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8/14)

이더리움 지분증명(PoS) 전환 “9월 15일 혹은 20일쯤 진행 예상”
이더리움 개발자가 이더리움의 지분증명(PoS)를 위한 전환 관련 두가지 시나리오를 공개, 메인넷 병합이 15일쯤 혹은 20일쯤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들이 공개한 첫번째 시나리오는 벨라트릭스(Bellatrix) 업그레이드가 9월 1일 진행, 메인넷에 9월 15일쯤에 병합되는 것이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텔라트릭스 업그레이드가 9월 6일 진행, 메인넷에 9월 20일쯤 병합되는 것이다. 미디어는 벨라트릭스 업그레이드가 9월 6일로 예상되는 만큼 두 번째 시나리오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 종사자 수, 전년 대비 76% 증가
링크드인과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공동 조사에 따르면 블록체인 업계 인력이 6월 기준 젼년 동기 대비 76% 늘었다. 비트코인닷컴은 미국, 인도, 중국, 영국, 싱가포르 등 링크드인 사용 국가의 블록체인 업계 종사 인원 수 조사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업계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 인도, 중국, 영국 순이었으며, 전년 대비 증가 폭이 가장 큰 나라는 인도(122%), 캐나다(106%), 싱가포르(92%), 나이지리아(81%), 미국(62%) 순이었다.

美 예일대 선임 연구원 “스테이블코인, 안정적 금융 시스템 못 만든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예일대학교 경영대학원 선임 연구원 스티븐 켈리(Steven Kelly)가 최근 “스테이블코인은 ‘스테이블’한 금융 시스템을 만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스테이블코인 가치가 특정 자산에 연동되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변동성의 회피할 때 가장 많이 찾는 수단이다. 하지만 구조상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성을 외부 자산에 의존하며, 직접 안정성을 만들어낼 수 없다. 지난 5월 테라·루나 사태 당시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은 명확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당시 스테이블코인들의 디페깅은 담보물 혹은 준비금에 대한 우려와 관련이 없었다. 하지만 만약 스테이블코인 대신 토큰화된 은행 예금이 존재한다면, 이 같은 우려는 해소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덜란드 당국, ‘토네이도캐시’ 개발 관여 개발자 체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네덜란드 재무정보조사국(FIOD)이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캐시(TORN) 개발에 관여한 혐의로 29세의 개발자 한 명을 암스테르담에서 체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OD는 지난 6월부터 토네이도캐시 관련 수사에 착수했으며, 복수의 용의자 체포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8일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토네이도캐시를 블랙리스트에 등록, 미국 내 해당 서비스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TORN은 현재 12.19% 내린 15.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모건크릭 창업자 “비트코인, 겨울 지나 봄이 오고 있다”
모건크릭캐피털매니지먼트(Morgan Creek Capital Management) CEO 마크 유스코(Mark Yusko)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이미 바닥을 찍었고, 크립토 윈터(약세장)는 끝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6월 중순 17,500 달러로 바닥을 찍었다. 크립토 스프링(회복세)이 도래하며 가격이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지만, 6~9개월 안에 신고점을 기록할 것”이라며 “비트코인은 기본적으로 완벽한 가치 저장소이며, ‘디지털 골드’다”라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2.06% 내린 24,036.3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베이스 CFO “기관 대상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단기 현상’ 아냐”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알레시아 하스(Alesia Haas)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최근 진행한 애널리스트 콜에서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는 향후 몇 년 내 인기를 끌게 될 것”이라며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코인베이스는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도 기존 개인 투자자들이 활용하던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해 기관 고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라는 게 일정 기간의 락업을 동반해 몇몇 기관 투자자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 그들이 우려하는 것은 유동성이 끊기는 것인데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인도 재무장관 “암호화폐 규제법 곧 공개…암호화폐 주의해야”
인도 현지 미디어 CNN뉴스18에 따르면, 니르말라 시타라만(Nirmala Sitharaman) 인도 재무장관이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새로운 법규를 준비 중이다. 암호화폐 구매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현재 인도인의 약 7%는 암호화폐를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인도 중앙은행은 “암호화폐는 금융 생태계의 주권을 위협한다. 암호화폐를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줄곧 고수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1월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 전면 금지를 추진한 바 있지만, 해당 정책은 보류된 바 있다.

1inch·크로스랩·시그넘,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 합류
클레이튼이 1inch, 크로스랩(KrossLab), 시그넘(Sygnum)이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는 총 36개사가 됐다.

카르다노, 바실 하드포크 최종 노드 버전 확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카르다노 개발자들이 바실(Vasil) 하드포크를 위한 최종 노드 버전 노드 1.35.3을 확정했다. 노드 1.35.3은 이전 버전의 노드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문제를 수정하고 일부 CLI를 개선했다. 카르다노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에 따르면 (이전 버전인) 노드 1.35.0을 테스트 하는 동안 3개의 버그를 발견했으며, 1.35.3이 하드포크의 유력한 후보가 될 것이라고 시사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DA는 현재 2.98% 내린 0.529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피터 시프 “BTC, $10,000 아래로 떨어질 것”
암호화폐 전문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비트코인 회의론자인 피터 시프(Peter Schiff)가 최근 비트코인(BTC)이 $10,000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재차 경고했다. 피터 시프는 “비트코인은 지난해 11월 $69,000 수준에서 다시 오지 않을 정점을 찍었다고 확신한다. 새로운 고점은 없을 것이다. 투자자들은 지금의 ‘어정쩡한 랠리’를 활용해 빨리 빠져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암호화폐 공급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역시 다른 20,000개에 달하는 토큰들과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스트라이크, BTC 결제 및 구매 지원 비자카드 출시
BTC 월렛 및 뱅킹 서비스 스트라이크(Strike)가 비트코인 결제 등을 지원하는 새로운 비자카드를 출시한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용자는 해당 카드를 이용해 비트코인 결제, 구매, 입금, 송금 등을 할 수 있으며 애플페이/구글페이와 연동해 결제 시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스트라이크는 카드 수익금의 1%를 비트코인 개발에 기부할 계획이다.

엔씨소프트 “P2E 모델 추구 안해…NFT·크립토 관련 게임 측면에서 접근”
뉴스1에 따르면 엔씨소프트가 다른 게임사의 NFT 전략과 달리 P2E(Play to Earn) 모델을 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12일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P2E 모델이 아닌 게임 내에서 여러가지 재화를 NFT화해 게임 내에서 소화할 수 있고 다른 게임과 호환될 수 있는 전략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웹3 개념에 기반해 게임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큰 개념의 비전을 갖고 NFT와 크립토 관련한 게임 측면에서 접근 중”이라며 “게임 내에서 재화를 교환하는 단순한 NFT가 아니다”고 밝혔다. 또한 “실행하는 데 기술적으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메인넷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게임 관련된 기술이 나중에 제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며 “이와 관련해서는 회사 내에서의 논의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여러가지 가시적인 것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암호화폐 시장 규제 준비 다 됐다”
로스틴 베넘(Rostin Benham)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CFTC는 암호화폐 시장 규제에 대해 완전히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베넘 위원장은 사우스다코타주립대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국 상원위원회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CFTC 관할로 두는 법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필요한 일이며, 또한 CFTC에 변화를 가져다주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하고 어떤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초점을 맞춰야 한다. 바로 상품시장이다. 기술은 진화하고 있고 우리는 이에 대응할 준비가 됐다. 무슨 일이 벌어질지 지켜보는 게 흥미로울 것이다”고 전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