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읽는 암호화폐 뉴스(Daily Crypto News, 01/25)

암호화폐 시장, 비트코인 ETF 신청 철회에도 변동성 미미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CCN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가 최근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이 비트코인 ETF 신청 철회에도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는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 승인에 큰 비중을 두고 있지 않거나, 아직 해당 소식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CBOE 및 반에크(VanEck) 비트코인 ETF가 현재까지 가장 기대되는 제안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철회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암호화폐 설문 : 대상자 중 76%, 암호화폐 시장 낙관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코인스케줄(CoinSchedule)에서 최근 ‘연례 암호화폐 심리 보고서(the Annual Crypto Sentiment Report)’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지난해 이어진 큰 폭의 가격 하락에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암호화폐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 중 76%가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이 중 60%는 암호화폐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로 블록체인을 꼽았다. 반면 24%만이 지난 해의 약세장으로 관심이 줄었다고 답했다.

찰스 호스킨스, 2017년 고점 회복 10년 넘게 걸릴 것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카다노(ADA)의 설립자인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는 “암호화폐 시장이 2017년의 고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10년이 넘게 걸릴 것이며 그 시점에는 아주 다른 생태계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스킨슨(Hoskinson)는 2017년 암호화폐 시장의 급성장을 닷컴 거품기의 실적과 비교했다. 이더리움(ETH)의 공동 창업자이기도 한 그는 “인터넷의 거대 버블이 정점에서 사상 최고치를 회복하는 데 11-12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반 에크(VanEck), 비트코인 ETF 일시적 신청철회…”당국과 논의 지속”
암호화폐 전문 뉴스 채널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얀 반에크(Jan vanEck) 반 에크(VanEck) CEO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ETF 신청 철회는 일시적인 것이다. 다시 신청할 예정이다. 도망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에두아르도 알레만(Eduardo Aleman) 미국증권거래소(SEC) 사무차장은 수요일 발표된 고시에서 “Cboe 거래소가 신청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대만 금관회, STO 규범 마련 예정
대만 경제일보에 따르면, 대만 금융감독관리위원회(FSC)가 24일 10대 중점 과제를 발표했다. 해당 과제에 ▲ 핀테크 확대 적용 ▲ 금융 상품 다원화 ▲ 투자자 보호 ▲ 자본시장 국제화 등이 포함 됐으며, 웰링턴 쿠(顾立雄) 금관회 금융위원장은 “증권형 토큰 발행(STO) 규범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웰링턴 쿠는 지난 12월 쉬위런(许毓仁) 의원의 STO·ICO 규제 완화 건의에 대해 “STO는 유동성이 부족해 규제가 어렵고, 거래플랫폼 내 암호화폐의 규제 여부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바이낸스 CEO “암호화폐 산업 건전성, 전년 대비 개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CEO 자오창펑이 최근 인터뷰를 통해 “지난 해와 비교해 암호화폐 산업 건전성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들의 최고가를 기록하던 때보다 지금 더 좋은 투자 기회들이 있다”고 주장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싱가포르서 블록체인 무역 거래 체결
싱가포르 현지 언론 더 비즈니스 타임즈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 은행(Standard Chartered Bank) 싱가포르 지사가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으로 국제 무역 금융 거래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5-7일이 소요되는 거래를 하루로 단축시켰다는 설명이다. 스탠다드차타드는 “공급망 당사자를 연결하고 거래 문서를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절차가 간소화되고 보안과 투명성이 제고된다”라며 “블록체인 솔루션을 더 많은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외신 “갤럭시 디지털, 암호화폐 전문 신용기금 설립…2.5억 달러 공모”
미국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암호화폐 전문 상업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의 고위관계자를 인용 “디지털 갤럭시가 암호화폐 업체 전문 신용기금(credit fund)을 설립하기 위해 2.5억 달러(약 2,823억 7,500만 원)를 조달할 것”이라고 24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신용기금은 암호화폐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부동산, 채굴기 등을 담보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갤럭시 디지털 관계자는 “오는 3월에 첫 번째 투자 라운드를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XRP, 23일 한때 100 TPS 기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한때 리플(XRP, 시가총액2위) 네트워크가 100 TPS 이상의 거래 처리 속도를 나타내며 0.2초의 원장 마감 시간을 나타냈다. 리플 네트워크는 평균 10-20 TPS를 나타내며, TPS가 높을수록 원장 마감 시간이 짧다는 설명이다. 리플 네트워크는 현재 6.85 TPS, 원장 마감 시간은 3.49초를 나타내고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포브스 “블록체인 기반 IoT 보안 기술 플랫폼 증가, 신개념 IoT 시스템 구축 유리”
미국 경제 전문 매체 포브스가 ‘사물인터넷(IoT)과 블록체인 융합 통한 보안성 강화’라는 칼럼을 통해 “IoT 등 4차 산업 혁명 기술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 및 스토리지 처리량이 급증하면서 블록체인 기술 융합을 고려하는 IoT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며 ”IoT 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데이터 보안 처리 효율성 및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전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美 정부 법률 변호사 “2019년 상반기 BTC ETF 승인 어려워”
미국 정부 법률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2019년 상반기까지 미국 규제기관의 BTC ETF 승인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23일(현지 시간) CBOE의 반에크 BTC ETF 승인 신청 철회는 아직 당국이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진 않았지만, SEC가 ETF 승인을 반려할 것을 내다본 선조치일 가능성이 크다”라며 “CBOE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의 추가적인 반려가 추후에 불리한 선례로 적용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분석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싱가포르 법무부 “암호화폐, 법정화폐로 간주 불가”
경제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싱가포르 법무부가 최근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간주할 수 없다”며 “사업자들은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기 전에 반드시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이나운스(Coinnounce)는 “전세계 블록체인 스타트업 선호 10대 국가 중 싱가포르가 4위를 기록했다”며 “스타트업들은 사업자 등록 국가 선택 시, 해당 국가의 규제 상황, 정책 기조, 세수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