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관련 국내 뉴스 모음(10/12)

국회 첫 블록체인 컨퍼런스 `GBPC 2018` 개막
MBN은 오늘 개최된 블록체인 컨퍼런스 `GBPC 2018` 에 대해 보도했다. 해외 블록체인 선도국의 국회의원들과 업계 전문가들이 한 데 모이는 국회 첫 블록체인 정책 컨퍼런스 ‘GBPC 2018(Global Bockchain Policy Conference)’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막을 올렸다. 수백여명의 참가자가 모인 개막식에는 주승용 국회부의장을 비롯한 다수 의원들이 참여해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원문 :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655474

국제금융기관, “암호화폐, 금융안정성에 위협 안 되지만 감시 필요해”
전자신문 보도에 따르면, 금융안정위원회(FSB)는 10일(현지시간)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자산이 금융 안정성에 위협이 되진 않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해 세심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스위스 소재 금융안정위원회는 G20 국가를 주축으로 국가별 금융당국 정책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정보 교환과 협력을 통해 효과적 금융 규제와 감독, 금융정책을 개발하고 증진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날 FSB는 암호화폐 자산 가격 상승이 유사한 다른 역사적 자산 거품(버블)보다는 더 큰 반면에 시장에서 자본화는 다른 금융 시장에 비해 미미하다고 밝혔다.
원문 : http://www.etnews.com/20181011000311

금융위원장, 암호화폐에 대한 기존 입장 재확인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가상통화(암호화폐·가상화폐)와 가상화폐공개(ICO)에 대해선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주주 명의로 들어온 다스 배당금 50억원에 차등과세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검찰 통보가 오면 국세청과 협의해보겠다고 발언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이 국제금융시장 불안 상황에서 가장 약한 고리가 어디냐는 질의에 “내외 금리 차이가 커지면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가 커지고 취약차주들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은행의 건전성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원문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11/0200000000AKR20181011082851002.HTML?from=search

국회 의원회관에서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컨퍼런스 개최
MBN 보도에 따르면, 11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컨퍼런스(GBPC 2018)’에서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한국의 블록체인 산업이 처한 인력 부족 문제에 관해 언급했다. 블록체인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로 떠오르면서 인재들이 블록체인 업계로 유입되고는 있지만 정부의 규제로 인해 제동이 걸리게 됐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7일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을 벤처기업에서 제외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지금까지는 벤처기업에 포함하지 않는 업종으로 일반 유흥 주점업, 기타 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등 유흥 또는 사행성 관련업 등 총 5개 업종이 정해져 있었다. 여기에 암호화폐 거래소가 추가된다.
원문 :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656141

김병관 의원 “ICO 투자자 보호, 적격 투자자 제도 활용”
국회가 블록체인, 암호화폐에 대한 범국가적 논의에 돌입했다. 11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는 해외 블록체인 선도국의 국회의원들과 국내외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블록체인의 민관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컨퍼런스(GBPC)가 성황리에 열렸다. GBPC의 더불어민주당 측 준비위원인 김병관 국회의원은 이날 행사를 앞두고 디스트리트(D.STREET)와 만나 투자자 보호, 산업 육성, 기술 지원 등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의견을 가감없이 털어놨다. 김 의원은 특히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ICO 규제를 놓고 기존 적격투자자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원천기술 개발보다는 응용 서비스와 산업 적용이 중요하다며 중기벤처부가 주무부처로 적극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원문 :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655780

이제 편하게 텔레그램에서 새로운 뉴스 소식을 받아보세요! :  https://t.me/coinpres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