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텔레그랩이 이더리움 커뮤니티들은 ASIC 채굴자에 대해 대항하기 위해 하드포크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더리움 개발자 파이퍼메리엄(PiperMerriam)이 3월 30일에 깃허브에 이더리움 개선 제안서(EIP)958을 열어 이더리움 프로토콜에 하드포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더리움의 또 다른 개발자인 블래드잠피어(Vlad Jamfir)는 3월 28일 트위터에 하드포크에 관한 질문을 올렸고 응답자의 57퍼센트가 찬성했다.
두 개발자의 조사는 중국에 본사를 둔 ASIC제조 업체인 비트메인(Bitmain)이 그것의 첫번째 이타쉬(Ethash) 호환 ASIC 채굴기들을 준비중이라는 소문이 있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이타쉬(Ethash)는 이더리움과 다양한 다른 알트코인에서 사용되는 작업증명(Proof-of-Work)해시 알고리즘이다.
부테린의 이더리움 백서에는 그 프로토콜이 이미 중앙 집중화에 대한 두배의 저항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2월에 코인텔레그랩이 보고에 따르면, 비트메인의 이익은 2017년에 미국 GPU업계의 거물 엔비디아를 능가했다. 번스타인의 분석가들의 연구는 미트메인이 2017년에 3-4십억 달러 사이의 이익을 차지하고 이는 전체 채굴 수익의 70-80퍼센트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