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플, 테트라곤 소송 승소
리플사가 테트라곤(Tetragon) 소송에서 승소했다고 유투데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영국 투자사 테트라곤(Tetragon) 파이낸셜은 작년 12월 미국 SEC의 리플 기소 이후 리플사에 시리즈C 우선주에 대한 상환을 요구한다며 리플의 현금 및 기타 유동자산 동결을 요청하는 소송을 현지 법원에 제기했었다.
비트코인 역대 최고가 경신…6만 3천 6백달라 돌파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비트코인이 상승폭을 확대하며 6만 3천 6백달라 돌파했다. 바이낸스 기준 비트코인은 현재 6.2% 오른 63,65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 타임지, 비트코인 수용 예정
미국 타임지가 비트코인을 수용하고, 대차대조표에 자산으로 추가 할 예정이라고 업계 전문가가 트워터를 통해 전했다. 타임지는 그레이스케일과 파트너십을 체결, 암호화폐 관련 영상 시리즈를 출시할 예정으로, 그레이스케일로 부터 비트코인을 받을 예정이다.
美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 “정책 당국, 비트코인 더 자세히 이해해야”
케빈 매카시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가 CNBC 프로그램 스쿼크 박스에 출연해 “미국 정책 당국이 비트코인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비트코인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다른 국가들, 특히 중국이 앞질러 가는 상황에서 규제와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은 (비트코인이) 미래에 어떤 의미일지를 더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베스트셀러 \’비트코인 스탠다드\’를 재닛 옐런 재무장관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읽어야하지 않느냐?”라는 진행자 조 커넨의 질문에 대한 답이다. 앞서 매카시 의원은 자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을 좋아한다고 말한 바 있다.
美 증시, 블록체인 관련 주 강세
BTC 가격 상승과 코인베이스 상장 이슈의 영향으로 나스닥 상장 블록체인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3대 채굴 장비 제조업체 중 한 곳인 카나안은 현재 16% 대의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기업으로 전환한 중국 IT 기업 더 나인은 10%대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컨센시스 6500만 달러 규모 투자 유치…JP모건 등 참여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가 6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 유치했다. JP모건, UBS, 파일코인, 메이커 재단, 알메다 리서치, 펜부시 등 글로벌 금융 기관과 유명 크립토 VC 들이 참여했다.
학계 “정부 과세 방향 부적합”…기타소득세보다 거래세가 적당
암호화폐 대한 정부 과세 방향이 부적합하다는 학계의 지적이 나왔다고 코인데스크코리아가 13일 보도했다. 현재의 일률적인 기타소득 과세보다는 초기 시장 조성 단계에서는 거래세를 적용하고, 시장 성숙 이후에는 양도소득세를 적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이동건 한밭대 교수는 ‘비트코인 이제 시작인가 끝인가’를 주제로 13일 온라인에서 열린 한국조세정책학회 조세정책세미나에서 “일본을 제외한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암호화폐 차익에 양도소득 과세를 하고 있다”며 “우리도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하고 과세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또한 토론 패널로 나선 김갑순 동국대 교수는 “정부가 내놓은 과세안을 보면 이런 부분은 도외시하고 세수 확보와 조세회피 방지만을 최우선시하고 있다”며 낮은 수준의 거래세를 걷는 방안을 제시했다. 조세정책학회에서 나온 제안대로 암호화폐 차익이 현행 기타소득에서 금융투자소득의 양도소득 과세 방식으로 바뀔 경우, 다른 금융상품 소득과 합쳐서 5000만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익 금액이 많지 않은 중·소규모 투자자들의 세금은 줄어들고, 이익금액이 많은 투자자들은 세금을 지금보다 늘어난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前 CIA 국장 “비트코인 범죄 악용, 실제보다 과장”…옐런 재무장관 전면 반박
포브스에 따르면 마이클 모렐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 대행이 “비트코인의 불법 활동 악용이 실제보다 과장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블록체인이 범죄를 단속하고, 불법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율적인 분석 툴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비트코인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중국과 속도를 맞춰야 하는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 데 발목을 잡히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미국이 블록체인과 핀테크를 활용하는 대신, 유령을 쫓는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한다면 중국과의 지정학적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제넷 옐런 미국 재무장관 등은 비트코인이 불법 활동에 악용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마이클 모렐 전 국장 대행은 이날 암호화폐 입법 로비 단체의 의뢰로 비트코인과 범죄 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다.
HSBC “암호화폐 직접 노출 및 관련 상품에 관심 없다”
더 블록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 은행 HSBC가 비트코인에 투자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기업 주식을 블랙리스트에 올린데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다. HSBC 측은 “HSBC는 암호화폐에 대한 직접 투자 채널에 대해 관심이 없다. 암호화폐를 통해 가치를 얻는 상품 또는 증권에 대한 관심도 제한적이다. 블랙리스트는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새로운 조치가 아니다. HSBC는 글로벌 고객들의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주식 매입을 제한할 지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결정하지 않았다. 특정 국가의 고객들에 한해 투자가 제한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작년 8월 자본배분 전략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기로 했다. 이후 회사는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사들여 현재 54억 달러어치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지난 9일 HSBC가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 주식을 블랙리스트에 올렸으며, 이에 따라 HSBC 고객은 HSBC InvestDirect 또는 HIDC를 통해 MSTR 주식을 구매할 수 없다고 보도된 바 있다.
리플 공동 창업자 2 명, SEC 관련 소송 기각 요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와 크리스 라센(Chris Larsen) 리플(XRP, 시총 4위) 공동 창업자가 지난해 12월 현지 법원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기한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 소송을 기각하기 위한 기각 신청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갈링하우스 및 라센 측 변호인은 “두 리플 공동 창업자가 진행한 거래는 미국 영토 이외의 지역에서 이뤄졌다. 만약 일부 XRP 구매자가 미국 거주 투자자였다 하더라도, SEC는 이와 관련된 혐의를 입증할 만한 자료를 제출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뉴욕 남부지방법원 알리사 토레스 판사는 SEC에 오는 5월 14일까지 해당 기각 신청을 반박할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15.03% 오른 1.5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대형 채굴풀 CEO “가장 좋은 투자 전략은 ‘싸이클’에 초점을 맞추는 것”
중국계 대형 마이닝풀 BTC.TOP 창업자이자 오피니언 리더 장줘얼(江卓尔)이 13일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가장 좋은 암호화폐 투자 전략은 ‘싸이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펀더멘탈에 특이점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한 싸이클에 한 차례의 매수, 한 차례의 매도를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수익률도 높다. 강세장이 도래했을 때 어떤 코인이 언제 급등할 지는 아무도 모른다.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다. 단지 상승폭의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 올랐을 때를 잘 캐치해 수익을 실현하면 되는 것이다. 종목을 수시로 바꿔타거나 급등 종목에 올라타는 행위를 반복하면 순식간에 잔고가 텅텅 비어버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FTX ‘코인베이스 프리-IPO’ 가격, 599 달러까지 상승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FTX의 코인베이스 프리-IPO(CBSE) 선물 계약 가격이 13일 한때 599 달러까지 상승하며 신고점을 경신했다. CBSE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시총을 추적하는 파생상품으로 코인베이스 증시상장 직후 코인베이스 주식 기반 토큰화 증권으로 전환된다.
유럽투자은행, 디지털 채권 발행 위해 블록체인 도입 검토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유럽투자은행(European Investment Bank, 유럽연합 소속 국가들이 공동 출자한 투자기관)이 디지털 채권 발행 및 판매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익명의 업계 관계자 제보를 인용 “유럽투자은행은 골드만삭스그룹, 산탄데르은행, 소시에테제네럴은행 등과 함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채권 시스템을 테스트했다. 디지털 채권 판매에 대한 투자자 회의는 4월 15일(현지 시간)부터 시작돼 수 주 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4/15 이더리움 베를린 하드포크 예정
이더리움 베를린 하드포크가 블록높이 12244000에서(4/15 전망) 실시될 예정이다. 컨트랙트 최적화, 가스 효율, EVM 코드 리딩 방식 업데이트, 디도스 공격 예방 등 EIP-2565, EIP-2315, EIP-2929, EIP-2718, EIP-2930 총 5개 EIP(이더리움개선제안)가 이번 업그레이드에 포함된다. 이더리움 2.0 병합에 필요한 EIP는 포함되지 않았다. 베를린 하드포크는 본래 2020년 6월~7월경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Geth 클라이언트 집중화 문제로 연기됐다.
USDT 순발행량, 작년부터 월평균 16%씩 증가
토큰뷰가 202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스테이블코인 순발행량을 집계했다. 순발행량 순위 1~3위는 USDT, USDC, BUSD다.
USDT: 48.84억개→456.87억개, 9.35배 증가, 월평균 16.21% 증가
USDC: 5.19억개→111.61억개, 21.51배 증가, 월평균 24.77% 증가
BUSD: 0.31억개→49.23억개, 158.81배 증가, 월평균 55.89% 증가
PAX: 2.24억개→9.04억개, 4.04배 증가, 월평균 13.49% 증가
HUSD: 0.97억개→7.27억개, 7.49배 증가, 월평균 27.77% 증가
GUSD: 0.04억개→1.31억개, 32.75배 증가, 월평균 39.14% 증가
비영리 재단, 크레이그 라이트에 ‘비트코인 백서 저작권’ 소송 제기
암호화폐 특허권 개방 연합(COPA, Crypto Open Patent Alliance)이 비트코인 백서의 저작권을 주장하는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COPA는 암호화폐 결제 업체인 스퀘어가 주도하여 설립한 비영리 재단으로 COPA 측은 이번 소송을 통해 크레이그 라이트가 비트코인 백서에 대한 저작권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한 문제를 법원을 통해 해결 할 예정이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