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11/23)

히스 타버트 CFTC 의장 “미국, 암호화폐 분야 주도권 잡아야”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히스 타버트(Heath Tarbert) 의장이 “암호화폐 분야에서 미국이 리더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이 블록체인 기술 분야에서 뒤처질 것을 우려했다. 또한 금융 구조가 새로운 디지털화폐를 중심으로 발전한다면 신용 시장(credit market)에서의 달러 지위가 약해질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만약 금융 구조가 새로운 디지털 통화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그것이 신용 시장에서 달러의 지배권을 대체한다면, 국제 금융 상황에 대한 달러의 영향력은 감소할 수 있다.”

핀테크 전문가 리차드 존슨, 그리니치(Greenwich Associates)와 결별…암호화폐 회사 설립
핀테크 베테랑인 리차드 존슨은 세계적인 데이터 및 분석 제공업체인 그리니치 어소시에이츠(Greenwich Associates)를 떠나 자신만의 암호화폐 회사인 텍스처 캐피털(Texture Capital)을 설립했다.존슨은 더 블록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얼마 전부터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토큰화와 STO가 어떻게 시장 구조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칠가에 대한 고민을 했다”고 말했다.

윙클보스 형제, 암호화폐 스타트업 인수한다
쌍둥이 형제 타일러와 카메론 윙클보스가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얼마 전 암호화폐 관련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인수된 회사는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로 알려졌다.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는 사용자가 신용 카드와 직불 카드를 사용해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와 같은 암호화 게임에서 NFT 토큰을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NFT는 디지털 애완동물, 예술, 우표, 그리고 무기 같은 게임 내 아이템과 같은 특정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나타낸다.

백트 비트코인 선물 월거래량 100만 달러 돌파
19일 기준 ICE 산하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백트의 비트코인 선물 월거래량이 100만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백트(Bakkt)는 비트코인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가 최근 출시한 비트코인 펀드에 비트코인을 보관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펀드는 표준 세무서류와 고객 서비스 지원을 통해 적합한 기관 투자자에게 제공된다.

암호화폐 거래소 순위 발표 : “1위는 제미니가 차지”
런던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업체 크립토 컴페어(CryptoCompare)가 거래소 벤치마크 순위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제미니가 1위를 차지했다.그리고 그 뒤를 잇빗(Itbit)과 코인베이스(Coinbase), 크라켄(Kraken), 비트스탬프(Bitstamp), 리퀴드(Liquid), OKEx, 폴로닉스(Poloniex), 비트플라이어(bitFlyer) 그리고 비트파이넥스(Bitfinex) 순이다.

미 국세청 “거래소 이용자 정보 요청”…세금부과 위해 적법한 절차였다!
미국 국세청(IRS)은 최근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서 미국의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조사가 적법하다고 주장했다.지난 6월 미 국세청(IRS)은 코인베이스에 윌리엄 지츠크가 2016년 해당 플랫폼에서 암호화폐를 거래하며 발생한 수입 관련 거래 기록을 요청한 바 있다.

비자, 자체 블록체인 시스템 루시디티 개발 중
세계 최대의 카드 결제 네트워크인 비자(VISA)가 금융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비자가 개발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름은 루시디티(LucidiTEE)로 최근 보고서에서 이를 소개했다. 블록체인에서 민감한 개인 데이터를 공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실행 환경 내에서 해당 데이터를 세분화하고, 각 당사자가 계산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한다.

국내 거래소 부실 코인 상폐 가속화… 거래소 인허가제 준비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빗썸이 최근 처음으로 유의종목(DACC, ROM, PST)을 상장폐지하는 등 업비트, 코인원 같은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올 하반기부터 잇따라 투자 유의종목 지정 및 거래지원 중단을 발표하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거래소들이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개정안 시행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고 있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소위를 통과한 특금법 개정안은 암호화폐 거래소 인허가제를 시행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시행되면, 암호화폐 거래소 자격을 심사하는 기준이 생겨 부실 암호화폐를 미리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출처 : COINNESS KOREA>

HSBC 블록체인 총괄 “2020년 블록체인 상용화 구현”
글로벌 기술 전문 미디어 테크와이어아시아(Techwireasia)에 따르면, HSBC의 블록체인 총괄 조슈아 크로커(Joshua Kroeker)가 인터뷰에서 “오는 2020년 블록체인 상용화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항구, 세관, 보험사 같은 생태계 참여자들이 기술을 채택하고 상호 연결된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HSBC는 지난 2년 동안 블록체인 관련 각종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은행 및 금융 서비스업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것에 앞장섰다”며 “HSBC는 블록체인에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이를 엄청난 비즈니스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향후 개방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다른 플랫폼과 서비스 제공 업체를 연계하는 ‘슈퍼 커넥터(super-connector)’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출처 : COINNESS KOREA>

中 대형 마이닝풀 CEO “일희일비 싫다? 장기 투자해라”
중국계 대형 마이닝풀 BTC.TOP CEO인 장줘얼이 중국 SNS 웨이보를 통해 “(전일 BTC 가격 급락에 당혹스럽다는 SNS 유저 에) 당혹스럽다면 됐다. 당혹스러운 사람이 많다는 것은 이미 결론에 도달했다는 의미”라며 “레버리지나 선물 등 리스크에 주의하고, 대신 현물을 많이 보유하면 매일 매일이 편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BTC는 전일 바이낸스발(發) 소동에 투자 분위기가 크게 위축되며 장중 한때 7,600달러 선 아래로 추락했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최고점인 10,600달러에서 30% 가량 하락한 상태다. 현재는 코인마켓캡 기준 4.23% 내린 7,674.9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출처 : COINNESS KOREA>

바이낸스 CEO “상하이 사무실 폐쇄 ‘사실무근’…퍼드 조작에 휘둘리지 말아야”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 상하이 사무실 폐쇄 루머 관련) 경찰도, 수사도 없었다. ‘퍼드 블록'(해당 보도를 처음으로 전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The Block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 보는데 당신의 시간을 낭비하지 마시길. 퍼드는 말 그대로 불안, 불확실성,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말했다. 앞서 더블록 등 외신은 중국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 불법 행위 단속 일환으로 바이낸스 상하이 사무실을 기습 조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바이낸스 측은 ‘사실무근’이라며 즉각 부인했다.<출처 : COINNESS KOREA>

모로코 중앙은행 총재 “블록체인, 10년간 가장 파괴적인 기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모로코월드뉴스에 따르면 아브델라티프 조하리(Abdellatif Jouahri) 모로코 중앙은행 총재가 “핀테크가 은행 서비스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블록체인은 최근 10년간 가장 파괴적이고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말했다. <출처 : COINNESS KOREA>

그레이스케일 이사 “3Q 투자액 중 84%, 전통 헤지펀드 자금”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투자펀드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3분기 총 투자액이 2억 5,4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미하일 소넨샤인(Michael Sonnenshein) 그레이스케일 전무 이사는 지난 20일 인터뷰 중 “이 중 84%는 암호화폐 자산에 관심을 보인 전통(non-crypto) 헤지펀드들의 자금”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19일(현지시간)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투자신탁(GBTC)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 신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COINNESS KOREA>

美 상원 의원, 신규 법안 발의…비준 시 리브라 규제 압력 가중
미국 유력 금융 미디어 CNBC에 따르면 미 공화당과 민주당 상원 일부 의원이 스테이블 코인 규제 관련 새로운 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를 법적 규제를 받는 증권형으로 취급, 비준 시 리브라에 더 많은 규제 압박을 가져올 것이라는 게 미디어 측의 설명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법안은 미 상원 금융서비스 위원회 소속인 실비아 가르시아(Sylvia Garcia), 랜스 구든(Lance Gooden) 의원이 주도했다. 가르시아 의원은 해당 법안 발의 성명 발표 중 리브라를 직접 언급했으며 리브라와 기타 스테이블 코인이 기존 법률 하에 증권으로 정의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