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변호사 존 디튼 “LBRY 미등록증권 소송 패소, 리플과 다른 케이스”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이 “미국 뉴햄프셔 지방법원이 LBRY를 미등록 증권이라고 판결하며 LBRY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패소했지만, 리플의 패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LBRY의 패소가 리플-SEC 소송의 선례가 될 수 없으며, 리플의 승소 가능성은 줄지 않았다”고 전했다고 유투데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디튼은 “리플이 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승소할 확률은 50%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해당 소송에서 리플이 주장하는 바와 증거 자료들도 LBRY 케이스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10월 기준 올해 美 NFT 상표 출원, 작년 대비 3배 이상 증가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가 트위커를 통해 10월 말 기준 올해 미국 특허청(USPTO)에 접수된 NFT 관련 상표 출원 건수가 작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고 전했다. 콘두디스에 의하면 금년 10월까지 NFT 관련 상표 출원 건수는 6,855 건으로, 이는 지난해 총 출원 건수인 2,142건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메타버스 관련 상표 출원 건수는 1,890건에서 4,997건으로 늘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디지털유로, 유럽의 금융주권 상실 위기 대응책 역할”
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브뤼셀에서 열린 디지털유로 회의에서 “CBDC가 유로존의 금융 주권(Financial Sovereignty) 상실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라가르드는 “빅테크가 결제 분야에 진출하면서 해외 결제와 관련해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유럽의 시장 지배권 및 전략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디지털 유로가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OKX 창업자 “바이낸스·FTX 갈등 격화, 산업 전반에 타격…FTT 매도 결정 철회해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 창업자 쉬밍싱이 8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글로벌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FTX의 갈등이 격화되면 산업 전반이 타격을 입게 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FTX가 또 다른 테라(LUNA) 사태로 번져서 이득을 보는 플레이어는 없다. 바이낸스도 마찬가지다. 사용자는 물론 규제기관들도 암호화폐 산업에 신뢰를 잃어버릴 것이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FTT 매도를 중단하고 샘 뱅크먼 프리드(SBF)와 새로운 계약을 맺을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독일 금융당국 “코인베이스 독일 법인 규정 위반 사항 발견, 시정 명령”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독일 금융당국인 연방금융감독청(BaFin)이 공식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현지법인의 재무제표 감사 과정에서 ‘조직적 결함’을 발견했다며 이에 대한 시정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BaFin 측은 “코인베이스 독일 법인은 독일 은행법 기준을 위반했다. 리스크 관리, IT 시스템, 인력 배치 등과 관련해 시정을 명령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노무라 산하 레이저 디지털, 내년 1분기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출시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의 암호화폐 자회사 레이저 디지털(Laser Digital)의 제즈 모히든(Jez Mohideen) 최고경영자(CEO)가 블록웍스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1분기 암호화폐 전용 거래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레이저 디지털은 두바이와 런던, 스위스 등에서 3개월 이내 55명의 직원을 추가로 채용할 예정이며, 추후 일본과 미국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코스모스, 세 번째 인센티브 테스트넷 ‘게임 오브 체인’ 가동 시작
코스모스(ATOM)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코스모스 생태계 세 번째 퍼블릭 인센티브 테스트넷 ‘게임 오브 체인’ 가동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게임 오브 체인 테스트넷은 7일(현지시간)부터 약 2~4주간 가동되며 약 150명의 검증인이 참여한다. 참여 검증인들은 테스트넷을 통해 인터체인 보안 실행 능력을 검증한다. 인터체인 보안 기능은 2023년 1월 코스모스 허브에 정식으로 출시될 전망이다.
외신 “이더리움, 상하이 업그레이드서 빌더 가스 수수료 부담 줄인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커뮤니티가 내년 하반기 적용 예정인 상하이 업그레이드(Shanghai upgrade)에서 주요 네트워크 참여자인 빌더(Builders, 개발자 등 생태계 기여자)들의 가스 수수료 부담을 줄여주는 내용을 골자로한 EIP-3651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EIP-3651 제안이 활성화되면 빌더들은 실패한 트랜잭션에 대한 가스 수수료 지불이 면제된다. 상하이 업그레이드에는 해당 제안 외에도 EIP-3855, EIP-3860 등 제안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이더리움 재단 자바스크립트 팀은 상하이 업그레이드 테스트넷 산둥(Shandong)을 출시해 운영 중에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6.08% 내린 1,480.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FATF “암호화폐 업체 자금세탁방지 관련 모니터링 시스템 지속 가동 중”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각국이 암호화폐 업체에 대한 자금세탁방지(AML) 이행 여부를 감독하고 있는지와 관련, 연례 점검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FATF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각국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나 암호화폐 AML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국가를 그레이 리스트(grey list)에 포함하는 시스템은 변경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보고서 “NFT 시장 규모, 2028년 76.4억 달러까지 성장 전망”
프로피션 마켓 인사이트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NFT 시장 규모가 2021년 15.9억 달러에서 2028년 76.4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 기간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22.1%에 달한다.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업체는 라바랩스(Larva Labs), 오픈씨(OpenSea), 스카이 마비스(Sky Mavis)가 될 것이며, 지역별 시장 규모는 북미, 아시아, 유럽 순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클레이튼, 카카오 서비스 연계 위한 태스크포스 설립
연합뉴스에 따르면 클레이튼(KLAY)이 카카오와 협력을 추진하는 ‘카카오 레버리지 태스크포스(TF)’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클레이튼은 지난달 말 설립한 TF를 통해 카카오톡에 탑재된 디지털 지갑 ‘클립'(Klip)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NFT를 카카오톡 서비스와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레이튼 상의 자산을 카카오톡 서비스 내에서 이용하는 방안과 함께 가상자산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한 기술·제도적 해결책도 개발 중이다. 클레이튼은 또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과 협력해 클레이튼 NFT 생태계 확대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고 설명했다.
野 “금투세 예정대로 내년 1월 시행”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주식양도소득세 완화 등 정부와 여당이 추진 중인 초부자감세 법안을 정기국회 내 처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주식과 펀드 등 금융투자로 얻은 수익에 세금을 매기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는 예정대로 내년 1월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투세는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 연간 5천만원 이상의 양도차익을 얻은 투자자에게 부과하는 양도소득세다.
美 재무회계기준위원회, 암호화폐 관련 회계표준 수정…기관 투자자 등 편의성 제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가 기관 투자자와 기업의 암호화폐 관련 회계 처리에 도움을 주기 위해 회계 표준을 수정했다. 미디어는 “기존 회계 규칙상 기업 등은 보유한 암호화폐를 대차대조표에 기록한 뒤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이를 가치 손상을 기록했지만 반대로 가격이 상승할 때는 이를 기록할 수 없었다. 이는 기업들의 자산 가치나 주가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번 규칙 변경으로 기관 투자자 등은 다른 자산에 적용하는 ‘공정가치 회계규칙’을 암호화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개된 자산 가격을 대차대조표에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이 규칙은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BTC와 ETH과 같은 주력 암호화폐가 아닌 다른 가상자산을 보유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롤렉스, NFT 및 암호화폐 관련 상표 출원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가 트위터를 통해 명품 시계 롤렉스가 미국 특허청(USPTO)에 NFT 및 암호화폐 관련 상표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출원 항목에는 △NFT+NFT 기반 미디어 △온라인 NFT 마켓플레이스 △가상자산 경매 및 가상자산 거래소 등이 포함됐다.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창업자 “FTX 자금 문제 없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경쟁사가 거짓 루머로 우리를 뒤쫓고 있지만 FTX는 괜찮다. 자금도 문제 없다. FTX는 모든 고객 자산을 커버하기에 충분하며 고객 자산을 투자에 이용하지 않는다. 자금 인출은 속도가 느려졌지만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GAAP 기준 회계 감사가 진행된다. 생태계를 위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대표와 협업하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