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 검찰청, 쿠코인에 소송 제기
미국 뉴욕 검찰청(NYAG)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쿠코인(Kucoin)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미국 뉴욕 검찰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더리움, 루나, 테라USD는 모두 증권이다. 쿠코인은 미등록 증권 및 상품을 뉴욕 주 시민에게 제공했다. 이번 소송은 미등록 암호화폐 플랫폼 규제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고 전했다.
JP모건 “실버게이트 은행 파산, 암호화폐 업계에 큰 타격”
유투데이에 따르면 JP모건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실버게이트 은행의 파산은 암호화폐 업계의 또 다른 좌절을 가져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JP모건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달러 입출금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실버게이트 파산은 빠르고 효율적인 입출금 시스템 의존도가 큰 암호화폐 업계에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했다.
3월 연준 기준금리 50bp 인상 가능성 68.3%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3월 연준의 기준금리 50bp 인상 가능성은 68.3%로 점쳐졌다. 전날 이 수치는 76.4%였다.
스타벅스 NFT 로열티 보상 프로그램 오디세이, 첫 유료 NFT 발행
디크립트에 따르면 스타벅스의 NFT 기반 웹3 로열티 보상 프로그램 오디세이가 10일 오후 3시(EST 기준) 플랫폼 베타 사용자를 위한 첫 유료 NFT 컬렉션을 발행한다. 해당 NFT는 모두 2,000개 발행되며, 가격은 100달러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폴리곤 기반 NFT 리워드 프로그램 오디세이의 베타 버전을 출시한 바 있다.
3ac 공동 창업자 “OPNX, 포트폴리오 마진 기능 특징”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 애로우 캐피탈(3ac) 창업자 쑤주와 카일 데이비스가 9일(현지시간) 인터뷰를 통해 “OPNX는 암호화폐 청구권 거래 및 파생 상품을 위한 전세계 첫 퍼블릭 마켓으로, 포트폴리오 마진(Portfolio Margin)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고 말했다. 앞서 OPNX는 2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룩셈부르크 디지털 증권 플랫폼, 아발란체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 프로토콜 출시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룩셈부르크 기반 디지털 증권 플랫폼 DEFYCA가 아발란체(AVAX) 테스트넷에서 실물 자산 토큰화 프로토콜을 이달 중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DEFYCA는 “유동성풀로 구성된 프로토콜에서 개인 크레딧, 채권 등 토큰화된 자산이 발행된다. 투자자는 알고리즘 전략 활용, 거래할 수 있다. 프로토콜 메인넷은 7월 출시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헤데라 재단 “스마트 컨트랙트 이상 징후 조사 중”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 재단이 트위터를 통해 “헤데라 코어 팀이 스마트 컨트랙트 이상 징후를 조사 중이다. 현재 팀은 생태계 내 디파이 팀과 협력해 이에 대한 원인과 잠재적 영향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헤데라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소서스왑(SaucerSwap)은 트위터를 통해 “헤데라 네트워크가 취약점에 노출됐다. 공격자는 랩핑 자산을 보유한 팡골린, 헬리스왑 풀을 공격했다. 소서스왑은 사용자 자금이 도난당했다는 보고는 아직 없지만 안전을 위해 사용자들은 즉각 유동성을 철회할 것을 권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깃코인 프레젠트 NFT 24시간 거래량 1200만 달러 돌파.. 오픈씨 1위
깃코인 프레젠트(Gitcoin Presents) NFT 컬렉션의 지난 24시간 거래량이 8,167 ETH(약 1250만 달러)를 기록, 오픈씨에서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 코인데스크는 “해당 컬렉션은 깃코인과 메타레이블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포스팅한 ‘2차 펀딩(Quadratic Funding)’ 컬럼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것으로, 비탈릭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시장에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외신 “후오비-폴로닉스 합병 예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진써차이징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암호화폐 거래소 폴로닉스가 합병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폴로닉스의 다수 부서가 후오비 산하로 이전되며, 대다수 직원들이 후오비 팀에 합류한다. 후오비와 폴로닉스는 저스틴 선 트론(TRX) 설립자를 구심점으로 두고 있다. 지난 2019년 저스틴 선은 폴로닉스 인수에 참여했으며, 현재 후오비의 고문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지난해 11월 저스틴 선은 “미래 후오비와 폴로닉스가 합병될 수 있다. 다만 아직 합병 계획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미 연준 부의장 “스테이블코인, 다양한 혼란 야기… 조심스러운 접근 필요”
외신에 따르면 전 리플(XRP) 이사회 멤버이자 현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인 마이클 바(Michael Barr)가 9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다양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자산은 매우 조심스럽다.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안정성 확보를 강조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이 개인 돈(Private money) 형태인 만큼 여러모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며 “스테이블코인이 관련 뱅크런에 노출돼 있지 않은지 확인해야 한다. 안전장치가 있는 일반적인 은행은 뱅크런에 노출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마이클 바 미 연준 부의장 “암호화폐 혁신 연구 위한 팀 출범”
외신에 따르면 전 리플(XRP) 이사회 멤버이자 현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인 마이클 바(Michael Barr)가 9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암호화폐 혁신 연구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출범했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 투자자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연준은 암호화폐 규제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관련 지침을 계속해 발표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미 연준 부의장 “암호화폐 직접 보유 은행, 안전하지 않은 것 간주”
외신에 따르면 전 리플(XRP) 이사회 멤버이자 현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인 마이클 바(Michael Barr)가 9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은행이 암호화폐를 직접 보유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우리는 암호화폐가 은행에 리스크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여러 경험을 통해 배웠다. 비록 지금까지는 노출이 제한돼 있었지만, 이는 은행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암호화폐 기술은 여전히 잠재적 변형이 가능하지만, 적절한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 은행은 암호화폐를 신중하게 취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외신 “엘살바도르·포르투갈·싱가포르·몰타·UAE, 블록체인 보급 주도 국가 TOP5”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블록체인 기술의 글로벌 보급을 주도하는 상위 5개국으로 엘살바도르, 포르투갈, 싱가포르, 몰타, 아랍에미리트(UAE) 등을 선정했다. 미디어는 ▲개발자 커뮤니티 ▲산업 커뮤니티 ▲투자 커뮤니티 ▲소셜 임팩트 커뮤니티 등을 기준으로 상위 국가를 선정했으며,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엘살바도르.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 국가 주도 비트코인 지갑 ‘치보’ 개발. 50개 도시에 암호화폐 ATM 네트워크 구축. 비트코인 기반 ‘화산 채권’ 발행 추진.
2. 포르투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스타트업 친화적 규제 환경 조성. 공공 서비스에 블록체인 적극 활용. 국가 주도 블록체인 사업자 정보 교류 플랫폼 구축. 암호화폐 납세 허용. 비트코인 ATM 인프라. 기술 자유 구역 지정 추진.
3. 싱가포르. 블록체인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 ICO 가능 국가. 금융당국 주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인프라 조성. 국민 중 43%가 암호화폐 보유.
4. 몰타. 싱가포르와 함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친화적 규제 환경 조성. ‘블록체인을 위한 섬’ 명성. ICO,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규제법. 암호화폐 과세 정책. 블록체인 도입 기업 수 증가 추세.
5.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비즈니스 육성. 암호화폐 전용 경제 자유 구역 지정.
또한, 미디어는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주도하는 기타 국가로 미국, 스위스, 대한민국, 일본, 나이지리아 등을 언급했다.
서베이 “화이트해커 92%, 이더리움에 가장 관심”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중심 버그바운티 플랫폼 이뮨파이(Immunefi)가 최근 화이트해커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2%가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에 매력을 느낄정도로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1%는 솔라나(SOL)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으며, 아발란체(AVAX)라고 답한 응답자고 20.4%를 나타냈다. 이날 설문에서 화이트해커들은 “블록체인 코드 감사 시 가장 자주 발견되는 취약점은 ‘재진입 공격'(Reentrancy attacks)이 꼽혔으며, 접근 통제, 입력 검증(input validation), 오라클 조작, 로직 오류 등이 뒤를 이었다. 또 대다수 해커들은 암호화폐 프로토콜들의 보안 솔루션이 개선되고 있다는 데 동의했다.
지난주 美 신규 실업수당청구 21.1만 건…예상치 상회
지난주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가 21.1만 건을 기록하며 예상치인 19.5만 건을 상회했다
스위프트, CBDC 활용 무역금융 및 증권결제 파일럿 착수
국제은행간통신협회(스위프트)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활용한 무역금융 및 증권결제 파일럿에 착수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테스트는 향후 수개월 간 진행되며 프랑스 및 싱가포르 중앙은행, 스탠다드차타드, 인테사산파올로, BNP파리바 등 은행이 참여한다. 앞서 지난해 스위프트는 글로벌 컨설팅업체 캡제미니(Capgemini)와 협력해 CBDC 국가간 결제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블룸버그 “마운트곡스 최대 채권자, 9월에 받는 BTC 매도 안할 계획”
마운트곡스 최대 채권자가 올해 9월 변제 받을 예정인 비트코인(BTC)을 매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 채권자는 마운트곡스 채권을 매입해 온 마운트곡스 투자 펀드(Mt Gox Investment Fund)다. 관계자는 펀드가 70% 비트코인과 30% 현금 비율로 회수 가능한 금액의 90%를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BTC 회수 물량을 밝히지는 않았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