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gh) 보도에 따르면, 블록체인 스타트업 코인펌(coinfirm)이 최근 발표한 암호화폐 거래 리스크 보고서를 인용 “전 세계 216개 암호화폐 거래소 중 14%만이 규제당국에 의해 허가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런던에 본부를 둔 디지털 통화 및 블록체인 규제 기술 회사인 코인펌(coinfirm)은 216개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를 플랫폼과 관련되는 핵심 리스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조사 대상 거래소는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의 90% 이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거래소 중 법정화폐의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 곳이 전체의 40%로 나타났으며, 법정화폐의 거래를 지원하는 거래소 중 23%가 완전한 KYC 과정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코인펌(coinfirm)은 라이센스와 허가, KYC, AML 등 7개 위험 범주로 각 거래소를 평가했다.
코인펌(coinfirm)은 이 보고서에서 호주,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독일, 스위스 등을 위험도가 낮은 국가에 나열했고 고위험 국가들에는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이란 등이 포함됐다.
또한 미국, 캐나다, 영국, 브라질, 중국, 인도, 사우디 아라비아는 중간 위험 군으로 분류 됐다.
일일 거래량 기준으로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바이낸스 거래소는 모네로(XMR), ZCash(ZEC) 등 익명성 암호화폐에 장기간 노출돼 위험도가 높은 거래소로 평가됐다.
<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