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12/16)

마이크 노보그라츠 “암호화폐 시장 하락세 지속된다”
갤럭시 디지털의 대표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보그라츠는 CNBC 인터뷰를 통해 “주식시장의 조정이 계속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다.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 대형주가 부진하면서 내년 1월초까지 횡보장이 계속될 것이다.  비트코인의 경우 42,000달러 선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노보그라츠는 “중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시장에 참여할 준비가 돼있다”고 전했다.

윌리 우 “개인 투자자 저점 매수 시작”
유명 온체인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가 15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1BTC 이하 개인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매집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윌리 우는 “개인 투자자들이 뚜렷한 저점 매집 움직임을 보인 것은 코로나19 발생에 의한 폭락 때 이후 처음이다.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LTH)들의 매집 물량이 정점에 달하면, 이들은 보유량 중 일부를 신규 단기 투자자들에게 떠넘기며 강세 랠리에 불이 붙게된다. 최근 LTH의 매집 물량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 암호화폐 과세 지침 가장 명확한 국가는 리히텐슈타인
글로벌 컨설팅 기업 PwC의 보고서를 인용, 암호화폐 과세 지침이 가장 명확한 국가는 리히텐슈타인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PwC는 “각국 정부는 탈중앙화 금융(DeFi), 대체불가토큰(NFT) 등 신규 분야를 따라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암호화폐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하고 있는데, 각국 규제 및 가이드라인에는 공백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디파이, NFT, DAO에 대한 과세 지침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분석 “연준 추가 매파적 암시 없을 시 안도 랠리 전망”
한국시간으로 12월 16일 새벽 4시 미 연준이 이틀 간의 FOMC를 마치고 성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코인데스크는 “연준이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공격적인 긴축 조치를 암시하지 않는 한, 암호화폐 시장 안도 랠리가 펼쳐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이 이미 몇 주간 매파 연준 정책 조정을 소화해왔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테이퍼링을 가속화할 것이며, 내년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을 시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1차 금리 인상 예상 시점도 2022년 5월로 앞당겨졌다. LMAX Digital의 통화 전략가 조엘 크루거(Joel Kruger)는 “연준이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매파적일 것 같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트레이더이자 분석가 알렉스 크루거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패닉셀을 한 상태다. 따라서 연준이 테이퍼링 가속화, 내년 두 차례 금리 인상 외에 달리 암시하는 게 없다면 자산군 전반에 걸쳐 랠리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Arca Funds 최고투자책임자 제프 도먼(Jeff Dorman)은 “지난 4년 동안 12월 말에는 암호화폐가 반등하는 패턴을 보였다. 새해에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비트멕스 전 CEO “암호화폐 시장, 단기 ‘관망’ 권장…거시 리스크 많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 최고경영자(CEO)인 아더 헤이스(Arthur Hayes)가 최근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의 테이퍼링 정책, 중국 에버그란데 사태 등 거시적 리스크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을 ‘관망’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미연준 이사회는 미국 증시가 하락하거나, 시장의 일부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할 때까지 긴축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유동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고자 고민하는 사람들은 내년 3월이나 6일 미연준의 금리 인상 이후 상황을 끝까지 지켜본 뒤 더 나은 진입 기회를 노려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스위스 크립토 은행, 실물 금 기반 디지털 토큰 출시
스위스 크립토 은행 SEBA 뱅크가 실물 금에 기반한 디지털 토큰을 출시했다고 포브스가 전했다. ERC-20 기반 금 토큰은 개당 57달러(금 1g)이며 소수점 4자리까지 분할 가능하다. 실물 금은 스위스 금고에 저장되며 보유자가 원할 때 금으로 교환 가능하다. SEBA 뱅크는 “금의 낮은 가격 변동성을 고려할 때 금 토큰은 스테이블코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라인, NFT 종합 마켓 ‘라인 NFT’ 내년 봄 日 출시
테크M에 따르면, 라인의 블록체인 자회사 LVC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NFT 마켓 베타’의 기능을 확충한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종합 마켓플레이스 ‘라인 NFT’를 내년 봄 일본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새롭게 구축되는 라인 NFT에서 IP 홀더는 라인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NFT의 1차 판매부터 2차 유통까지 원스톱으로 진행 가능하며, 이용자는 원하는 NFT를 엔화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유저끼리 매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구입한 NFT는 일본에서 8900만명이 이용하는 라인 계정에 탑재돼 있는 라인 비트맥스 월렛에 보관할 수 있다.

베이징 법원 “비트코인 채굴 계약 무효” 첫 판결 나와
베이징일보에 따르면 베이징에서 비트코인 채굴 계약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 첫 판결이 나왔다. 베이징자오양 지방법원은 당사자간 비트코인 채굴 관련 계약이 무효라고 판단, 원고 측이 주장하는 채굴 지연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다. 또한 법원은 이번 사건과 관련된 채굴 활동 정보를 제공하고 관계 부서에 시정 조치를 할 것을 권고했다.

아칼라 “ACA 토큰, 제네시스 블록 생성 4주 내 배포”
폴카닷(DOT)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아칼라(ACA)가 14일(현지 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로드맵을 공개하며 “아칼라 네트워크의 자체 토큰 ACA는 제네시스 생성 첫 4주 내에 배포된다”고 밝혔다. 로드맵에 따르면, 아칼라의 리퀴드 크라우드론 DOT(LCDOT)는 락업이 전부 해제된 상태로 제네시스 생성 4주 내 유통될 예정이며, aUSD 스테이블코인, 아칼라 스왑과 같은 디파이 프로토콜이 활성화되면 LCDOT 보유자들은 기존 DOT 유동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칼라 네트워크 기반 토큰 전송은 1분기 활성화될 예정이며, 사용자는 ACA와 LCDOT와 같은 토큰을 계정 간에 전송할 수 있다. NFT 보상도 1분기 내 분배될 예정이다. 아칼라는 지난 11월 진행된 폴카닷 첫 파라체인 경매에 최종 낙찰받은 바 있다.

분석 “비트코인 미실현이익 감소세… 시장 건전성↑”
비트코인매거진이 비트코인 순미실현손익(NUPL, 유통량 대비 자산의 순손익 측정 지표)이 감소세를 나타내며 시장 건전성이 향상되고 있다고 15일 진단했다. 다만, 단기 보유자의 미실현손실이 증가하며 53,000 달러 부근 단기 보유자들이 순손실로 BTC를 매도해 가격을 낮출 위험이 존재하며, 이는 약세장이 형성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 낮아진 가격은 새로운 매수 기회가될 수 있다. 이어지는 새로운 단기 보유자 매수세는 강세장을 주도할 수 있다는 게 비트코인매거진 측의 설명이다. 장기 보유자 관점에서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실현가격(평단가) 대비 안정적인 수익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가격 하락으로 인해 장기 보유자발 공급 물량은 ‘중립’ 단계를 지속하고 있다. 이는 시장이 보합 신호를 보내며, 과매수 상태가 아니라는 점을 암시한다.

롯데시네마, 업계 최초 NFT 기반 굿즈 선보인다
뉴시스에 따르면 롯데시네마가 영화 ‘매트릭스:리저렉션’ 개봉에 발맞춰 업계 최초로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능토큰) 기술 기반의 새로운 형태의 굿즈를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롯데시네마, 영화 ‘매트릭스’의 지적재산권을 갖고 있는 워너브러더스, NFT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위치크래프트 협업으로 탄생할 이번 NFT 굿즈는 영화 ‘매트릭스:리저렉션’의 캐릭터와 영화 속 주요 상징 요소가 3D로 구현된다. 롯데시네마는 오는 21일까지 영화 ‘매트릭스:리저렉션’을 사전 예매하고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 중 선착순으로 NFT 시크릿 코드 총 3만개를 부여할 예정이다. 시크릿 코드를 부여받은 고객은 NFT 굿즈를 얻을 수 있다.

카톡에서 디지털 아트 개인간 사고판다…17일 ‘클립드롭스’ 정식 출시
뉴스1에 따르면,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서 한정판 디지털 예술작품(아트)을 사고팔 수 있게 된다. 개인 간(P2P) 2차 판매도 가능해진다. 카카오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는 ‘클립 드롭스’ 정식 버전을 오는 17일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클립 드롭스는 한정판 디지털 작품을 전시하고 유통하는 서비스로, 지난 7월 베타 서비스로 출시됐다. 카카오톡 ‘더보기'(…) 탭내 위치한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에 마련됐다.

넥슨 미국법인, 암호화폐로 게임 내 아이템 구매 지원한다
뉴스웨이 단독 보도에 따르면, 넥슨 미국법인이 가상자산(암호화폐)를 통한 결제 기능을 지원할 전망이다. 넥슨 미국법인은 지난 14일 게임 내 아이템을 가상자산으로 구매할수 있게 하는 기능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 기능을 통해 유저들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등 가상자산을 사용해 메이플스토리, 카트라이더, 마비노기, 빈딕투스, V4 등 넥슨 게임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넥슨 관계자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결제 지원은 넥슨 미국 법인에서만 진행하는 것”이라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계획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 투자그룹 CEO “순자산의 10% 암호화폐 투자 계획”
미 투자그룹 스트래티직웰스파트너스의 마크 테퍼 CEO가 CNBC와 인터뷰에서 “나는 암호화폐의 열렬한 신봉자이자 현실주의자”라며 “순자산의 10%를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 있으며 지금 당장 매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최근 암호화폐 강세는 전염병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 때문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며 “이는 더 이상 촉매제가 될 수 없으므로 향후 상승세는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트폴리오 내 암호화폐별 비중은 ETH 50%, BTC 40%, DOT 10%라고 밝혔다. 한편, 월가 전문가인 토드 고든 인사이드 엣지 캐피탈 매니지먼트 설립자는 같은 인터뷰에서 포트폴리오 내 암호화폐 비중이 3%라며, 비중은 BTC 56%, ETH 35%, SOL 5%, ADA 3%라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월렛, NTF 지원 기능 출시 예정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코인베이스가 자체 관리 월렛을 업그레이드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업그레이드의 주요 내용은 NFT 지원 기능 추가로, 이용자는 해당 기능을 통해 자신의 컬렉션을 열람하고 오픈씨(OpenSea) 등 NFT 거래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게된다. 해당 기능의 정확한 출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코인베이스 측은 “며칠 내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NFT 지원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역대 최고치…6%”
뉴욕연방준비은행이 내년 11월에 대한 기대 인플레이션이 역대 최고치인 6%대로 전망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기대 인플레이션이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역대 최고치이다.  지난 10월 보고서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2%로 예상된 바 있고, 3년 후에 대한 기대 인플레이션은 4.0%로 지난 9, 10월 보고서의 4.2%보다 하락했다. 3년 이상의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락한 것은 올해 6월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