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상원의원 “암호화폐 규제 법안 일부, 이르면 6개월 내 통과”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is) 미국 상원의원이 미국 암호화폐 규제 법안의 일부가 이르면 6개월 내에 통과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루미스 의원은 “지금으로부터 6개월 내로 우리는 적어도 대통령 책상 위에 암호화폐 규제 법안의 일부가 놓여 있게 될 것이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상품으로 간주하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권한을 갖게되는 내용이 주가 될 것이다. 해당 법안은 현재 잘 준비되어 진척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크리스텐 길리브랜드(Kirsten Gilibrand) 상원 의원 역시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는 여당, 야당 모두의 지지를 받으며 원만하게 통과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비트코인 시장 분석 업체 창업자 “약세장, 2~3개월 후 끝난다”
암호화폐 시장분석툴 개발사 룩인투비트코인(LookintoBitcoin) 창업자 필립 스위프트(Swift)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약 2~3개월 후 비트코인 약세장이 끝날 것이다”고 전망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스위프트는 “우리가 개발한 다양한 지표들이 현재 비트코인 시장이 주기상 저점에 위치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비중이 정점을 기록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같은 현상은 보통 약세장의 바닥에서 나타난다. 장기보유자들은 가격이 상승하기 전 매도를 원하지 않으며, 이는 시장 내 매물 공급을 감소로 이어진다. 향후 시장 수요가 늘어난다면 이와 맞물려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SEC 위원장 “CFTC가 비트코인을 감시하는데 동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겐슬러(Gary Gensler)가 최근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 “CFTC가 비트코인을 감시하는 데 동의한다”고 전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겐슬러는 “일부 암호화폐 현물에 대한 규제 권한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부여하려고 하는 의회의 시도를 지지한다. CFTC는 현재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 CFTC는 더 많은 권한을 가져야 한다. 다만, SEC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 프로젝트는 소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텍사스 당국 “보이저디지털·FTX, 무허가 영업…거액 벌금 부과 가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텍사스주 증권위원회(SSB)와 텍사스주 은행국(DOB)이 파산 신청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보이저디지털(VGX)과 보이저디지털 자산 인수에 나선 FTX에 대해 “이들은 텍사스 당국에 미등록 상태라며, 이는 거액의 벌금형 부과가 가능한 법 위반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SSB, DOB가 보이저디지털의 파산 절차를 담당한 미 파산법원에 제출한 서류에서 “보이저디지털은 SSB, DOB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지 않고 영업했으며 FTX 역시 마찬가지로 무허가상태로 보이저디지털의 이자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이저디지털이 추산한 피해자 배상액보다 실제 배상액이 더 적을 수 있다”며 “자금 회수를 위해 채택한 가격 산정 방법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신 “전세계 수십만대 암호화폐 채굴기 미가동 상태”
전세계 수십만대 암호화폐 채굴기가 미가동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 매트 슐츠(Matt Schultz) 대표는 “미국 내 약 25만~50만대 채굴기가 가동되지 않고 있다”고 추정했으며 채굴 서비스 업체 룩소 테크놀로지 COO 에단 베라(Ethan Vera)는 “9월 기준 전세계 미가동 채굴기는 27.6만대 정도”라고 추산했다. 추정치는 업계 관계자마다 서로 달랐지만, 미가동 물량이 많다는 데엔 의견이 일치했다. 그 이유에 대해 코인데스크는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하는 반면, 에너지 가격이 급등해 채굴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경찰 “北 라자루스, 암호화폐 기업 사이버 공격 확인”
뉴시스에 따르면 일본 경찰이 북한 연계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일본 암호화폐 기업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벌였음을 발표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라자루스는 암호화폐 기업 간부를 가장해 표적 기업의 사원에게 피싱 이메일을 보내거나 SNS에 접근해 바이러스에 감염시켰으며, 기업 내부 시스템에 침입해 암호화폐를 빼돌린 경우도 있었다. 요미우리신문은 경찰청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 2018년 암호화폐 거래소 자이프에서 비트코인이 67억엔(약 650억원) 상당 유출된 사건과 2019년 비트포인트재팬에서 리플 등 암호화폐 35억엔(약 340억원) 상당이 사라진 사건에 라자루스가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일본 경찰청은 “일본 암호화폐 사업자가 표적이 되고 있음이 강하게 짐작된다”며 기업에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매직에덴, NFT 구매자에 창작자 로열티 설정 권한 부여
솔라나(SOL) 기반 NFT 마켓 매직에덴(Magic Eden)이 NFT 창작자 로열티를 창작자가 아닌 구매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내부 규정을 변경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또한 창작자 수익창출 솔루션 개발을 위한 해커톤과 플랫폼 수수료 면제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매직에덴은 “이러한 결정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하지만 현재 NFT 시장은 이러한 추세로 가고 있어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NFT 마켓 X2Y2도 이와 유사한 정책을 발표해 커뮤니티 내부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CFTC 위원장 “전통금융, 암호화폐 혁신 배울 수 있어야”..FTX 파생상품 청산 모델 언급
로스틴 베남 미국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 위원장이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제안한 ‘중개자 없는 파생상품 직접 청산’ 모델에 대해 시장이 진화하는 과정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조지타운 대학에서 진행된 금융 컨퍼런스에서 “FTX의 제안이 언제 어떻게 받아들여질 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이같은 아이디어는 매우 인상적이다. 암호화폐 시장과 전통 금융간의 특별한 교차점에 위치해 있으며, 잠재적으로 시장의 혁신 또는 붕괴로 이어지는 진화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FTX는 파생상품을 운영하는데 있어 기존의 중개 사업자 없이 파생상품 계약을 청산할 수 있는 서비스를 CFTC에 신청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미국 파생상품 중개 사업자들은 반대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그는 이어 “중개 사업자가 필요하지 않은 선물 거래는 중요한 변화가 될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전통 금융 시장에 대해 “우리는 더 효율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더 나은 가격으로 빠른 거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더 좋은 방식으로 결제와 보관을 진행할 수 있다. 우리는 집단적으로 서로에게 배워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 CFTC 위원 “암호화폐 개인 투자자 대한 새로운 분류 기준점 필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 골드스미스 로메로(Christy Goldsmith Romero)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개인 투자자를 분류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 감독을 준비하고 있는만큼, 새로운 분류 방안이 필요하다”며 “과거 기관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된 것과 달리, 지금은 수많은 개인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에 대한 개념은 매우 광범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들은 기관이나 순자산 보유량이 많은 개인과는 다른다”고 말했다.
지난해 BTC 보유 캐나다인 급증… 5%→13%
더블록이 캐나다은행(Bank of Canada)의 최신 연구 보고서를 인용, 2021년 비트코인을 보유한 캐나다 국민 수가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인의 비트코인 보유 비중은 2020년 5%에서 2021년 13%로 증가했다. 은행 애널리스트는 팬데믹에 따른 저축 증가가 비트코인 시장 참여 증가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0%가 암호화폐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답변했다. 다만 비트코인 기능에 대해서는 전체의 40%가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미 FINRA CEO “브로커-딜러 라이선스 등록 신청 기업, 증가 추세”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금융산업규제국(FINRA)의 최고경영자(CEO)인 로버트 쿡(Robert Cook)이 워싱턴DC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참석, 암호화폐 증권(Digital Asset Securities)을 거래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즈니스 모델이 암호화폐 증권인 벤더 수는 약 20개”라며 “현재 라이선스 등록 중인 벤더는 이보다 훨씬 많다”고 설명했다.
윌러 美 연준 이사 “미국은 디지털달러가 필요 없다”
더블록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가 14일(현지시간) 하버드대학 연설을 통해 미국에는 디지털달러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달러의 우위를 뒷받쳐주는 요소는 기술적인 것이 아닌 미국 국채와 기타 부채에 대한 충분한 공급, 유동성 시장, 미국 경제, 정치 시스템의 안정성 등”이라며 “다른 어떤 나라도 미국과 완전히 비교할 수 없다. CBDC가 그것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국경 간 결제 개선을 위한 글로벌 차원의 의미있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개선의 대다수는 CBDC가 기존 결제 시스템의 개선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윌러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달러에 패깅되는 만큼 달러를 약화가 아닌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스테이블코인의 준비금 수요가 증가될 수록 달러의 우위가 높아진다”며 “새로운 결제 기술은 강력한 감독 및 규제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ETH, 머지 이후 매일 약 9만 개 신규 고유주소 추가
핀볼드에 따르면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매일 약 86,945개의 이더리움 신규 고유주소(unique addresses)가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월 8일 135,780개의 주소가 네트워크에 추가됐다. 이는 2021년 12월 7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미디어는 “머지가 이더리움에 큰 가격 상승을 촉발하지는 못했다. 다만 업그레이드로 인해 구축된 긍정적인 환경이 사용자를 이더리움으로 유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아베, 스테이블코인 GHO 테스트넷 몇 주 안에 론칭 계획
탈중앙 렌딩 프로토콜 아베(AAVE)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탈중앙 초과담보 스테이블코인 GHO의 첫번째 테스트넷을 앞으로 몇 주 안에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이브는 GHO의 개발 진행상황을 공유하며 “최근 아베DAO는 이더리움의 새로운 아베 V3마켓 출시에 대해 찬성표를 던졌다. 이더리움의 아베 V3마켓은 주요 리스크 감소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GHO 퍼실리레이터 역할을 하기 적합하다”며 “테스트넷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향후 구체적인 일정을 공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암호화폐 전문가들 “리플, SEC와의 소송 승소시 XRP 3.81달러 전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영국 금융 정보 업체 파인더닷컴이 55명의 암호화폐 및 핀테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한 결과, 리플(XRP)이 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승소할 경우 XRP 가격이 2025년까지 3.81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패소할 경우 0.98달러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의 PR 및 커뮤니케이션 글로벌 책임자 디온 기욤(Dion Guillaume)은 “리플이 승소할 경우 XRP를 상장폐지했던 거래소가 재상장을 추진할 수 있다. 또한 리플과 머니그램 같은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XRP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美 심 스와핑 암호화폐 탈취 해커, 피해자에 2200만 달러 피해배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이동통신사 AT&T ‘심 스와핑'(SIM Swapping)을 통해 24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탈취한 해커가 피해자 마이클 터핀(Michael Terpin)에게 2200만달러 피해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마이클 터핀(Michael Terpin)은 2018년 AT&T 심 스와핑으로 2400만 달러 암호화폐를 도난 당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바 있다.
테더, 준비금 구성 자산 중 기업어음 전량 청산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가 분기별 감사보고서를 발표, 준비금 구성 자산 중 기업어음(CP)을 전량 청산했다고 발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테더는 준비금의 일환이었던 기업어음을 미국 단기재정증권(T-Bills)으로 대체했다. 테더 측은 “투자자 보호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며 기업어음을 청산하는 것은 가장 안전한 스테이블코인을 만들겠다는 우리 약속의 한 부분”이라고 전했다.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