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웨이트 국립은행(NBK), 리플넷에 참여…”NBK 직접 송금 서비스 출시”
쿠웨이트 국립은행(NBK)이 리플넷(RippleNet)을 활용한 국경간 결제 솔루션인 ‘NBK 직접 송금(NBK Direct Remit)’을 중동에서 최초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쿠웨이트 국립은행(NBK)는 공식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리플넷(RippleNet, 리플 랩스(Ripple Labs) 금융상품을 활용한 은행과 기타 금융기관들의 분산형 네트워크)은 은행 고객에 대한 직접 송금과 신속한 해외 송금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일본 암호화폐 동향 : “일본 금융당국, 암호화폐 사업자로 등록하려는 기업 190개에 달해”
일본 금융당국(FSA)은 “최근 190개 이상의 기업들이 암호화폐 사업자로 등록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더 많은 기업들이 일본화폐 시장에 진출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금융당국(FSA)은 비트코인닷컴(bitcoin.com)과의 인터뷰에서 “등록에 관한 예비 협의/문의를 포함하여 190개 이상의 사업자가 시장 진입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자, 리플의 파트너 어스포트(Earthport) 인수…”비자&리플 파트너 될 수도”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회사인 비자(Visa Inc)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금융 서비스 회사인 어스포트(Earthport PLC)를 인수한다. 이들 회사들은 합의에 도달했고 비자(Visa Inc)는 1,900만 파운드에 국경간 지불회사인 어스포트(Earthport PLC)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모닝스타(Morningstar)가 보도했다. 특히 리플은 2014년부터 어스포트(Earthport PLC)와 제휴를 맺었다. 어스포트(Earthport PLC)는 리플(Ripple)의 국가간 결제 프로토콜을 그들의 기존 결제 네트워크에 통합하여 고객들이 규제 기준을 지키면서 낮은 관리 비용을 지불하게 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9천만 개의 XRP토큰, 출저 불분명한 지갑으로 송금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세가 진정되고 있는 가운데 약 9천만 개의 XRP 토큰이 미확인된 지갑에서 목적지가 불문명한 다른 지갑으로 전송되었다고 12월 28일에 암호화폐 전문 매체 AMB크립토(AMBcrypto)가 보도했다. XRP의 총발행량은 1,000억개로 정해져 있으며 그 중 60%는 리플이 소유하고 있다. 지난 27일 XRP 커뮤니티에서 화이트 얼렛(Whale Alert)이라는 트위터는 “9천만 개의 XRP 토큰이 출처가 불분명한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 옮겨졌다”라며 주장하며 송금된 XRP 가치는 현재가 기준으로 약 3,330만 달러에 달한다고 말하며 해당 주소(Tx : https://bithomp.com/explorer/432596B0BBA3ED425)를 공개했다.
앤서니 폼프리아노, ‘암호화폐&전통적인 자산’ 상관관계 ‘0’에 가깝다
모건크릭 디지탈(Morgan Creek Digital)의 창립자인 앤서니 폼프리아노(Anthony Pompliano)는 비트코인(BTC)은 비관련 자산이라고 말했다. CNBC의 한 방송에서, 그는 암호화폐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누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다른 전통적인 자산과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레저(Ledger), 카다노(Cardano) 추가 예정
하드웨어 지갑 제조업체인 레저(Ledger)는 차기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에서 카다노(Cardano)를 추가할 예정이다. 또한 레저(Ledger)는 트위터에서 그 정보를 공유했다. 카다노(Cardano) 지지자들은 이 업데이트를 기다리고 있었다. 레저 나노 S(Ledger Nano S) 펌웨어는 2019년 1월 초에 새로운 업데이트를 계획하고 있다다. 레저(Ledger)가 발표한 블로그 게시물에 따르면, 새로운 레저 나노 S(Ledger Nano S) 펌웨어 1.5는 새로운 암호화폐 알고리즘, 보안영역 개선, 그리고 추가 기능을 포함할 것이다.
페이오니아 최고경영자, “비트코인은 법정화폐를 대체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화폐”
세계적 결제 서비스 회사인 페이오니아(Payoneer) 최고경영자 스콧 갈릿(Scott Galit)이 “비트코인(BTC)과 같은 법정화폐가 아난 단일 암호화폐는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고 12월 28일에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보도했다. 페이오니아는 200개 이상 국가에서 400만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협력사는 2천개에 이르며 CNBC의 “2018년 가장 혁신적인 기업 13″에 선정됐다.
비트메인 “구조조정 관련 루머 주의해야”
최근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 업체 비트메인의 구조조정과 관련해 중국 현지 매체 싱추르빠오(星球日報)가 “비트메인이 최근 암호화폐 채굴사업을 정리하고, 인원감축을 통해 10명의 최소인원만 남겨 자산 관리를 할 계획이다. 또한 판매처들에게 S9 채굴기를 처분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코인니스가 비트메인 측에 문의한 결과 비트메인은 “모든 비트메인 관련 정보는 투자설명서에 근거한다”며 “최근 업계에 자사 관련 루머가 확산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이에 일일이 대응하고 있진 않지만, 관련 자료와 증거를 수집해 법적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케임브리지대 보고서 “올들어 암호화폐 이용자수 2배 증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지크립토(Zycrypto)가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를 인용 “올들어 암호화폐 시장은 약세 흐름을 나타냈지만, 암호화폐 사용자 및 거래자 수는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보고서는 “올들어 암호화폐 사용자 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2배로 증가한 1억 3천 9백만명으로 추산된다. 그중 약 38%가 시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대다수는 헤지펀드 등 기관이 아닌 개인 암호화폐 트레이더”라고 설명했다. <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포브스 “2019년, 의료분야 상업용 블록체인 응용 가속화 전망”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최근 ‘Top 8 Healthcare Predictions for 2019’ 보고서를 통해 “2018년 대부분의 의료분야 블록체인 활용은 과대광고 수준에 머물렀지만, 2019년 기존 의료분야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5%~10%는 시범운용 단계에서 부분적 상업용 응용 단계까지 진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미디어는 “Change Healthcare, Hashed Health, Guardtime 등 기업은 기존 의료분야 블록체인 기술의 상업적 사용 사례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외신 “삼성, 영국서 암호화폐 지갑 상표 등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이 삼성이 스마트폰에 암호화폐 지갑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27일(현지 시간) 영국 지식재산권청에 상표 등록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신형 스마트폰에 암호화폐 지갑 기능이 탑재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샘모바일 등 외신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삼성전자가 유럽연합 지식재산권 사무소에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세 건의 상표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한 바 있으며, 삼성전자가 신형 스마트폰에서 ‘콜드월렛’ 기능을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한 바 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네덜란드 ING 그룹, 내년 블록체인 기반 이니셔티브 출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 Hodl)에 따르면, 네덜란드 소재 ING그룹이 2019년에 블록체인 기반 이니셔티브(initiatives)를 출시한다. 이를 통해 무역 및 금융상품 등 취급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게 ING 측의 설명이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렛저 월렛 “렛저 나노 S, 심각한 결함 없다”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렛저(Ledger)가 렛저 나노 S(Ledger Nano S) 관련 결함에 대해 “해당 결함은 심각한 결함이 아니다”며 “도난된 기기(stolen device)로부터 어떠한 시드(seed)와 PIN을 추출할 수 없으며, 중요 자산과 보안소자(Secure Element)의 보안이 유지된다”고 해명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외신 “베네수엘라 페트로, 국제화 난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가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러시아, 아르헨티나, 폴란드에 베네수엘라 국가발행 암호화폐 페트로(PETRO)의 국제적 활용을 권유했지만, 해당 국가들이 명확한 거부 의사를 표명했다”며 “페트로를 석유 거래에 사용되는 국제 암호화폐로 만들기 위한 마두로 대통령의 계획이 난항을 겪고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해당 미디어는 “현재 페트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페트로 보유자들은 실제 암호화폐 페트로 대신 ‘페트로 인증서'(Petro certificate)를 지급받았으며, 베네수엘라 정부는 아직까지 페트로의 사용 방법, 환전소 등 세부 정보를 공개한 바 없다”고 지적했다.<출처 : RealTime Crypto News(COINNESS KOREA)>
< ⓒ코인프레스(coin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화화폐 투자는 각자 신중한 검토 후에 투자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