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체인(Vechain) 파헤치기

비체인은 2015년 만들어진 암호화폐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중 하나다. 비체인은 분산형 스마트계약 플랫폼으로 공급망의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고 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최근에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전에도 비체인의 블록체인 앱은 몇몇 회사의 농업과 와인제조 및 사치품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었다.

비체인의 기술력

비체인은 기업들이 제3자가 없이도 쉽게 상호 작용하고 거래할 수 있는 분산형 플랫폼으로 초당 최대 10,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솔루션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또한 비체인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합해 공급망 관리 방식을 바꾸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태계와 사물 인터넷(IoT)프로젝트도 시작할 계획이다. 플랫폼의 보안은 네트워크 노드 활동으로 유지되며 네트워크 노드는 비체인 생태계에 직접 관여하는 기업 및 조직에서 관리할 수 있다.

사용 사례

RFID나 센서와 같은 비체인의 고유 스마트 칩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여 제조 업체는 라이프 사이클 동안 독특한 특성을 가진 제품을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을 IoT기기에 접목시켜 제품 추적 프로세스를 간소화함으로써 품질 관리 및 물류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비체인은 개발된 기술을 통해 가짜 제품을 구별하고 식별하는 실제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제조 업체와 소비자 모두가 암호화폐를 통해 제품을 검증한다.

써니 루(Sunny Lu)는 비체인 재단의 최고 경영자이며 비체인을 설립하기 전에 암호화폐에서 각광을 받고있는 퀀텀(Qtum)의 공동창업자다. 그는 이전에 루비통 차이나의 CIO 이자 최고경영자를 역임했다.

비체인 토르 정보

베치인은 “비체인 아포테시스 파트 2:토르 파워 포지드(VeChain Apotheosis Part II: THOR Power Forged)로 알려진 프로젝트을 2분기에 업데이트한다고 발표했다. 비체인의 이름은 비체인토르(VeChain Thor)로 리브렌딩되며 그들의 업무는 공급망 관리 프로젝트에서 완전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전환된다.

네트워크는 두개의 기본 토큰을 사용하며 하나는 VET토큰으로 비체인 생태계에서 결재수단으로 사용되며, 다른 하나는 토르파워(THOR) 토큰으로 토르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고 앱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플랫폼은 VET(비체인 토큰)라고 하는 자체 기본 토큰을 사용하고 토큰은 스마트 계약 실행에 필요한 가스로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VET는 사용자를 육성하는 데도 사용되며, 네트워크 노드의 운영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