼징(Fuzzing)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섀도우포크는 기존 네트워크 환경 상태에서 모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작업으로, 메인넷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앞서 이더리움 재단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 시간 기준 4월 13일 07시 27분 35초 경 394,048번째 에폭에서 샤펠라(상하이+카펠라)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크레딧코인 “CTC 토크노믹스 변경, 토큰 인플레이션 71.4% 감소 효과”
크레딧코인(CTC)은 30일(현지시간) 공개한 크레딧코인 2.0+ 토크노믹스가 적용되면 실질적으로 연간 토큰 인플레이션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크레딧코인 측은 전날 크레딧코인 2.0+ 버전의 토크노믹스 개선안을 제시하며 CTC 최대 발행량을 기존 20억개에서 무제한으로 변경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크레딧코인 측은 “기존 토크노믹스 환경에서는 연간 약 1470만 개의 CTC가 공급되지만, 크레딧코인 2.0+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연간 430만 개의 CTC가 공급된다. 연간 토큰 인플레이션은 기존 토크노믹스 대비 71.4% 감소하는 셈이다. 2.0+ 버전 토크노믹스가 적용되면 이전 토크노믹스 상의 CTC 총 공급량인 20억 CTC가 발행되기까지 300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크레딧코인은 또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작업증명 방식(PoW)에서 지분증명 방식(PoS)으로 전환되며, 블록 생성 주기를 60초에서 15초로 단축해 결제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처리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부연했다.
스시스왑 CEO “美 SEC 규제 단속, 힘 빠진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자레드 그레이(Jared Grey) 스시스왑(SUSHI) 최고경영자(CEO)가 30일(현지시간) 디스코드 커뮤니티에서 진행한 커뮤니티 콜에서 “미국 규제 당국의 암호화폐 산업 단속 강화에 힘이 빠진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안티-크립토(반 암호화폐) 군대를 만들겠다고 재선 공약을 거는 등 지금 미국의 규제 측면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면 동기부여가 없어지는 느낌이다”라며 “변호사의 조언에 따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받은 소환장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겠다. 다들 알다시피 우리는 소환장을 받았고 규제 당국에 협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주 스시스왑 CEO는 SEC로부터 소환장을 받았다며 스시스왑 트레저리에서 약 400만 달러 상당의 자금을 ‘스시 DAO 법률 방어 펀드’로 구성하자는 제안을 한 바 있다. 이는 DAO의 연간 운영비와 맞먹는 수준으로, 거버넌스 투표 참여자의 약 1/3이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전해졌다.
USDC 시총 감소세 지속… 지난 2주간 $100억 감소
더블록에 따르면 서클의 스테이블코인 USDC 시총이 지난 2주 동안 약 100억 달러 감소한 325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스티븐 정 더블록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3월초 (은행 유동성 위기 및 파산으로 인한 USDC 디페깅 사태로 USDC에 대한 투자자와 트레이더의 신뢰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지난 24시간 기준 USDC→달러 순 상환액은 4,630억 달러다. 해당 기간 서클은 4,870억 달러 상당의 USDC를 소각, 2,410만 달러 상당의 USDC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라울프, 지난해 4Q 매출 960만 달러… 전분기比 큰폭 증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채굴 업체 테라울프(TeraWulf)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 해당 기간 매출이 960만 달러로 전분기(390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테라울프 측은 “채굴 용량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몇몇 채굴 업체가 암호화폐 윈터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합병 기회가 다양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캐나다 규제 당국에 사전등록 신청서 제출
코인베이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캐나다 규제 당국에 강화된(Enhanced) 사전등록약속(PRU) 서류를 제출했으며 전 쇼피파이(Shopify) 임원인 루카스 매더슨(Lucas Matheson)을 캐나다 지사장으로 고용했다고 발표했다. 거래소 측은 “지난 24일(현지시간) PRU에 서명했다. 우리는 캐나다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와 관련해 정책 입안자와 계속해 협력하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캐나다 투자자를 위해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데스크는 캐나다 당국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규정을 강화하는 가운데 코인베이스가 규제 기관과 라이선스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 항공사, 모든 e-티켓 NFT로 발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항공사 플라이본디(Flybondi)가 발권 프로세스에 웹3를 도입, e-티켓을 NFT로도 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2년 9월 체결한 NFT 티켓팅 기업 트래블X(TravelX)와의 기존 파트너십을 확장한 것이다. 이용자는 알고랜드 블록체인 기반 NFT 발권 기술을 이용해 법정화폐로 NFT 티켓을 구매 및 양도할 수 있으며, 티켓 3.0 시스템을 통해 NFT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티켓은 기존 e-티켓과 함께 동기화된 NFT로도 발급된다. 플라이본디 측은 “해당 서비스를 통해 고객 서비스 비용은 줄이고 거래 수수료 수익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3월 BTC 채굴자 수익 최소 7.18억 달러… 10개월래 최대
더블록 리서치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기준 3월 비트코인 채굴자 수익이 최소 7.18억 달러로,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더블록은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면서 해시레이드가 증가했고 블록타임이 단축됐다. 그 결과 채굴 업계에 더 많은 가치가 창출됐다”고 설명했따.
3IQ 리서치 책임자 “BTC, 전통 안전자산보다 우수한 성과 거둬”
디지털자산 투자펀드 운용사 3IQ의 리서치 책임자인 마크 코너스(Mark Connors)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전통적인 안전자산보다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규제 역풍, 은행 업계의 불확실성, 일부 악의적 행위자의 업계 퇴출 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한달 동안 비트코인 가치(시가총액 기준)가 약 20% 증가했다. 반면 금은 약 8% 증가, 미국 10년 만기 국채는 4.3% 감소했다”며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행정부는 해당 업계를 통제하려고 하는 것일뿐 없애려는 의도는 아니다”고 전했다.
BTC-S&P500 상관관계, 2021년 9월 이후 최저
CNBC가 코인메트릭스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과 S&P 500의 상관관계가 2021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거래 앱 스완비트코인 소속 애널리스트 샘 칼라한(Sam Callahan)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지속적인 은행 리스크에 대한 헷지 수단이자 높은 인플레이션의 경질자산(Hard Asset)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한 갤럭시디지털의 리서치 책임자인 알렉스 쏜(Alex Thorn)은 “비트코인 가치는 주식을 통한 수익 증가보다는 네트워크 효과 및 희소성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상관관계 데이터는 비트코인이 안전자산과 같은 퍼포먼스를 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비자-폴드, 파트너십 확장… 북미·유럽 등 네트워크 독점 계약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자(Visa)가 친암호화폐 쇼핑 애플리케이션 폴드(Fold)와 파트너십을 확장했다. 이에 따라 비자는 폴드의 북미, 유럽,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지역 내 신용 상품 등에 대한 독점 네트워크 파트너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폴드는 지난 2020년 비자와 파트너십을 체결, 기본 보상 포인트 대신 비트코인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비자 신용카드를 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비자의 암호화폐 부문 총괄 카이 셰필드(Cuy Sheffield)는 “최근 사태에도 불구하고 비자는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에 전념하고 있다. 암호화폐가 금융 서비스 및 자금 이체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영국 규제기관, 암호화폐 자금세탁 및 사기범죄 감독 강화
더블록이 영국 규제기관이 30일(현지시간) 발표한 3개년 경제범제계획을 인용 “영국 재무부와 내무부는 암호화폐 자금 세탁 및 사기에 등 범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기관은 “해당 계획은 사기 사건 및 자금 세탁을 규제하고, 탈취 당한 자산을 회수하고, 도난 및 제재 회피를 방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영국은 범죄자들이 향후 규제가 부족한 암호화폐 거래소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 국가 간 협조를 통한 법 집행 조치가 필요하다고 평가한다.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미 국제 파트너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드웨어 월렛 제조사 렛저, 기업가치 1.8조원…1400억원 추가 조달
블룸버그에 따르면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제조사 렛저가 1억 유로(1.09억 달러, 1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 과정에서 13억 유로(약 1.8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트루 글로벌 벤처스, 디지털 파이낸스 그룹, 베이너 펀드 등이 이번 투자 라운드에서 새로운 투자자로 참여했다.
시티 “CBDC·자산토큰화로 디지털 자산 대규모 채택 이뤄질 것”
시티그룹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CBDC와 실물 자산 토큰화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으로의 대규모 유입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티는 ‘화폐, 토큰, 그리고 게임’보고서에서 10년 안에 5조 달러 이상의 CBDC가 유통될 것이다. 상호운용 가능한 결제 수단이라는 점과 개발도상국들의 도입으로 인해 CDBC 채택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보고서는 디지털 자산 대규모 채택의 두번째 배경으로 전통 자산의 토큰화를 꼽았다. 보고서는 “자산 토큰화 시장이 2030년까지 거의 4조 달러의 가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추정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의 “킬러 사용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짐 크레이머 “미국 SEC, 리플과 소송서 패소할 수도” 발언에 커뮤니티 긴장
CNBC 프로그램 ‘매드 머니’를 진행하는 짐 크레이머(Jim Cramer)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RP)과의 소송에서 패소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고 크립토베이직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짐 크레이머는 그간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에서 크레이머의 예측은 거의 정반대의 결과를 불러오는 소위 ‘인간지표’의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의 이번 발언에 대해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리플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도 트위터에서 크레이머의 발언을 공유하며 ‘그가 XRP를 언급한 뒤 가격이 휘청거렸다’고 농담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