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11/14)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글로벌 중앙은행 둘로 갈렸다
한국일보는 최근 중앙은행이 발행하려 하고 있는 디지털 화폐에 대한 각국 중앙은행의 상반된 입장에 대해 보도했다. 페이스북이 발행을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리브라가 중앙은행들을 자극했다. 최근까지 “암호화폐는 스캠”이라며 공격하던 중앙은행들이 중앙은행 주도 디지털 화폐(CBDC) 발행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CBDC가 금융비용을 절감하고 통화정책을 효율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반면, CBDC는 오히려 시중은행의 역할을 잠식해 신용시스템을 마비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비트파이넥스,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 계획할 것”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 비트파이넥스 CTO가 최근 인터뷰에서 “2020년 1분기를 목표로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테더 골드(Tether Gold)를 출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아르도이노(Ardoino)는 단지 골드와 연동된다는 것 이외에 또 다른 상세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다.

스위스 암호화폐 은행 SEBA, 금융시장감시청 라이센스 취득 후 계좌 계설 서비스 시작
스위스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은행 SEBA가 스위스 금융시장감시청(FINMA)의 은행 라이선스를 취득한 후 서비스를 개시했다.SEBA는 현재 5개의 암호화폐 BTC, ETH, XLM, LTC, ETC의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은행은 지난 달 20일부터 기업, 자산 운용사, 개인 투자자 등 스위스 고객을 대상으로 계좌 개설 업무를 시작했다.

中 인민은행 “2~3개월 내 중국 디지털 화폐 발행 할 듯”
중국 인민은행이 두세달 내에 디지털 화폐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 CN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HCM캐피털의 잭 리 매니징 파트너는 중국이 이미 ‘디지털 화폐 전자 결제(DCEP)’로 불리는 체계를 개발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만 폭스콘그룹의 블록체인 부문 투자를 전담하고 있다.

백트, 뉴욕 금융 서비스청(NYDFS)로 부터 커스터디 서비스 라이선스 취득
백트는 뉴욕 금융 서비스청(NYDFS)의 라이선스 발급 이후 공식 커스터디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수 있게 되었다. 인터콘티넨탈거래소(Intercontinental Exchange) 자회사 백트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합법적 커스터디 서비스를 정식 출시한다. 백트는 지난 11일 자산 보관 서비스 ‘백트 웨어하우스’가 대규모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원하는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 출시를 알렸다. “지금까지 선물 상품에 한정되어 비트코인을 보관해 온 백트 웨어하우스가 백트의 엔터프라이즈급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문을 열 것이다.”

이더리움 설립자 : 중국 디지털 화폐 발행과 관련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용 제안
이더리움의 공동 설립자이자 컨센시스(Consensys)의 설립자인 조셉 루빈(Joseph Lubin)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운용할 것을 제안했다. 루빈은 11월 9일에 보도된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 지도부가 중국의 디지털 화폐에 가장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길 바란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같은 기존의 인프라를 이용한다면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3분기 암호화폐 거래소 원화마켓 거래량, 전분기比 2배 이상↑
토큰인사이트가 발간한 2019년 3분기 암호화폐 현물거래소 리포트에 따르면 3분기 원화마켓 거래량이 전 분기(434억 달러)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983억 달러에 달했다. 엔화마켓, 유로마켓 거래량도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달러마켓 거래량은 감소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中 네이멍구, 암호화폐 채굴 기업 퇴출 작업 착수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공업정보화청이 11월 11일~25일 암호화폐 채굴 기업 정비를 위한 조사를 실시한다고 지난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했다. 실물경제와 무관하고, 규제를 회피하고, 에너지 소모량이 크고, 빅데이터 산업으로 포장해 전기료, 토지, 세금 등에서 혜택을 받고 있는 암호화폐 채굴 기업이 이번 조사에서 걸러질 예정이다. 앞서 네이멍구자치구 5개 유관부서는 ‘암호화폐 채굴 기업 정비에 관한 통지’를 발표, 암호화폐 채굴 산업을 실물경제와 무관한 가짜 금융혁신이라고 지적하며 암호화폐 채굴 기업을 점진 퇴출시킬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ETH 기반 대출 급증… 내년 PoS 전환 때문?
올해 ETH 기반 대출이 급증했으며, 이는 내년 PoS(지분증명) 알고리즘으로 전환되는 ETH 2.0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가 디파이 펄스(DeFi Pulse)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2년 전만 해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ETH 기반 대출은 올 들어 약 300만 달러 규모에 달하고 있다. ETH 대출액은 앞으로도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ETH 2.0에서는 최소 32 ETH를 스테이킹해야 검증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미디어는 설명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후오비 차이나 CEO “中, 미국보다 부처 간 연동 잘돼… 블록체인 정책 추진 유리”
후오비 차이나 CEO 위안위밍(袁煜明)이 최근 한 매체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해 미국은 ‘각개전투’ 모드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증권 속성 자산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상품 속성 자산을 담당하며, 주(state)별로 금융 부처가 따로 있어 규정이 상이하고 각 부처는 서로 독립돼 있다. 더불어 미국은 올해부터 규정 위반 암호화폐 기업을 대상으로 처벌 강도를 높이고 있다. 텔레그램이 그 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미국과 달리 부처 간 연동이 매우 잘 돼있다. 특히 10월 24일 공산당 중앙정치국 집단학습 이후 블록체인 장려 정책 및 규제안이 훨씬 명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트론 창시자, “다량 BNB, HT 보유”
저스틴 선(Justin Sun) 트론(TRX, 시총 11위) 창시자가 트위터를 통해 “다시 한번 말하지만 나는 어떤 것도 사지 않는다. 그저 나를 도와준 친구들에 투자할 뿐”이라며 “다량의 BNB, HT, OKB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TRX와 BTT를 지지하는 모든 거래소에 베팅 중”이라고 말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