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인텔(Blockchain Intel) CEO “다크웹, 익명성 토큰보다 BTC 선호”
블록체인인텔(BlockchainIntel) 최고경영자 캐런 츄(Karen Hsu)는 “비트코인은 다크웹 불법 거래에서 다른 익명성 토큰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ZEC 및 DASH 등 익명성 통화보다 비트코인을 더 선호한다”고 밝혔다.‘다크 웹(Dark web)’은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접속을 위해서는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웹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속자나 서버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이버상에서 범죄에 활용된다. 다크 웹이라는 용어는 지난 2013년, 미국 FBI가 온라인 마약 거래 웹사이트 ‘실크로드’를 적발해 폐쇄하면서 알려졌다.
페이스북 리브라 출시 발표 이후, 두 개의 다른 유사한 프로젝트 공개…모두 리브라에 위협적
최근 시장 분석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를 견제할 만한 기업으로 시장 애널리스트들 중 22.62%가 아마존을 선택했다.하지만 아마존은 여전히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지는 않은 상태다. 설문에 참여한 분석가 22.62%는 아마존이 자체 암호화폐를 발표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평가했다.
한화투자증권, 블록체인 사업 뛰어든다…싱가포르 캡브릿지 지분 인수
한화투자증권이 싱가포르 캡브릿지 그룹(CapBridge Holdings PTE, LTD.) 지분 인수를 최종 마무리했다.파이낸셜 뉴스에 따르면, 한화투자증권이 싱가포르 캡브릿지그룹의 지분 인수와 관련해 금융위원회로부터 최종인가를 받았다고 5일 밝혔다. 한화투자증권의 투자금액은 약 50억원으로, 이사회 의석도 확보해 실질적 경영에 참여할 예정이다.
미국 국가안보국(NSA), 양자컴퓨팅에 견디는 암호화 기술 개발하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양자저항 양자컴퓨팅에 견디는 암호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4일 워싱턴DC에서 열린 빌링턴 사이버시큐리티(Billington CyberSecurity) 제10차 연례 정상회의에서 미국 국가안보국(NSA) 사이버보안 부서 책임자인 앤 노이버거(Anne Neuberger)가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양자컴퓨팅에 견디는 암호화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엑·솔리드X, 기관 투자자 대상 비트코인 ETF 판매 개시
반엑(VanEck), 솔리드X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하는 비트코인 ETF 상품 판매를 시작한다. 앞서 두 업체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ETF 허가를 신청했으나 거절된 상태다. 이와 관련해 SEC 측은 시장 리스크를 이유로 승인 여부 판단을 연기하고 있다. 이번 ETF 상품 판매는 ‘SEC 제144A조’의 해석을 기반으로 이뤄질 예정이고 이 조항의 세부 내용은 라이센스를 보유한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모 증권 판매를 허가한다.
아르헨티나 통화 위기 고조…미국 달러 매입 제한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아르헨티나 페소화가 급락하면서 이를 막기 위해 미국 달러화(USD) 매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중앙은행이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미국 달러 구매를 월 1만 달러 한도로 제한할 것이다. 한도를 넘는 액수는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일요일 발표한 성명에서 밝혔다.
무역전쟁의 위험 대두…투자자들, 3개월 연속 금 보유고 늘리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리스크와 세계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에 힘입어 금에 대한 수요가 3개월 연속 급증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월요일 투자자들의 금 수요량이 6월과 7월에 총 154.1톤이 늘어났고 8월에는 금 보유량이 101.9톤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알려진 총 금자산은 2,453.4톤이다.
삼성전자, ‘블록체인 SSD’ 특허 출원했다
서울경제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프로그램이 가능한 블록체인 SSD(Solid State Drive)와 스위치’에 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공개된 이 특허는 지난 1월 15일 출원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원된 특허는 블록체인 인식 스토리지 장치의 속도와 수명을 향상하는 내용으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하는데 FPGA란 프로그램이 가능한 비메모리 반도체로 용도에 맞게 회로를 다시 새길 수 있다.
CME, BTC 선물 미결제약정 급증 30%↑…美 노동절 갭 상승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베인크립토(beincrypto)의 5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선물·옵션 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옵션계약)이 지난 3일(현지시간)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미결제약정 수치는 7일간 감소 추세 결과 8월 28일 1억 8,600만 달러까지 줄었으나, 2일 장 마감 시 2억 4,900만 달러까지 증가했다. 한편 9월 첫 번째 월요일에는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가 미국 노동절로 휴장, BTC 가격이 9,700 달러에서 10,400 달러까지 급등하면서 CME BTC 선물 차트에 큰 갭(gap)이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암호화폐 전문 애널리스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를 인용 “이 같은 현상은 기관 투자자들이 게임에서 우위를 점하려 할 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그라운드X, 자체 암호화폐 ‘클레이’ 업비트 싱가포르 상장
뉴스1에 따르면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가 자체 발행하는 암호화폐 ‘클레이'(KLAY)를 해외 암호화폐 거래사이트 업비트 싱가포르와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이달 말 최초 상장한다고 밝혔다. 클레이는 그라운드X가 지난 6월 출시한 메인넷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암호화폐다. 클레이는 업비트 싱가포르 비트코인(BTC)마켓과 업비트 인도네시아 BTC마켓, 인도네시아달러(IDR) 마켓에 상장된다. 이와 관련 그라운드X 측은 “생태계 확장을 위해서는 클레이 유통이 필요하다고 판단, 상장을 결정하게 됐다”며 “클레이튼은 아시아 대표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이 방향성에 맞춰 업비트 싱가포르와 업비트 인도네시아를 거래소로 선택했다”며 해외 거래사이트에 우선 상장하는 배경을 설명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WSJ “삼성, ‘클레이튼폰’ 출시 예정”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업계 관계자를 인용 ” ‘클레이튼폰(KlaytnPhone)’으로 명명된 갤럭시 노트 10 핸드폰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오늘부터 한국에서만 판매가 개시되며 가격은 약 1,000 달러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해당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모델의 스펙은 지난달 출시한 2개의 갤럭시 노트 10 모델과 큰 차이가 없지만, 핸드폰은 켜거나 끌 때 Klaytn이라는 문구가 화면에 뜨며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암호화폐 지갑이 설치되어 있다”며 “그외에도, 해당 모델의 핸드폰을 구매한 사람들에 한해 일정 수량의 카카오 암호화폐 KLAY가 지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재까지 삼성측의 공식적인 답변은 없는 상태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전문가 “노딜 브렉시트 현실화 시, BTC 2만 달러 돌파 전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니콜라스 그레고리(Nicholas Gregory) 커머스블록(CommerceBlock) CEO가 “노딜 브렉시트(합의 없는 영국 유럽연합 탈퇴) 가능성으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가 강력한 BTC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노딜 브렉시트가 현실화한다면 BTC는 전례 없는 반등세를 연출, 2만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니겔 그린(Nigel Green) 금융 컨설팅 업체 대표 또한 “브렉시트, 미중 무역전쟁 등 지정학적 요인으로 ‘디지털 금’인 BTC가 자산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며 “몇 주 안에 BTC 가격이 15,000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BTC 가격은 6월 고점인 13,930 달러보다 24% 낮지만, 저항선 10,000 달러를 웃돌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0.46% 오른 10,600.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ETC 아틀란티스 하드포크, 9월 12일 예정
이더리움클래식 협동조합(Ethereum Classic Cooperative) 트위터 계정이 “ETC 아틀란티스 하드포크가 9월 12일로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앞서 ETC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블록 높이 8,772,000에서 하드포크를 진행, 예정일은 9월 12일 혹은 13일이 유력하다고 공지한 바 있다. 아틀란티스 하드포크 이후 이더리움의 비잔티움(Byzantium), 스퓨리어스 드래곤(Spurious Dragon)과 호환 가능해지며, 두 블록체인 간 댑들의 이동이 용이해진다. ETC는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4.24% 오른 7.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