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인민은행 “2~3개월 내 중국 디지털 화폐 발행 할 듯”
중국 인민은행이 두세달 내에 디지털 화폐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 CN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HCM캐피털의 잭 리 매니징 파트너는 중국이 이미 ‘디지털 화폐 전자 결제(DCEP)’로 불리는 체계를 개발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만 폭스콘그룹의 블록체인 부문 투자를 전담하고 있다.
백트, 뉴욕 금융 서비스청(NYDFS)로 부터 커스터디 서비스 라이선스 취득
백트는 뉴욕 금융 서비스청(NYDFS)의 라이선스 발급 이후 공식 커스터디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수 있게 되었다. 인터콘티넨탈거래소(Intercontinental Exchange) 자회사 백트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합법적 커스터디 서비스를 정식 출시한다. 백트는 지난 11일 자산 보관 서비스 ‘백트 웨어하우스’가 대규모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원하는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 출시를 알렸다. “지금까지 선물 상품에 한정되어 비트코인을 보관해 온 백트 웨어하우스가 백트의 엔터프라이즈급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문을 열 것이다.”
이더리움 설립자 : 중국 디지털 화폐 발행과 관련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용 제안
이더리움의 공동 설립자이자 컨센시스(Consensys)의 설립자인 조셉 루빈(Joseph Lubin)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운용할 것을 제안했다. 루빈은 11월 9일에 보도된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 지도부가 중국의 디지털 화폐에 가장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길 바란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같은 기존의 인프라를 이용한다면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미국 SEC, 증권 상장등록 면제 규정 통일 논의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투자조언위원회에서 개최하는 두 건의 미팅을 가졌다. 이들 중 두 번째 미팅은 증권 면제규정 통일에 대해 SEC가 의견제시를 한 사항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현재의 증권 면제규정은 과도하게 관대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지난 2012년에 제정된 JOBS 법(Jumpstart Our Business Startups Act)으로 스타트업 기업들은 IPO시에 감독기관에 보고를 해야하는데 이러한 의무를 면제했으나 그 결과는 의도한 바 대로 되지 않았다.
이더리움 설립자 : 중국 디지털 화폐 발행과 관련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용 제안
이더리움의 공동 설립자이자 컨센시스(Consensys)의 설립자인 조셉 루빈(Joseph Lubin)은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운용할 것을 제안했다. 루빈은 11월 9일에 보도된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 지도부가 중국의 디지털 화폐에 가장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길 바란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같은 기존의 인프라를 이용한다면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바비 리 “2028년이면 BTC와 GOLD 역전 현상이 나타날 것”
‘BTCC’ 창업자 바비 리가 최근 “2028년 비트코인 시총은 금 시총을 뛰어 넘을 것이고 비트코인이 금의 시가총액을 넘어설 것이며 궁극적으로 100만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비 리는 중국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인 ‘BTCC’를 설립했고 현재 비트코인 지갑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다. “금의 시가총액은 8조 달러, 비트코인은 1천600억 달러에 불과하다. 현재 50배 정도 낮지만, 2028년이면 역전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중국 기술 대기업 텐센트(Tencent), 홍콩으로 부터 ‘가상 은행’ 개설 라이센스 취득
중국의 거대 기술업체인 텐센트(Tencent)가 홍콩 당국으로부터 “가상 은행”을 개설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고 이 회사의 블록체인 책임자 웨이게 카이(Weige Cai)가 말했다.카이(Cai)는 월드블록체인 서밋 우젠(Wuzhen)에서 “은행 설립을 위한 전담팀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은행에 대한 상세 내용은 여전히 베일에 가려 있다.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CTO “백트 일일 최대 거래량, 타 거래소 1% 수준”
온라인 경제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인터닥스(Interdax) CTO 찰스 판(Charles Phan)이 최근 백트(Bakkt)가 1,756 BTC 규모의 일일 최대 거래량을 기록한 것과 관련, “이를 환산하면 약 1,550만 달러다. 해당 규모가 백트의 신기록일지는 몰라도 타 거래소와 비교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대략 1%~10% 수준”이라고 평가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中 최대 전자상거래 알리바바 “롤리와 파트너십 체결한 바 없다”
중국 유력 블록체인 미디어에 따르면 현지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홍보부 총괄 청칭이 “비트코인(BTC) 보상 온라인 쇼핑몰 롤리(Lolli)와 협력 관계를 맺은 적이 없다”며 파트너십 사실을 부인했다. 그는 “앤트파이낸셜의 블록체인 기관 마이블록체인 또한 롤리의 BTC 구매 보상 이벤트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앞서 코인데스크는 롤리가 알리바바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중국 최대 쇼핑 축제 11·11을 맞아 미국 거주자를 대상으로 구매가 5%를 BTC로 돌려받는 이벤트를 공동으로 기획했다고 보도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JP모건 블록체인 프로젝트 총괄 “美 연준, CBDC 발행 시 정교하게 설계해야”
싱가포르 현지 미디어 비즈니스 타임즈(The Business Times)에 따르면, 우마르 파루크(Umar Farooq) JP모건 블록체인 프로젝트 총괄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CBDC 발행을 고려 중이라면 아마도 JPM 코인을 없애고 싶을 것”이라며 “CBDC 발행 시 당국은 최대한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시중 은행 전반적인 시스템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라이트코인 창시자 “밈블윔블 도입까지 최소 6개월 필요”
라이트코인(LTC, 시총 6위) 창시자 찰리 리가 트위터에서 “밈블윔블 프로토콜을 도입하는데 최소 6개월에서 18개월 정도의 테스트 기간이 필요하다”며 “테스트가 완료되고 채굴자만 준비되면 언제든 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밈블윔블의 프라이버시 기능에 따른 LTC 상장 폐지 우려 관련 그는 “메이저 거래소들과 소통하고 있다. (밈블윔블 도입으로) LTC가 상장 폐지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우리는 모험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어떤 일이든 일정 수준의 리스크를 수반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모건 크릭 창업자 “다음번 불마켓 때 기억해야 할 여섯 가지는?”
암호화폐 투자 회사인 모건 크릭 디지털 애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의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앤서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가 트위터에 ‘다음번 BTC 불마켓 시 기억해야 할 몇가지들’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1. BTC 시세 쉽게 변동할 수 있음 2. 투자금 몽땅 잃을 수도 3. 투자는 수용 가능한 수준에서 적당히 4. 트위터는 투자 전문 사이트 아님 5. 신용카드를 이용한 BTC 매입 신중 필요 6. 스스로 충분히 공부하기<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비트코인 개인키 잃어버린 암호화폐 거래소, 결국 파산 선고
지디넷코리아가 12일 업계 관계자를 인용, 서울회생법원 제21부(부장판사 전대규)가 지난 5일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빈에 파산을 선고했다고 전했다. 코인빈은 올해초 내부 직원이 암호화폐 보관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개인키(프라이빗키)를 분실하면서, 현재 시세로 60억원 규모 암호화폐가 묶이는 사고가 발생했던 곳이다. 미디어는 파산 선고로 이용자들의 피해구제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며 청산절차에 따라 법인 자산을 팔아 분배할 예정이지만, 피해규모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