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시가총액 3,850억 달러…2018년 5월 이후 최고치 기록
수많은 디지털 화폐가 회복세를 보이며 암호화폐 겨울은 마감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시가총액 3,850억 달러로 올해 6월 말 기준 디지털 자산이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2018년 11월 말부터 2019년 3월 초까지도 하락세를 유지했다.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의 랠리를 시작으로 상승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비트코인과 몇몇 알트코인들도 여러 지점에서 저항을 돌파했다.
맥스 카이저(Max Keiser) : “알트코인 현상 마감, 비트코인으로 가치 유입될 것”
미국의 방송가이자 비트코인 지지자로 알려진 맥스 카이저(Max Keiser)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 랠리에서 알트코인은 시즌은 오지 않을 것이고 대부분의 자산이 비트코인으로 유입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이저(Keiser)는 암호화폐 영역의 발전과 세그윗(Segwit) 그리고 라이트닝 네트워크 채택으로 사람들은 가치 저장소로 비트코인을 채택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카이저(Keiser)에 의하면, 암호화폐 소유주들은 그들의 자금을 가장 안전한 체인인 비트코인으로 다시 옮기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워터스 미 하원의원 : “페이스북 리브라, ‘달러와 경쟁’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
미 하원 금융위원회 위원장 워터스(Waters)는 페이스북이 새로운 암호화폐 ‘리브라’에 대한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청문회를 촉구한 지 이틀 만인 3일 오후 CNBC에 출연해 리브라 개발에 대한 ‘모라토리엄(활동 중단)’을 외쳤다.워터스(Waters)는 소셜 미디어 대기업 페이스북에 대해 “그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멈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를 보호해야죠. 우리는 페이스북이 스위스로 가서 달러와 경쟁하는 것을 허락할 수 없다.”CNBC 워터스는 인터뷰에서 소비자 개인 정보에 관한 잠재적인 사생활 침해에 대해 연방 무역 위원회의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헤지펀드사, 금융감독청(FCA) 대체투자펀드 운영사 라이선스 취득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런던에 본사를 둔 암호자산운용회사인 프라임팩터 캐피털(Prime Factor Capital)이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으로부터 전면적인 대체투자펀드 매니저(AIFM)로 운영하기 위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FCA가 승인되면 프라임팩터 캐피털(Prime Factor Capital)은 유럽 연합의 AIFM 지침인 ‘AIFMD’에 따라 전방위적인 대체 자산 펀드 운영이 가능해진다.
보고서: “페이스북, 뉴욕 주 규제 기관에 비트라이센스 면허 신청”
로이터 통신이 소셜 미디어의 거인인 페이스북이 뉴욕에서 발표한 자체 암호화폐 리브라(Libra)를 사용하기 위해 암호화폐 사업면허를 신청했다고 6월 28일 보도했다.뉴욕은 ‘비트라이센스(BitLicense)’라고 불리는 암호화폐 영업에 대한 특별면허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 면허는 주 재정규제기관인 뉴욕 주 금융서비스부(NYDFS)가 주관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영국과 스위스의 규제당국과도 접촉을 해왔으며 아마도 리브라(Libra) 토큰 발행에 따른 준수 조항들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페이스북 ‘리브라’ 분리 규제할 생각 없다”
러시아 재무부 차관 알렉세이 모이시예프(Alexei Moiseev)에 따르면, 러시아는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리브라 발행에 대한 별도의 규제를 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터팩스가 1일 보도했다.모이시예프(Moiseev)는 “러시아가 모든 유통 디지털 통화에 대해 통일된 규칙을 적용할 거싱고 별도로 리브라만을 위한 규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저 버(Roger Ver) “비트코인캐시 채택위해 노력 하고 있다”
비트코인캐시 창시자인 로저 버(Roger Ver)는 “초기 사업을 하는 동안 법정화폐의 한계를 깨달았다. 비트코인이 등장하면서 온라인 결제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 그것은 어렸을 때 공상과학소설에서 읽은 놀라운 공상과학 화폐이다”고 밝혔다. 로저 버(Roger Ver)는 비트코인을 공상과학소설속 화폐로 비유하면서도 비트코인에 비해 비트코인캐시가 더 공정하다는 점을 설명했다. “비트코인캐시는 사람들에게 빠르고 저렴하며 신뢰할 수 있고 사적인 화폐를 제공한다. 그리고 슬프게도,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오늘날 비트코인캐시 만큼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비트렉스 사용자, 법원에 자금 출금 거부 소송 진행
더 블록(The Block)이 6월 30일 뉴욕의 한 암호화폐 투자가가 비트렉스를 자금 인출 거부와 관련해 고소했다고 보도했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원고는 2018년 8월 자신의 비트렉스 계좌에 12만 달러를 입금했으며, 비트렉스 측은 이에 대한 지급을 보류하고 있으며 올해 11월까지 자금 출금을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또한 그녀가 회사를 고소할 권리를 포기한다는 계약서에 서명하지 않을 경우 그녀의 계좌에 있는 자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英 케임브리지대, 비트코인 전력 소비 지수 출시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대안금융센터(CCAF, Cambridge Centre for Alternative Finance)가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 소비 지수(CBECI)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CBECI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연간 소비 전력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 CCAF는 “해당 지수는 비트코인 채굴의 지속가능성과 환경오염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했다”며 “CBECI는 정책 입안자, 규제 기관, 연구원, 언론 등에 비트코인 채굴에 소비되는 전력에 대한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게 목표”라고 설명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토큰게이저 “BTC 시총 점유율 증가세 지속…62% 기록”
암호화폐 전문 데이터 분석 및 제공 플랫폼 토큰게이저(TokenGazer)에 따르면, 3일 오후 18시 기준 BTC의 글로벌 평균 시세는 11,085.58 달러, 시총은 1,977억 4,51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글로벌 주요 거래소 내 BTC의 최근 24시간 거래량은 33억 3,750만 달러를 나타냈다. BTC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는 전날에 이어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활성화 주소 수는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다. BTC의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시총 점유율은 약 62.05%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코인베이스의 BTC/USD 시세 대비 비트파이넥스 BTC 시세 프리미엄은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를 유지했지만, 두 거래소 간 가격차는 좁혀지고 있다. 현재 비트파이넥스의 BTC/USD 가격은 코인베이스 BTC 시세보다 12 달러 높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세계 최초 기관급 비트코인 표시 채권 발행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 3일 보도에 따르면 룩셈부르크 증권회사 아르젠토(Argento)가 영국 암호화폐 거래소 런던 블록 거래소(LBX)와 함께 세계 최초 비트코인 표시 채권을 발행했다. 해당 Argento-LBX 채권은 영국 금융감독청(FCA)의 규제를 받는다. 필 밀로(Phil Millo) 아르젠토 매니저는 이를 두고 “세계 최초의 기관급 비트코인 표시 채권”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터미널(단말기)을 통해 Argento-LBX 채권에 투자할 수 있으며, 암호화폐 상품 최초로 국제표준증권코드(ISIN)를 가지고 있다고 미디어는 전했다. 벤자민 데이비스(Benjamin Davies) 아르젠토 CEO는 Argento-LBX 채권을 “현재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팔 계획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누리엘 루비니 “암호화폐는 쓰레기, 핀테크 혁신과 비교불가”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3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아시아 블록체인 서밋 2019에서 월가의 대표적 비관론자이자 유명 경제학자 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알리페이 등 결제 산업의 진정한 혁명은 핀테크 분야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다. ‘쓰레기 같은 암호화폐’는 알리페이, 위챗페이와 같은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같은 루비니 교수의 지적에 세계 최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의 최고경영자인 아더 헤이즈(Arthur Hayes)는 “암호화폐의 진정한 장점은 사람들에게 법정화폐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선택지를 제시한다는 것”이라며 “암호화폐 시장은 세계 유일의 진정한 자유시장”이라고 반박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리브라 초기 개발자 “페북코인, 시장 선점 위해 프로젝트 공개 서둘러”
리브라 초기 설계를 담당했다고 주장하는 트위터 사용자 ‘Daniel Fitzwilliam’이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가 미완성 상태로 공개된 것은 시장 선점에 대한 압박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리브라의 통화 바스켓 설계가 자신이 아이디어였다며, 리브라의 초기 설계를 사용한 블록체인 결제 프로젝트 실크페이(SilkPay)와 암호화폐 SLP를 출시했다고 밝혔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라가르드, 차기 ECB 총재로 지명…과거 암호화폐 관련 발언 종합
유럽국가 정상들이 IMF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를 유럽중앙은행 차기 총재 후보로 공식 지명했다. CNBC는 “IMF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 유럽중앙은행 차기 총재로 지명”이라고 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아직 유로존 경제장관들을 비롯해 유럽 의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이는 형식적 절차로 이변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에 따라 마리오 드라기 현 ECB 총재는 올해 10월 8년의 임기를 마치게 되며 11월부터 새로운 총재가 유럽중앙은행을 지휘하게 된다. 이에 코인니스는 암호화폐 업계 역시 과거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발언을 시간순으로 정리해봤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