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펑 자오(Changpeng Zhao)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는 “법정화폐의 과도한 발행은 암호화폐 시장의 급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AMB크립토 보도에 따르면, 창펑 자오(Changpeng Zha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분권형 디지털 통화가 떠오른 핵심 원인은 금융자유의 필요성 때문”이라며 “정부에 의지에 따라 화폐를 찍어내는 법정화폐의 특성 때문에, 결국 암호화폐가 부흥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창펑 자오(Changpeng Zhao)는 트윗에서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앨런 그린스펀의 말을 인용했다. 이전에 그린스펀은 “연준은 언제나 돈을 인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미국이 가지고 있는 어떠한 부채도 지불할 수 있다”라는 의견을 밹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오(Zhao)는 “정부의 변덕스러운 화폐 정책에 따라 법정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 암호화폐가 대체재로 주목받는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암호화폐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창펑 자오(Changpeng Zhao)는 “암호화폐는 국가 통화에 대해 1,000배 이상 급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많은 금융 분석가들은 “그린스펀과 대형은행에 대한 정부의 느슨한 규제로 인해 2008년 금융시장 붕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었다.
앨런 그린스펀은 2011년 8월 NBC 한 방송에서 미국의 부채에 대해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우리는 미국의 부채를 해결할 방법이 있다. 그것은 돈을 원하는 만큼 인쇄해서 미국이 가지고 있는 어떠한 부채도 지불할 수 있다.”
2009년 최초 비트코인의 블록 생성 보상금은 블록당 약 50 BTC였다. 2012년 첫 반감에서는 보상이 블록당 25 BTC로 감소하였다. 현재 보상은 2016년 반감기에 이어 블록당 12.5 BTC이다. 세 번째 반감기는 2020년 5월로 예정되어 있으며, 보상은 블록당 6.25 BTC로 감소할 것이다. 이처럼 비트코인의 경우 토큰의 발행량을 제한함으로써 기존 정부의 통화정책과는 다른 길을 가고 있다.
반감기를 이용한 비트코인의 통화정책으로 비트코인의 총 수량은 2100만개로 공급 상한선이 있고 물가상승 압력이 감독기관이 아닌 수급 원리에 의해 억제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채택했다.
<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