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 “연준 9월 기준금리 75bp 인상 확률 90%”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에서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확률을 90.0%로 점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3% 상승(시장 전망치인 8.1%를 0.2%p 상회)했다고 발표했다. 얼마전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이다”고 인플레이션 하락에 집중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피델리티 다양한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기대”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갤럭시 디지털 대표가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빠른 시일 내에 더욱 다양한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를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전했다. 얼마전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는 퇴직연금인 401(k) 이용자들이 퇴직연금 계좌에 비트코인을 입금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이더리움 머지관련 4가지 리스크 지적
코인베이스 클라우드가 최근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에 관한 4가지 위험성에 대해 지적했다. 4가지 위험성은 기술적 위험, 운영 위험, 경제적 위험, 클라이언트 다양성 부족에 따른 위험이다. 코인베이스 클라우드는 “머지는 기술적으로 가장 복잡한 업그레이드이기 때문에 각종 버그와 기술적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세폴리아 테스트넷의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검증자의 25~30%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운영상 리스크다. 클라이언트와 검증자가 제때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면 메인넷에서도 노드 참여율이 하락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엔 작업증명(PoW) 하드포크 버전 ETHW을 얻기 위한 이더리움 대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렌딩 마켓에서 이더리움 금리가 급상승하는 경제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다양성 부족은 잘못된 블록 제안을 걸러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 요소이다”고 전했다.
크립토퀀트 대표 “BTC, 곧 기관 고객 유입 전망”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해 비트코인은 기관 투자자 클라이언트를 확보했고, 곧 기관들의 고객들이 유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5.11% 내린 21,211.2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멕스 창업자 “ETH, 올 연말 3,000 달러 돌파 가능성 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가 12일(현지시간) 한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올 연말 이더리움(ETH) 가격은 3,000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콜 옵션을 매수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머지(PoS 전환) 업그레이드 후 ETH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머지 후 ETH 공급량은 크게 줄어들 것이며, ETH에 대한 수요는 지금처럼 강력할 것이다. 머지는 오늘날 부정적인 미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소”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8.07% 내린 1,610.7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암호화폐 예치 수익률, 美 국채 하회…약세 가속화”
중앙은행 금리 인상으로 미국 단기 국채 수익률이 암호화폐 단기 예치 수익률을 추월하며, 헤지펀드 및 패밀리 오피스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할 이유 중 하나가 사라졌다고 블룸버그가 진단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가 토큰을 구매 및 보유할 가능성이 줄어들며, 수요 감소는 곧 가격 암호화폐 약세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설명이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ANB 인베스트먼트 CEO는 “2년 전 암호화폐 예치 수익률은 최소 10%였으며, 전통시장 금리는 마이너스거나 제로에 가까웠다”면서 “셀시우스 등 암호화폐 대출업체의 실패로 예치 수익률이 급감하고,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상황이 역전됐다”고 말했으며, 암호화폐 대출업체 메이플 파이낸스 CEO는 “국채 수요가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을 흡수했다”고 말했다.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디파이 플랫폼의 TVL은 지난해 12월 1,820억 달러에서 현재 600억 달러로 감소했다.
찰스슈왑·시타델·피델리티, 암호화폐 거래소 ‘EDXM’ 출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찰스슈왑(Charles Schwab), 시타델 증권(Citadel Securities),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 산하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Fidelity Digital Assets), 패러다임, 세쿼이아 캐피털 등 글로벌 금융 대기업들이 암호화폐 거래소 EDX 마켓(EDXM)을 공동 출시했다. EDX 마켓은 검증된 기술과 전통 금융 시장의 장점을 결합한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지원 기업과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또 해당 플랫폼은 브로커-딜러, 글로벌 마켓 메이커, 금융 대기업 간의 협력으로 투명성, 접근성, 보안성, 규제 준수 등을 보장한다. EDXM의 CEO는 시타델 증권의 전 전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 자밀 나자랄리(Jamil Nazarali), CTO는 전 ErisX 최고기술책임자 토니 아큐냐 로테(Tony Acuña-Rohter)가 맡는다.
NFT 마켓플레이스 레어러블, 이뮤터블X 기반 플랫폼 출시
NFT 마켓플레이스 레어러블(RARI)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성 프로토콜 이뮤터블X(IMX) 기반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갓언체인드, 길드오브가디언즈, 일루비움 등 이뮤터블X 기반 블록체인 게임 NFT를 거래할 수 있다는 게 레어러블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RARI는 현재 0.11% 내린 2.49 달러, IMX는 10.42% 내린 0.81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시장 붕괴 전 암호화폐로 옮겨가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가 최근 독자들에게 보낸 뉴스레터를 통해 “시장이 붕괴하기 전 하루빨리 암호화폐와 친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달러 위주의 글로벌 경제체제의 붕괴와 맞물려 모든 시장의 대규모 붕괴가 다가오고 있다. 이번 추락은 세계질서의 변혁으로 이어질 것이며, 암호화폐 투자자는 이러한 경제 배경에 맞서 승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명 NFT 프로젝트 두들스, 5,400만 달러 투자 유치
포브스에 따르면, 유명 암호화폐 프로젝트 두들스(Doodles)가 최근 5,4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들스의 이번 펀딩 라운드는 알렉시스 오하니언 레딧 공동 창업자가 이끄는 세븐세븐식스(776)의 주도 하에 어크루캐피털, FTX벤처스, 10T홀딩스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두들스 NFT의 바닥가 기준 시가총액은 약 1.21억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두들스는 7.04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아 조달한 자본을 음악과 게임, NFT 섹터 확장에 사용할 계획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6월 두들스가 776이 주도하는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전한 바 있다. 당시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었다.
모건크릭 디지털애셋 창업자 “지분증명 기반 ETH, 51% 공격 이미 발생”
미국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모건크릭 디지털애셋 공동 창업자 제이슨 윌리엄스(Jason A. Williams)가 1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ETH2.0으로 불리는 지분증명(PoS) 기반 이더리움(ETH)에 대한 51% 공격은 이미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소수의 초기 내부자들과 창업자들이 스테이킹 가능한 ETH의 51% 이상을 통제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 집단이 예측 가능하고 불가피한 원장 통제를 시도할 때 정직한 스테이커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0.72% 내린 1,733.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 GHOS “연말까지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해야”
핀엑스트라에 따르면, 지난 12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최고 의사결정기구 GHOS가 “올 연말까지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완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GHOS는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책임있는 혁신을 추구하는 암호화 자산에 대한 은행의 노출에 대해 강력하고 신중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날 GHOS 회원국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바젤위원회가 은행의 리스크 측정·관리 기준을 강화하기 위해 7년여간의 논의를 걸쳐 도입하기로 한 규제인 ‘바젤III’의 조속한 이행을 강조했다. 회원국의 3분의 2 이상이 2023년 또는 2024년중 바젤III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이행할 계획이다.
아부다비 규제 기관, 암호화폐 규제 원칙 공개
아부다비 글로벌 시장 경제 자유 구역(ADGM)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금융 서비스 규제 당국(FSRA)의 암호화폐 규제 원칙을 공개했다. 이날 ADGM이 공개한 원칙에 따르면, ADGM의 입법 프레임워크는 영국 관습법을 기반으로, ADGM 내 규제 기관과 등록 기관, 법원은 완전히 상호 독립된다. 또 국제 AML/CFT 준수를 골자로, FSRA ‘금융 부문 감시’ 기능으로 규제를 보완한다. ADGM은 지난 3월 ‘NFT 규제 프레임워크는 불필요하다’는 내용의 지침서를 발표했으며, 지난 4월 바이낸스와 크라켄은 외국 기업 최초로 ADGM 내 규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엑시 월간 NFT 거래량, 100만 달러 하회…최근 16개월 최저
P2E 게임 프로젝트 엑시인피니티(AXS)에 사용되는 자체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브릿지 로닌 네트워크(RON) 상의 8월 NFT 거래량이 93만 9,432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16개월래 가장 낮은 규모로, 같은 기간 첫 100만 달러선 붕괴다. 이와 관련 비인크립토는 엑시인피니티 NFT 수요 감소와 더불어 로닌 해킹 사태로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는 점을 거래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RON 토큰은 지난 1월 4.32 달러 대비 90% 이상 하락한 0.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 KKR, 자체 PE펀드 토큰화 추진…아발란체 블록체인 채택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4,590억 달러(약 631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세계 최대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자사의 비상장 주식 펀드(PE펀드) 중 하나인 ‘헬스케어 전략성장펀드’의 토큰화를 추진하며 아발란체(AVAX) 퍼블릭 체인에서 해당 상품을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자산 전문 기업 시큐리타이즈(Securitize)와 제휴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최소 500만 달러 이상의 투자 가능 자산을 보유한 적격 투자자는 디지털 지갑을 생성하고 시큐리타이즈에 가입, KKR의 토큰화 펀드에 투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KKR이 제공하는 유가증권을 1년 이상 보유한 투자자들은 계열사가 관리하는 2차 시장에서 해당 증권을 판매할 수 있다. 이와 관련 KKR 측은 “토큰화된 펀드는 보다 적은 금액으로 투자를 가능하게할 뿐더러, 증권사의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보다 원활한 투자 및 풍부한 유동성을 가능케 한다. 지금의 비상장 주식 시장은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에는 장벽이 너무 높다”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VAX는 현재 0.71% 내린 21.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오페라 크립토 브라우저, 메타마스크 지원
디크립트에 따르면, 오페라 크립토 브라우저가 메타마스크 등 서드파티 암호화폐 지갑 연동을 지원한다. 이와 관련 오페라 크립토 브라우저는 “가능한 많은 암호화폐 사용자를 유치하고자 한다. 향후 몇주동안 지원 가능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오페라는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폴리곤, BNB체인, 셀로, 피오, 니어, 너보스 등 블록체인을 지원하고 있다.
외신 “이더리움 머지 앞두고 트위터서 비탈릭 사칭 스캠 급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를 앞두고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를 사칭한 트위터 스캠 계정이 급증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주의를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현재까지 총 6개로 확인된 사칭 계정들은 트위터 상의 ‘인증 마크’를 허위로 복제해 닉네임 뒤에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며, 프로필 사진, 이름, 프로필 내용까지 카피해 주의가 필요하다. 이들은 ETH 무료 에어드랍 등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유인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의 암호화폐 지갑을 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분석 “달러 하락 일시적…비트코인 약세 지속 전망”
코인데스크가 복수 전문가를 인용 “시장은 연준이 다음주 75bp 추가 금리인상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달러인덱스(DXY)는 다시 반등해 110 이상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서 코인데스크는 “비트코인은 일봉 상 2021년 11월부터 이어진 하락 추세선 아래 구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약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단기 반등이 23,700 달러까지 확장될 수 있지만 하락 관련 옵션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스톤릿지, 다음달 BTC 선물 펀드 청산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사 스톤릿지(Stone Ridge Asset Management)가 다음 달에 스톤릿지 비트코인 선물 펀드 운용을 중단할 계획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펀드는 선물 계약을 통해 비트코인에 직접 투자하는 상품으로, 지난 2019년 말에 조성됐다. 현재 펀드 운용자금은 약 230만 달러다. 미디어는 “펀드 출범 후 약 2년이 지났으나 큰 관심이 끌지 못한 것으로 평가, 운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