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1/14)

스위스 국립 은행, 국제결제은행(BIS)와 도매 CBDC 테스트 완료
스위스국립은행(SNB)이 국제결제은행(BIS)과 스위스 증권 거래소(SIX)와 공동으로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도매 결제 통합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외신이 도보했다.  보도에 의하면 스위스국립은행은 CBDC 도매 결제 통합 테스트를 완료하하고 시티은행, 크레디트 스위스, 골드만삭스 등 시중 은행들과 시범운영할 준비가 된것으로 보인다.  스위스 국립은행은 시중 은행들과의 시범운영 일정은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터키인들 자국통화 가치 급락에 암호화폐 사재기
터키인들이 자국 통화인 리라화의 가치가 극락하자 암호화폐를 마구 사들이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체이널리시스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바이낸스, BTC터크, 로컬비트코인스 등 암호화폐 거래소 3곳 기준으로 리라화를 사용한 암호화폐 거래액이 최근 일평균 18억 달러(약 2조1천억원)로 증가했다. 이는 2019년 국제결제은행(BIS)의 조사 당시 일일 거래액인 710억 달러(약 84조6천억원)와 비교하면 달러 기준으로 작은 금액이지만 최근 5개 분기 중 어느 시기보다 많은 금액이라고 전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많이 사들였다.

CNBC “NFT 과세, 암호화폐보다 높은 세율 적용 가능”
미국의 여러 세금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하며 NFT 과세 세율이 31.8%에 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CNBC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만약 NFT 과세 세율이 31.8%로 책정이 된다면, 주식이나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통한 투자 수익에 적용되는 최고 세율 23.8%보다 높은 수준이다. 아직 미국에서도 NFT에 대한 과세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몇몇 미국의 세금 전문가들이 NFT 세율이 30%가 넘을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는 NFT가 수집품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 미국에서는 예술품, 골동품, 보석, 수집용 우표나 동전과 같은 ‘유형 수집품’의 판매에 의해 발생한 이익에 높은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NFT 프로젝트 프로스티즈, 러그풀 발생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NFT 프로젝트 프로스티즈(Frosties) 재단이 투자금을 챙겨 도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투자자 손실은 130만 달러로 추산된다. 미디어에 따르면 프로스티즈 측은 NFT가 모두 판매된 뒤 커뮤니티 계정 및 연락 채널을 모두 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 자금 모두 오픈씨 월렛에서 외부 월렛으로 이체된 것으로 확인됐다

코인베이스, ‘RVN 사는 방법’ 페이지 추가…트위터서 상장설 확산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최근 공식 웹사이트에 레이브코인(RVN) 사는 방법(How to buy Ravencoin) 페이지를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베이스는 자체 플랫폼에 상장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일부 코인을 사는 방법을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있으며, 해당 섹션에 RVN이 추가된 것이다. 이와 관련 레이븐코인 커뮤니티 구성원이자 트위터 사용자 ‘레온 레이븐코인’은 “코인베이스에 해당 페이지가 추가된 것을 보고 레이븐코인 리드 개발자 ‘트론블랙’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그는 코인베이스 측이 ‘RVN 상장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레이븐코인 재단은 지난해 코인베이스에 RVN 상장을 신청한 바 있었고, 당시 RVN 상장 관련 이슈를 코인베이스에 물어보면 돌아오는 대답은 ‘상장 신청이 제출된 상태’였다”고 말했다. 또 레이븐코인 리드 개발자 ‘트론블랙’은 코인베이스의 해당 페이지 추가 소식을 리트윗하며 “거의 다 왔다”(So close)고 언급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RVN은 현재 0.14% 내린 0.10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로빈후드 CFO “암호화폐에 대규모 자금 투입 계획 없다”
로빈후드 최고재무책임자(CFO) 제이슨 워닉(Jason Warnick)이 “로빈후드는 암호화폐에 대규모 현금을 투입할 계획이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수요일 월스트리트저널(WSJ) 주최 서밋에서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로빈후드는 거액의 기업 자금을 암호화폐에 투자할 전략적 이유가 없다”며 “기업 투자 정책 상 한계가 존재하며 가격 변동성에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다. 암호화폐를 어떻게 볼 것인지 대해선 “우리는 규제 기관의 입장을 주시하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BTC, DOGE, LTC 등 기존 지원 중인 암호화폐 외에 새로운 암호화폐를 추가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비즈니스 및 금융 뉴스 전문 블로그 제로헤지(ZeroHedge)가 ‘로빈후드에서 이르면 2월 중 SHIB을 상장할 것’라는 트윗을 남겼으나, 로빈후드 측은 이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지 않았다.

美 디지털상공회의소 회장 “연준, 암호화폐 분야서 뒤처져 있다”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미국 디지털상공회의소의 페리안 보링(Perianne Boring) 회장이 최근 인터뷰에서 미 연준(Fed)의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이미 수백억 달러 상당 스테이블코인이 유통되고 있다”며 “그럼에도 연준은 블록체인 전략 개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이해 등 부분에서 미흡하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접근 방식은 민간 부문과 협력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라며 “아직은 미국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디지털상공회의소는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산업을 대표하는 무역 협회다.

유명 복서 마이크 타이슨 “솔라나에 올인”
헤비급 전 세계 권투 챔피언 마이크 타이슨(Mike Tyson)이 1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솔라나(SOL)에 올인한다. 방금 전 카탈리나 웨일(Catalina Whale) NFT를 잡았다”고 말했다. 해당 트윗에 타이슨은 카탈리나 웨일 NFT 이미지를 첨부했다. 앞서 타이슨은 지난해 8월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에서 자신의 NFT 시리즈를 발행해 판매한 적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SOL은 현재 9.16% 오른 151.2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올해 주목해야 할 1달러 미만 메타버스 코인 TOP5”
FX엠파이어가 12일(현지 시간) 올해 주목해야 할 1달러 미만 메타버스 코인 TOP5 종목으로 블록토피아(BLOK), 메타히어로(HERO), 에픽프라임(EPIK), 스타아틀라스(ATLAS), 레드폭스(RFOX) 등을 꼽았다.

1. 블록토피아는 폴리곤(MATIC) 체인 상에 구축되고 있는 탈중앙화 메타버스다. NFT 메커니즘을 사용해 BLOK 부동산을 구입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한다. 블록토피아는 애니모카 브랜드로부터 투자받은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LOK은 현재 0.04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 메타히어로는 메타버스에 ‘메타 스캐너’를 도입해 3D 프린팅, 네트워크 스캐닝, 게임 캐릭터 생성 등 기능을 제공한다. 3D 스캐닝 분야 선두주자 울프 스튜디오와 협력 중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HERO는 현재 0.11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 에픽프라임은 게임 회사, 엔터테인먼트 IP 및 브랜드와 협력해 게임 내 NFT 상품 및 시장을 만드는 플랫폼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EPIK은 현재 0.247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4. 스타아틀라스는 듀얼 토큰 이코노미를 채택한 솔라나(SOL) 기반 메타버스 게임이다. 블록체인, 실시간 그래픽, 멀티플레이 비디오 게임, 탈중앙화 금융 등 기술을 결합한 게임을 개발 중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TLAS는 현재 0.086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5. 레드폭스는 리테일, 미디어, 게임, 보상에 초점을 맞춘 몰입형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RFOX 토큰은 토지 및 가상 자산 구매에 활용할 수 있으며, 생태계 활동 보상으로 VFOX가 지급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RFOX는 현재 0.0916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中 BSN, 이달 NFT 지원 인프라 출시.. 암호화폐와는 무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국가 주도 블록체인서비스 네트워크(BSN)가 이번달 NFT를 지원하는 인프라를 출시할 예정이다. 단, NFT는 암호화폐와는 무관하다. BSN 기술 개발사 레드데이트 CEO 허이판은 “암호화폐와 상관만 없으면 NFT는 중국에서 아무런 법적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BSN 분산디지털증서(BSN-DDC) 인프라는 추후 기업/개인에 API를 제공해 이용자 포털이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NFT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업비트 스테이킹 서비스 오픈..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지원
업비트가 오늘부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오픈, 첫번째 스테이킹 지원 디지털 자산으로 이더리움 2.0 스테이킹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예상 연 보상률은 5.1%다. 1회차에서 640 ETH를 모집한다. 모집기간은 1/14 10시~1/21 10시다. 최소신청수량은 0.02 ETH고, 최대신청수량은 50 ETH다.

유니스왑 V3, 조만간 아비트럼·옵티미즘서 UNI 유동성 채굴 시작
유니스왑 V3이 조만간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에서 UNI 유동성 채굴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홉프로토콜 개발자 리토(lito)가 전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그는 “유니스왑 V3이 아비트럼과 옵티미즘에서 UNI 유동성 마이닝이 조만간 시작된다”며 “블록체인 컨설팅 업체 ABDK가 이에 대한 감사를 시작했으며 2~3주내 완료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감사 완료 때까지 스테이킹 컨트랙트 변경 사항에 맞게 UI가 구축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작년 12월 유니스왑 커뮤니티는 아비트럼과 옵티미즘에서 UNI 유동성 채굴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투표를 진행했으며, 98.92%가 찬성한 바 있다.

비자-컨센시스, CBDC 관련 파트너십
비자가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와 협력해 중앙은행, 금융기관이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을 개발한다고 블록웍스가 보도했다. 새로운 CBDC 프레임워크를 기존 금융 생태계와 연결해 소비자가 모든 비자 가맹점에서 CBDC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비자는 자사 모듈을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이더리움 프로토콜의 오픈소스 버전인 컨센시스 쿼럼(ConsenSys Quorum)에서 구동되는 컨센시스 코드파이 CBDC 샌드박스와 호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 지명자 “인플레 낮추는데 우선적 대처”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라엘 브레이너드 미국 연준 부의장 지명자는 인플레이션 수준이 “너무 높다”면서 “연준이 우선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레이너드는 13일(현지 시각) 열리는 상원 인준 청문회에 앞서 미리 준비한 연설문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브레이너드는 “모든 부문의 경기 회복을 지속하면서 인플레를 연준 목표치 2%로 끌어내리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현시점에서) 연준의 가장 중요한 임무”라고 강조했다.

롯데홈쇼핑, 내년 메타버스 플랫폼 연다…NFT 사업도 추진
연합뉴스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이 이달 중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며 내년 중 통합 플랫폼을 열 예정이다. 오는 4월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상모델, 가상패션 등 자체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NFT 콘텐츠를 실물 상품과 연계해 판매하는 NFT 마켓플레이스도 열 계획이다. 또 라이브 커머스를 3차원 가상 세계에서 구현해 아바타를 통해 상품과 브랜드 체험이 가능한 ‘메타라이브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4월 예정된 롯데홈쇼핑의 대형 쇼핑행사인 ‘광클절’에서 XR 기반의 쇼핑 콘텐츠도 선보인다. 10월에는 메타버스를 통한 채용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출 상담회에 메타버스 전시관도 운영할 예정이다.

트위치 공동 창업자 “NFT 다음 트렌드는 ‘게임 및 유틸리티'”
세계 최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 공동 창업자이자 솔라나(SOL) 기반 게임 NFT 마켓플레이스 프랙탈(Fractal)의 창업자 저스틴 칸(Justin Kan)이 12일(현지 시간) 블록웍스와의 인터뷰에서 “NFT 분야의 다음 물결은 ‘유틸리티’가 가미된 NFT”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유틸리티가 가미된 디지털 자산은 이미 수십 년 전 ‘게임’에서 처음 등장했다. 포트나이트, 카운터 스트라이크 등 게임 내 스킨이나, 울티마 온라인 등에서 등장한 게임 내 아이템은 플레이어들이 실제 돈을 주고 거래할만큼 시장을 형성했다. 따라서 게임 및 유틸리티 요소가 추가된 NFT는 다음 트렌드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은행들, 자체 스테이블코인 출시 예정
미국 은행들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 예정이라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미국 USDF 컨소시엄은 “은행이 아닌 곳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관련 소비자 보호 및 규제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고 전했다. USDF 컨소시엄은 뉴욕 커뮤니티 뱅크(New York Community Bank), 퍼스트뱅크(FirstBank), 스털링 내셔널 뱅크(Sterling National Bank)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USDF는 프로비넌스(Provenance) 블록체인에서 운영되며, 컨소시엄에 포함된 은행 중 아무데서나 현금으로 1:1 교환 가능하다. 구체적인 출시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